• Title/Summary/Keyword: 추세

Search Result 10,51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an Evaporation Trends (Pan 증발량 추세분포 분석)

  • Rim, Cha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B
    • /
    • pp.243-255
    • /
    • 2010
  •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an evaporation and pan evaporation trends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pan evaporation data from 1973 to 1990 for 56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annual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monthly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in April, July, October and January were analyzed, considering seasonal effect.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n case of annual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38 stations out of 56 stations show decreasing trend. In case of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in January, 33 stations show decreasing trend. In April, 38 stations show increasing trend. In July, 47 stations show decreasing trend. In October, 35 stations show increasing trend. Therefore, on the whole, pan evaporation tended to decrease in January, July, and annual basis. On the other hand, pan evaporation tended to increase in April and October. Furthermore, pan evaporation trend in each individual region shows also different trend even though the region is located nearby, indicating that there ar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effects on pan evaporation trend. Pan evaporation data and climatic data from 1973 to 2006 for 11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used for trend analysis. Climatic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show same or opposite trend direction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in annual or monthly basis. Annual and monthly solar radiation trends show the same direction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however,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trends show the opposite direction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Trends in Korean Peninsula (우리나라 강수량 추세분포 분석)

  • Rim, Chang-Soo;Lee, Jong-Tae;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00-16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나 지리지형적 특성에 따른 강수량의 분포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을 포함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6년까지의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계절적 영향을 고려하여 1월, 4월, 7월 그리고 10월의 월평균 일별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지역에 대해서 GIS 분석을 이용하여 지리지형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도시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지피복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는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4월과 10월의 강수량은 감소추세에 있고, 1월과 7월의 경우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 영향을 고려할 때, 강수량 변화는 연별이나 7월의 경우 증가추세를 보이나 1, 4, 10월 강수량의 경우 감소추세를 보였다. 또한 도시화율이나 해안 근접성과 비교하여 연구지역의 평균고도는 연평균 및 월평균 강수량 추세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Long-term Trends of Rainfall and Stream Flow in South Korea (한반도 강수량과 유량의 장기 추세 분석)

  • Kim, Gwang-Seob;Yim,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16-919
    • /
    • 2005
  •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변화특성 연구는 장기 강수의 추세변화가 가용수자원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Mann-Kendall 검정을 사용하여 한반도의 월별 및 년 강수량과 유량의 추세검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한반도 강우특성의 장기추세는 총강우량 증가, 총 강우일수 감소 그리고 80mm 이상 강우일수 증가로 요약될 수 있다. 강수자료의 추세분석에서는 강수량의 증가와 강우일수의 감소 그리고 호우일수의 증가를 볼 수 있었지만 MK 검정결과 $90\%$$95\%$ 유의성을 가진 증가나 감소의 추세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강수량의 증가로 인한 유량의 증가 추세가 유량자체의 변동 특성보다 크지 않으므로 유량자료의 추세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어떠한 경향성을 찾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 PDF

Yearly and Monthly Trend Analysis of Air Temperature in South Korea (남한지역 기온 변화의 연 추세 및 월 추세 분석)

  • Kim, Gwang-Seob;Hwangbo, J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20-923
    • /
    • 2005
  • 우리나라의 기온변화의 연 추세 및 월 추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현재 기상청에서 운영중인 지상기상관측소 76개소 자료를 사용하였다.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여 자료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기온의 전체적으로 상승추세를 볼 수 있었고, 비도시 지역에 비하여 도시 지역의 증가율이 크게 나타났고 100년간의 자료를 가진 지점인 인천, 부산 지점에서 최근 30년간의 기온증가가 지난 100년간의 기온증가에 대부분을 차지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월별 추세를 분석한 결과 우기인 7, 8월 동안에는 기온의 상승추세가 강우 현상 등 임의성에 의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상승 추세가 약화됨을 보여준다.

  • PDF

Trend Test of the Mean and Extreme Sea Level Data in the Korean Coast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해면 및 최극조위 자료의 추세 검정)

  • Kang, Ju-Whan;Cho, Hong-Yeon;Park, Min-Won;Park, Se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56-2160
    • /
    • 2008
  •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해면이 증가하고 있다는 주장과 고극조위, 저극조위가 증가(또는 변동)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연구자가 사용한 자료의 기간 및 분석 방법 등에 차이가 있고, 결측자료(missing data) 및 이상자료(outlier) 등을 처리한 방법이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결과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추세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신뢰수준에 대한 검정과정 없이 단순하게 선형회귀곡선식을 이용하여 기울기의 부호만으로 증가 감소를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추세분석은 최적의 추세곡선을 찾아내는 것 이전에 추세의 유무를 통계적인 신뢰수준을 기준으로 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추세분석의 필수과정인 추세검정(추세가 있는가? 없는가?)을 Mann-Kendall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연안 조위관측소의 평균해수면 및 고극조위, 저극조위 자료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추세검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평균해수면은 95% 유의수준으로 분석에 포함된 전체 30개 검조소 중 대산, 보령, 군산, 목포, 통영, 거문도, 부산, 가덕도, 제주, 서귀포, 속초, 포항, 울산, 울릉도 지점 등 19개 지점이 추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고극조위, 저극조위는 각각 15개, 17개 지점이 추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UC Model with ARIMA Trend and Forecasting U.S. GDP (ARIMA 추세의 비관측요인 모형과 미국 GDP에 대한 예측력)

  • Lee, Young So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1 no.4
    • /
    • pp.159-172
    • /
    • 2017
  • In a typical trend-cycle decomposition of GDP, the trend component is usually assumed to follow a random walk process. This paper considers an ARIMA trend and assesses the validity of the ARIMA trend model. I construct univariate and bivariate unobserved-components(UC) models, allowing the ARIMA trend. Estimation results using U.S. data are favorable to the ARIMA trend models. I, also, compare the forecasting performance of the UC models. Dynamic pseudo-out-of-sample forecasting exercises are implemented with recursive estimations. I find that the bivariate model outperforms the univariate model, the smoothed estimates of trend and cycle components deliver smaller forecasting errors compared to the filtered estimates, and, most importantly, allowing for the ARIMA trend can lea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ins in forecast accuracy, providing support for the ARIMA trend model.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rend shocks play the main source of the output fluctuation if the ARIMA trend is allowed in the UC model.

Homogeneity of Climate Aridity Index Trends Using Mann-Kendall Trend Test (Mann-Kendall 추세분석을 이용한 건조지수 추세의 동질성)

  • R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7
    • /
    • pp.643-656
    • /
    • 2014
  • The homogeneity analysis of temporal (monthly, seasonal and annual) climate aridity index trend was accomplished for 43 climate measurement stations in South Korea. Furthermore, 43 stations were grouped into 9 different regions and the temporal and regional homogeneity of climate aridity index trends in each region and entire 9 regions were analyzed. For analysis, monthly, seasonal and annual climate aridity indexes of 43 study stations were estimated using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calculated from FAO Penman-Monteith equation. The Mann-Kendall statistical test for significant trend was accomplished using the estimated climate aridity indexes and the results of trend test (Z scores) were used to analyze the temporal and regional homogeneity of climate aridity index tren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e temporal and regional homogeneity of climate aridity index trends for individual and entire 9 regions. However, the homogeneity and the extent of aridity index trend showed different patterns temporally and regionally.

Dissolved Oxygen Trend in Sapgyo Stream Watershed (삽교천유역의 용존산소 추세)

  • R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6
    • /
    • pp.667-681
    • /
    • 2013
  • In this study, monthly and seasonal dissolved oxygen trends of 19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s in Sapgyo stream watershed were analyzed using monthly dissolved oxygen (DO) data measured for 16 years (1995~2010). Mann-Kendall trend test and Sen's slope estimator were carried out for trend analysis. Furthermore, Sapgyo stream watershed was divided into four different sections (Sapgyo stream, Muhan stream, Gykgyo stream, and Sapgyo lake) and chi-square test of homogeneity for DO trend was carried out for four different section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s showed increasing or non-significant trend of DO on a monthly and seasonal basis. The chi-square test of homogeneity for each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 showed the statistical homogeneity in seasonal DO trend; however, the test results showed the statistical non-homogeneity in monthly DO trend for the stations located in the reservoir. Overall, the dissolved oxygen trend in each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each station and season.

Trend Analysis and Probable Change Point Analysis of Streamflow in Seomjin River Basin, South Korea (비모수 검정 방법을 통한 섬진강 유역 유량의 추세 분석 및 변동점 탐색)

  • Son, Yeon Jin;Kam, Jo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8-398
    • /
    • 2021
  • 섬진강은 한국 주요 5대강 중 하나로 유량 변동계수가 가장 크다. 이로 인해, 극심한 가뭄이나 홍수의 발생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뭄에서 홍수 또는 홍수에서 가뭄으로 갑작스러운 극한 수문 기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수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자원 관리와 장기적 수문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유역의 수문 관측소(56개)에서 10년 이상 장기 관측된 일유량 자료(1997년~2020년)를 이용하여 비모수 검정 방법을 통한 추세 분석과 변동점을 탐색하였다. 우선, 일유량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누락된 일유량 관측값으로 생겨날 수 있는 불확실성을 배제하기 위해 관측 기간 중 누락된 일유량 관측값들의 월별 비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월별 일유량 관측값 누락이 없는 관측소들의 월평균 하천 유량 값으로 연평균 하천 유량 값을 계산하였다. 관측 기간 동안 결측된 값이 없는 28개의 관측소를 대상으로 비모수 검정 방법을 통한 연별 추세 분석(Mann-Kendall Test)과 변동점 탐색(Pettitt Test)을 하였다. 연별 추세 분석 경우 28개의 관측소 중 8개의 관측소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추세(신뢰도> 99%)가 탐지되었다. 이들 중 3개의 관측소에서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5개의 관측소에서 감소하는 추세가 보였다. 7개의 관측소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변동점도 탐색되었고 그 변동점이 탐색된 연도는 2011년(4개), 2012년(3개)로 나타났다. 계절적 추세 분석에서는 28개의 관측소 중 각각 봄(MAM) 11개, 여름(JJA) 11개, 가을(SON) 9개, 겨울(DJF) 11개 관측소에서 통계적 추세(신뢰도> 99%)가 탐지되었다. 또한 봄 17개, 여름 7개, 가을 18개, 겨울 18개 관측소에서 변동점이 탐색되었고, 그 연도는 관측소마다 달랐다. 이러한 유량의 추세와 변동점의 원인(기후적/인위적 요소)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계절별 유량과 강수량의 상관관계 분석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기 수문기후학적 추세와 변동성에 대한 이해는 농업이 중요한 섬진강 유역의 수자원 관리와 기후변화에 선제대응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것이다.

  • PDF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의창;정임호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535-549
    • /
    • 1999
  • 국민 1인당 우편이용량은 연간 85.4통(97년)으로 선진 외국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며, 최근의 통상우편 물량은 감소 추세로 반전되고 있다[조선991. 이러한 우편물량의 감소 추세는 전세계적인 추세로서, 미국은 99년, 캐나다는 98년부터 우편물량이 감소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 택배 서비스 등의 일반화로 소포물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단기적인 현상이기보다는 사회 전체의 정보화, 고도화 추세에 따른 장기적, 지속적인 경향이 될 것이다 [정통98].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