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 Model with ARIMA Trend and Forecasting U.S. GDP

ARIMA 추세의 비관측요인 모형과 미국 GDP에 대한 예측력

  • Lee, Young Soo (Dept. of Real Estate and Finance, Youngsan University)
  • 이영수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 Received : 2017.11.16
  • Accepted : 2017.12.24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In a typical trend-cycle decomposition of GDP, the trend component is usually assumed to follow a random walk process. This paper considers an ARIMA trend and assesses the validity of the ARIMA trend model. I construct univariate and bivariate unobserved-components(UC) models, allowing the ARIMA trend. Estimation results using U.S. data are favorable to the ARIMA trend models. I, also, compare the forecasting performance of the UC models. Dynamic pseudo-out-of-sample forecasting exercises are implemented with recursive estimations. I find that the bivariate model outperforms the univariate model, the smoothed estimates of trend and cycle components deliver smaller forecasting errors compared to the filtered estimates, and, most importantly, allowing for the ARIMA trend can lea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ins in forecast accuracy, providing support for the ARIMA trend model.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rend shocks play the main source of the output fluctuation if the ARIMA trend is allowed in the UC model.

비관측요인(unobserved-component)모형을 이용한 GDP의 추세-순환요인 분해에서, 통상적으로 추세는 확률보행 과정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 연구는 추세를 ARIMA 과정으로 표현하는 경우, GDP 변동에서 갖는 추세요인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 GDP에 대한 예측력이 개선될 수 있는가의 여부를 미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모형은 GDP만의 단일변수모형과 물가를 포함하는 2변수모형의 두 가지를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모형 추정은 비관측요인모형을 상태-공간모형으로 전환한 후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한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였다. GDP에 대한 예측은 축차적 추정(recursive estimation)을 이용한 동적 표본외예측(dynamic out-of-sample)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예측력 비교결과에 대한 검정은 Diebold-Mariano 검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모형의 추정결과에서 ARIMA 추세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값을 가지며, 둘째, ARIMA 추세 모형이 확률보행 추세 모형보다 GDP 변동의 분산 및 자기 상관성(autocorrelation)을 보다 잘 설명하며, 셋째, 예측력에서 단일변수보다는 2변수모형의 예측력이 그리고 확률보행 추세보다는 ARIMA 추세를 갖는 모형의 예측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GDP 추세-순환 요인 분해에서 추세를 ARIMA 과정으로 표현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