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간판 탈출증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36초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후 발생한 추간판과 경막 사이의 누공 형성 - 증례 보고 - (Fistula Formation Between the Disc and Dura after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 A Case Report -)

  • 김학선;김형복;정훈재;양재호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0-184
    • /
    • 2018
  •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 후 인식하지 못한 경막 손상에 의해 생긴 추간판과 경막 사이의 누공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시 경막 손상의 위험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지하지 못한 경막 손상이 보고 되고 있으나, 이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도구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대상 및 방법: 50세 여자 환자는 제 4-5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 두 차례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하지만, 환자는 술 후 6개월에도 지속적으로 좌측 하지에 참을 수 없는 동통과 운동 신경 마비를 호소하였다. 이에 신경 조직 손상을 찾기 위해 수술을 계획하였다. 결과: 이전 수술 부위에서 경막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또한 경막 손상 부위에서 추간판과 경막 사이에 누공이 형성된 것을 발견 하였다. 경막 손상 부위는 경막 전측부에 위치 하였으며, 크기는 5 mm 정도 였다. 5~0 나일론과 접착 봉합제로 경막 손상 부위를 봉합하였다. 술 후 환자의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다. 결론: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 후 인지하지 못한 경막 손상은 추간판과 경막 사이의 누공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추간판 조영술은 인지하지 못한 경막 손상에 의해 생성된 누공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도구이다.

대용량약침 및 한방치료를 적용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치험 3례,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치험 1례 (A Clinical Case Report Treated by Megadose Pharmacoacupuncture and Korean Medical treatments for the three Patients with HIVD of L-Spine and one Patient with HIVD of C-Spine)

  • 주영국;김태호;이소진;안상민;신수지;권옥준;김주원;윤문식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1-71
    • /
    • 2015
  • Objective : To report cases of HIVD of C&L-Spine successfully treated with conservativ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 with Megadose Pharmacoacupuncture. Methods : Four patients diagnosed with HIVD of C&L-Spine were treated with Megadose Pharmacopuncture,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Numeric Rating Scale(NRS), Neck Disablility Index(NDI) and Oswestry low back pain Disablility Index(ODI) scor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 comparison.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NRS, NDI and ODI scores. The mean NRS score decresed from 9 to 2.25, NDI from 45 to 14 and ODI from 46.66 to 11.33.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s Megadose Pharmacoacupuncture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on patients with HIVD of C&L-Spine.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3차례 수술적 처치를 시행한 수술 실패 증후군 환자에 대한 보존적 치료 치험 1례 (A Clinical Case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 임광묵;문수정;전규상;신홍균;고연석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32
    • /
    • 2011
  • 본 논문은 3차례의 양방적 수술 치료를 받은 후에도 지속적으로 요통과 함께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며 일상생활 수행에 장애가 따르던 70세 여환에 대한 증례로 침구치료, 약물치료, 추나치료, 봉약침치료 등의 한의학적 보존적 치료방법으로 통증의 감소와 함께 일상생활 능력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향후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한방적 보존적 치료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와 임상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요추 추간판탈출증 환자에 대한 봉약침과 CS약침을 병행한 한의학적 복합치료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Case Report of Two Cases on Effect of Combined Bee Venom and CS Pharmacopuncture with Koream Medicine Treatment on HIVD of L-spine)

  • 황지혜;김덕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5권4호
    • /
    • pp.239-246
    • /
    • 2018
  • 2017년 12월 29일부터 2018년 7월27일까지 가천대 부속 길한방병원에서 MRI상 요추 추간판탈출증 진단 받고 보존적 치료위해 내원하신 요추 추간판탈출증 환자 중에서 요통 및 하지방사통에 대하여 CS약침과 봉약침의 상호보완 치료를 포함한 한의학적 복합치료를 시행한 2건의 증례에 있어서, NRS, ODI, RMDQ의 호전양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CS약침으로 방사통을 유발하는 치료를 통한 요각통에 대한 강한 진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봉약침은 자입시 통증이 거의 없고 제반증상 호전 및 치료후기 관리에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약침반응은 CS약침의 경우 시술시의 뻐근한 느낌, 봉약침의 경우 시술초기 가려움 및 발진 등의 반응이 간헐적으로 발생되었으며, 대부분 수시간~2일 이내에 소실되었다.

후관절 관절증으로 인한 요통 및 좌골신경통에 대한 후관절강내 차단 (Lumbar Facet Joint Injection in Low Back Pain and Sciatica Caused by Lumbar Facet Joint Arthropathy)

  • 반종석;고준석;민병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권2호
    • /
    • pp.174-180
    • /
    • 1989
  • 요통이나 좌골신경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일방적으로 추간판 탈출증 때문이라고만 치부하지 말고, 비침습적인 CT를 이용하여, 정확한 진단과 아울러 치료에 임하여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보람을 가졌으면 한다. 더우기 후관절 관절증의 경우 그 차단방법이 누구에게나 간단히 시행할 수 있고 안전한 방법이므로 권장코저함이 필자의 바람이다.

  • PDF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한 개에서 동종의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a Dog with Intervertebral Disc Disease)

  • 김영기;이승용;박세진;이스캇;김진현;이희천;장홍희;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2-127
    • /
    • 2011
  • 후지마비와 심부통각의 소실을 보이는 5 년령의 수컷 Cocker Spaniel이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신경검사, 방사선검사와 컴퓨터 단층촬영결과 심부통각의 소실을 동반한 요추 2번과 3번 사이의 디스크 탈출증으로 진단하였다. 편측 추궁 절제술을 시행하여 감압술과 탈출된 디스크 물질을 제거하였으며 $1{\times}10^6$ 개의 동종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50{\mu}l$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손상된 척수에 직접 주입하였다. 수술 10주 후, 양쪽 후지 모두에서 심부통각과 운동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었으며 세포이식과 관련된 부작용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증례를 통해 심각한 정도의 디스크질환을 가진 환축에서 감압술과 병행된 줄기세포의 이식방법은 좀더 나은 예후를 기대하기 위한 치료방법들 중 하나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존적 한방치료를 진행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시간에 따른 영상의학적 추간판 크기 변화 1례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Up Case Study on Changes in a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reated with Korean Conservative Treatment)

  • 노지애;이지원;장재원;정우진;노제헌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879-885
    • /
    • 2018
  • Background: A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triggers low back pain (LBP). Korean conservative treatment can decrease the herniated disc size without traditional surgery, but detailed prognosis is unclear. Case summary: One patient presented with LBP and bilateral sciatica. She was diagnosed with lumbar HIV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reated by Korean medicine (acupuncture, decoction, and physical therapy). For 6 months, MRI follow-up exams showed the aggravation and migration of L5-S1 followed by distinct improvement of the same lumbar vertebra. Conclusion: The disc size in a patient with lumbar HIVD was reduced by Korean conservative treatment, and periodic radiologic examination showed the previously unrecognized process of absorbing the disc.

신연교정치료가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통증 및 추간판 각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istraction Manipulation on the Pain and Intervertebral Disc Angle in Patients With Herniated Intervertebral lumbar Disc)

  • 마상렬;이현희;김성학;이문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3호
    • /
    • pp.31-3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traction manipulation on the pain and. intervertebral disc angle in patients with herniated intervertebral lumbar discs. Methods: 30 patients who visited to receive the treatments of the physical therapy in W pain clinic in Daejeon. All subjects had been treated with flexion-distraction manipulation for 30 minutes per day and three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period from June 10 to 19 August 2006.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lumbar 4 and lumbar 5 group. Results: Pain of L4 and L5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an before treatment(p<0.05). The intervertebral lumbar disc angl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an before treatment(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straction manipulation has a effectiveness in patients with herniated lumbar disc.

  • PDF

경추 추궁절제술후 발생한 Causalgia (Causalgia After Cervical Discectomy)

  • 최훈;김동찬;한영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5권1호
    • /
    • pp.80-84
    • /
    • 1992
  • 49세 여자 환자가 경부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를 받기위하여 전신 마취하에 우측의 추궁 절제술과 전방 추체간 접합술을 받고난 즉시 회복실에서 부터 양측 상지에 작열통이 발생하였다. 환자는 양측 상지에 전형적인 작열통의 증상인 allodynia, 통각 과민(hyperalgesia), 통각 이상 과민증 (hyperpathia)을 보였으며 특히 우측 상지에는 심한 부종을 보이고 있었다. 환자는 일련의 성상 신경절 차단과 disposable $Daymate^{TM}$ portable elastomeric infusor를 이용한 연속적 상완신경총 차단으로 작열통이 완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