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가 정보

검색결과 8,565건 처리시간 0.063초

국제 개인정보보호 표준화 동향 분석 (2016년 4월 탬퍼 SC27 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 염흥열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0
    • /
    • 2016
  •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관리체계를 위한 추가 요구사항, 보안 측면의 통제, 프라이버시 측면의 통제가 요구된다[1,2]. 국제표준화위원회/전기위원회 합동위원회 1의 정보보호기술연구반 신원 관리 및 프라이버시 작업반 (ISO/IEC JTC 1/SC 27/WG 5)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여러 국제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18, 32, 22]. 본 논문에서는 작업반 1과 작업반 5에서 2016년 4월 SC27 회의에서 논의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표준화 이슈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BFS를 이용한 추가 메모리를 요구하지 않는 제로트리 압축기법 (Zero-tree Packetization without Additional Memory using BFS)

  • 김충길;정기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5_6호
    • /
    • pp.321-327
    • /
    • 2004
  • SPIHT는 수행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인 웨이블릿 기반의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SPIHT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로트리 및 계수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하여 리스트 구조를 사용하고 있어 추가 메모리를 요구하며, 비트율의 증가에 따라 메모리 요구량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SPIHT 알고리즘을 수행하는데 있어 추가 메모리를 요구하지 않는 MZC-BFS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peano 코드를 이용하여 완벽한 너비우선 순서에 따라 공간트리를 탐색하며, 부호화 과정에서 이전상태 중요계수 테스트 및 복원과정에서 계수의 LSB를 이용함으로써 SPIHT에서 리스트 문제를 제거한다. MZC-BFS는 SPIHT에 비하여 리스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하드웨어 구현이 간단하고 수행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추가 메모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하드웨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 확장 방안 마련 (Development of Digital Quantity Database Standard)

  • 문진석;한충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76-777
    • /
    • 2013
  •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 건설CALS/EC 체계 내에서 사용되는 공정 공사비 관리를 위한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관련 표준의 기본 요건을 정의하고 참여주체간의 효율적인 수량산출정보의 교환 및 공유기반을 마련함을 목적으로 2011년 4월에 제정되었다. 해당표준의 활용성과 확장을 위하여 스키마를 추가 개발하며, 건설사업관리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업참여 주체간 정보공유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IT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상용화 전략 (Strategy of the Short-term R & D Innovation for the Small and Medium IT Enterprise)

  • 송학현;김윤호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64-70
    • /
    • 2003
  • IT산업의 기술발달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킹에서 콘텐츠기술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들의 기술개발전략 또한 변화하고 있다. IT중소기업은 2002년말 GDP의 3.8%를 기여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있는 정보통신 산업경쟁력강화사업 및 우수신기술지정지원사업의 경우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컨텐츠 등 정보기술분야의 기술개발이 각각 60%, 54%를 차지하고 기술개발사업화는 기술개발기간으로부터 3년정도 추가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1996년부터 시작된 우수신기술지정지원사업의 경우 41%, 1999년부터 시작된 산업경쟁력강화사업은 18%의 사업화율을 보이고 있다. 중소기업들의 단기상용 기술개발전략은 정보기술분야를 우선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단기 기술개발일지라도 기술개발 후 3년 정도 추가 상용기술개발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여 기술개발에 접근하여야 한다.

  • PDF

소규모 문맥 자유 문법에 대한 Left-Corner / Look-Ahead 차트 파싱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Left-Comer and Look-Ahead Chart Parsing for Small-Sized Context Free Grammar)

  • 심광섭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7호
    • /
    • pp.571-579
    • /
    • 2009
  • 차트 파싱 알고리즘에서 left-corner와 look-ahead 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중간 구조가 생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싱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left-corner와 look-ahead 정보를 이용할 경우 불필요한 중간 구조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파싱 속도가 빨라지겠지만 이러한 정보를 유지 관리하고 참조하는 데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추가 비용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문법을 사용하여 파싱을 할 때에는 파싱 속도가 상당한 많이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 는 소규모 문법을 사용했을 때 파싱 속도가 어느 정도 향상되는가를 관찰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소규모의 문법에서는 파싱 속도 향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left-corner 정보는 파싱 속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저해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의미 연결 수치 알고리즘 (Numerical Algorithm to Link Meaning based on Mnemonic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19-224
    • /
    • 2019
  • 연도와 같은 수치 정보가 많은 교과목은 기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수치 기억법은 점, 선, 막대 등과 같은 많은 방법들을 적용한 정보 이미지는 기억을 도와주는 기호의 역할을 한다. 뇌의 기억 구조는 수치만을 제공하기 보다는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그래프 알고리즘이나 배열된 이미지 알고리즘을 제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정보가 많은 교과목을 선정하여 수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원본 데이터와 연결하고자 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진행되는 특유의 과정을 제안하고, 의미 연결 수치 알고리즘을 구현 평가한다.

CELP Type Vocoder에서 RTP 확장 헤더 데이터를 이용한 연속적인 프레임 손실에 대한 PLC 성능개선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LC by Using RTP Extension Header Data for Consecutive Frame Loss Condition in CELP Type Vocoder)

  • 홍성훈;배명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8-55
    • /
    • 2010
  • 패킷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음성부호화기는 자체적으로 PLC (Packet Loss Concealment)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지만 서비스에 적합할 만큼 좋지 않다. 더욱이 연속적인 패킷 손실에 대해서는 많이 취약하다. PLC 알고리즘은 크게 송신단 기반의 알고리즘과 수신단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나뉜다. 송신단 기반의 알고리즘은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음질개선에 큰 성능을 갖는 반면 데이터 전송율이 높아지고 추가 지연이 발생하며 상호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 수신단 기반의 알고리즘은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기 때문에 추가지연이나 정보가 필요 없으나 음질개선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RTP 헤더 정보 중 사용하지 않는 확장 헤더 데이터 (Extension Header Data: 32 bit)부분에 PLC를 위한 추가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신단 기반의 알고리즘이 갖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음질 개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지연 (delay)는 이미 수신단에서 네트워크상의 지연을 조정하기 위해 지터 버퍼 (jitter buffer)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지연은 없다. G.729 PLC를 위한 추가 정보는 LP 파라미터 합성용 MA필터 인덱스, 여기신호, 여기신호 이득 및 잔여신호 이득 파라미터로 프레임당 16 bit를 할당한다. 이는 RTP payload 전송 시 음성 데이터를 두 프레임인 20 ms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이다. 성능 평가 결과 기존 대비 13.5%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ARM9기반의 암호모듈 구현과 효율적인 모듈 호출 (Implementation of arm9-based cryptographic module and efficiently call model)

  • 송행권;윤승환;이옥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0-792
    • /
    • 2013
  • 정보화 시대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그리드 및 CCTV등 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한 정보가 존재한다면 데이터에 대한 보안은 중요한 요소 일 것이다. 현재 보안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장치에 보안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를 추가 혹은 교체하거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 방식을 선택하여 보안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며 범용적인 x86아키텍처와 ARM9아키텍처를 비교 분석하여 아키텍처 환경별 암호모듈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GPS 중파 신호의 지형에 의한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due to irregular terrain of DGPS medium frequency signal)

  • 양승철;유동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163-165
    • /
    • 2005
  • 최근 GPS의 이상 현상에 대한 대비 핀 독자 항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유럽의 갈릴레오 일본의 QZSS 등 세계 선진각국의 GPS에 독립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GPS의 백업 용도로 지상항법 시스템인 Loran의 현대화 작업 등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독자항법에 대한 필요성이 거론되었고 해양수산부는 해상 밀 국내 전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신호 영역을 가진 DGPS 신호의 대체항법 및 시각동기 인프라로서의 활용성에 대해 정책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GPS 보정 정보를 방송하는 DGPS 비콘 신호는 중파 대역으로 지표를 따라 전파되는 특성이 있다. 지표를 따라 전파되는 지표파는 지형의 전도율과 고도에 의해 전파의 전파시 추가 지연이 발생하고 이 추가 지연은 항법 린 시각동기에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은 DGPS 신호가 지형의 특성에 따라 지연되는 전파 특성 및 전파지연모델을 소개하고 해당 전파지연모델 구현 결과를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cdot$검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 PDF

레거시 컴포넌트의 유지보수를 위한 AOSD 기반의 Component Connector (The Component Connector for Maintenance of Legacy Component Based on Aspect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 김경민;김태웅;김태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C)
    • /
    • pp.244-246
    • /
    • 2006
  •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란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갖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이며, 조림을 통해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부품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이미 개발되어진 컴포넌트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확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컴포넌트를 개발하여 기존의 컴포넌트와의 조립을 통하여 이를 실현하거나 이미 개발되어진 컴포넌트를 수정해야 한다. 더구나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이 컴포넌트의 내부에 흩어져 있는 경우에는 컴포넌트를 수정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spect를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기능 추가 및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컴포넌트들 간의 조립을 위한 Component Connector를 제안한다. 컴포넌트들 간의 조림정보를 표현하는 Component Connector 모델을 제시하고 요청된 조립 서비스를 수행하는 Component Connector의 실현 클래스를 정의한다. 이것은 컴포넌트 플랫폼 독립적인 모델로 나타내어지며 적용사례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플랫폼 종속적인 모델로 변환 가능함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