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적pH

검색결과 3,340건 처리시간 0.036초

Alteromonas sp.가 생산하는 alkaline prote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alkaline protease from Alteromonas sp.)

  • 여인옥;최성현;이재숙;김찬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06-110
    • /
    • 1995
  • 알칼리성 protease를 생산하는 균을 고추장에서 분리하여 Alteromonas sp. CN301로 동정하고 그 알칼리성 protease를 생산하여 정제효소의 성질을 조사한 결과, 최적 pH 12.0, 최적 온도 $35^{\circ}C$이었으며 pH 안정성은 $pH\;6.0{\sim}13.0$ 범위에서 80% 이상의 잔존효소 활성을 나타냈고 $50^{\circ}C$에서 1시간 처리로 64%의 활성을 보였다. SDS-PAGE에 의한 분자량은 31,000 dalton이었고 $Hg^{2+}$를 제외한 다른 금속이온에 대해서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Tween 20과 80은 이 효소의 활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EDTA와 PMSF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므로 효소분자 중에 금속이온을 가지는 serine protease로 생각되었다.

  • PDF

대두유 응고효소 생산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production of soymilk-clotting enzymes from Bacillus sp. K-324-7)

  • 이기성;한면수;심상국;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54-160
    • /
    • 1990
  • 토양 시료로 부터 선별과정을 거쳐 대두유를 응고시킬 수 있는 extracellular 대두유응고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세균 K-324-7균주에 의한 효소생산의 확인과 형태적 생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cereu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K-324-7 분리균이 생산하는 대두유 응고효소는 황산암모늄 0.8포화 용액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적활성 pH는 6.1이며, 최적활성온도는 $70^{\circ}C$이었다. 또한 pH 안정성은 pH $6.0{\sim}7.0$ 사이에서 안정하였고 열안정성은 $5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인정하였다. 한편 대두유 응고효소의 생산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은 glucose 0.2%, 질소원은 peptone 0.2%, 무기염은 $KH_2PO_4$ 0.5%, pH는 6.5, 배양온도는 $35^{\circ}C$로 배양기간은 3일 정도가 적당하였으며 그 이상 배양하면 생성된 효소의 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피클용 오이 (Cucumis sativus)에 함유된 Lipoxygenase 효소활성의 변화와 효소의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and Localization of Lipoxygenase Activity in Cucumber (Cucumis sativus) Fruit)

  • 장미진;조일영;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14-421
    • /
    • 1995
  • Lipoxygenase (LOX) 효소의 최적 활성 조건과 활성 억제등 LOX 활성 측정의 중요한 정보를 확립하기 위하여, 추출 Buffer의 영향, 기질, pH, 저장, 온도, NaCl, $CaCl_2$외 cations 및 antioxidants의 요소들이 LOX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오이 tissue내의 LOX의 편재도 시험하였다. LOX에 대한 우수한 기질은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순서였다. 오이 껍질이나, mesocarp tissue내에 존재하는 LOX의 활성은 pH 5.5가 최적 조건이었으며, 섭씨 $40^{\circ}C$$50^{\circ}C$에서는 비교적 안정성을 보였다. LOX의 활성은 pH 5.0와 0.2M NaCl 조건을 같이 주었을때 opitimum 안정성을 보였다. LOX 활성은 $Mn^{2+},\;Cu^{2+}$ 또는 $Al^{3+}$와 같은 양이온에 의해서는 감소되었지만, 오히려 $Ca^{2+}$은 효소의 활성을 자극시켰다. 한편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와 propyl gallat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LOX 활성은 감소되었다. 오이 껍질에서의 LOX의 활성은 다른 tissue에, locule, mesocarp, 비해 최고치를 보였다.

  • PDF

Anthraquinone계 염료의 제거를 위한 호알칼리성 Bacillus sp.의 분리와 성장 특성 (Isol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lkalophilic Bacillus sp. for Removal of Anthraquinone Dye.)

  • 김정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7-71
    • /
    • 2001
  • 자연계로부터 anthraquinone계 염료인 Remazol brilliant blue R를 분해.탈색하는 호알칼리성 균주를 분리하여 Bacillus sp. ARB1으로 명명하고 성장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 배양온도와 pH는 $35^{\circ}C$, pH 9.0로 나타났다. 배양액의 초기 pH가 10과 10.5일 경우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라 pH 값이 점점 감소하여 40시간 후 9.3, 9.4로 각각 감소하였다. 진탕배양의 경우가 정치배양의 경우보다 Bacillus sp. ARB1의 탈색율이 현저히 높았다. 최적 배양조건에서 Bacillus sp. ARB1을 회분배양한 결과 배양 32시간 후 93%의 탈색율을 나타내었다. 실제 염색가공폐수를 사용한 회분배양에서 40시간 후에 탈색율은 78%로 나타났다.

  • PDF

명태단백 가수분해물 제조 및 plastein의 합성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and plastein from alaska-pollack)

  • 서형주;이호;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39-345
    • /
    • 1992
  • 명태육의 식품가공적성과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pronase에 의한 명태단백의 가수분해조건과 fruit-와 stem-bromelain에 의한 plastein의 합성 반응조건을 검토하였다. Pronase 가수분해 최적조건인 반응pH 7.0, 반응온도 $40^{\circ}C$, 기질 g당 효소첨가량 1,000units 및 반응시간 4시간에서 89% 분해도를 보이는 명태단백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Plastein은 pH가 각각 5.0(stem-bromelain)과 7.0(fruit-bromelain)으로 조정된 기질 30% 용액에 bromelain 1%를 가하여 $40^{\circ}C$, 24시간 진탕반응하여 합성하였다. 이 최적조건에서 합성된 plastein은 각각 22.6과 20.8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관능검사에 의해 반응초보다 크게 쓴맛이 제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Candida dattila K109와 K112 균주의 Killer 특성 (Killer Characteristics of Candida dattila KI09 and Kl12 Strains)

  • 정원철;장해춘;최언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6-30
    • /
    • 1990
  • 포도에서 분리하여 동정한 Candida dattila K109와 K112 균주는 Kluyveromyces, Hansenula, Debaryomyces, Torulopsis, Brettanomyces속 효모에 대해 killer 활성을 가졌으며, 이들 균주의 최적 pH는 3.9-4.0이고, 최적 온도는 22-26$^{\circ}C$였다. Candida dattila K109와 K112 균주의 toxin은 단백질 분해효소인 pronase E와 pepsin에 의한 killer 활성이 없어졌으며, 2$0^{\circ}C$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25^{\circ}C$ 이상에서는 killer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pH 2.0-4.0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고 그 이상의 pH에서는 급격히 활성이 저하되었다. 이들 균주의 killer toxin은 gel filtration에 의하여 단백질과 당을 확인하였다. Candida dattila K109와 K112 균주는 0.0105-0.3ppm cycloheximide 처리에 의하여 처리농도가 놓을 수록 killer 활성이 소멸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30-37$^{\circ}C$의 가온처리에 의하여 killer활성이 소멸되지 않는 등 기존의 killer 효모의 특성과 다소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산성 pH 충격 스트레스에 의한 스트랩토마이세스 시에리컬러 M511의 프로디지닌 생산 증대 (Enhanced Prodiginines Production in Streptomyces coelicolor M511 by Stress of Acidic pH Shock)

  • 모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3-277
    • /
    • 2010
  • 운데실프로지닌과 스트래토루빈 B는 S. coelicolor가 생산하는 붉은색 항생물질이다. 이번 연구에서 이들 붉은색 항생제의 생산성과 pH shock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연구 하였다. 운데실프로디지닌과 스트랩토루빈 B의 생합성은 고체 R2YE 배지에서 산성 pH shock에 의해 증가되었다. 최적 pH shock은 pH 4로 비교군과 비교하여 각각 1.6배 및 2배 운데실프로디진과 스트랩토루빈 B의 생산성이 증가되었다. 게다가, 산성 pH 4의 세포 추출물은 T. mentagrophytes 에 대한 주목할만한 저항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성 및 염기성 pH shock에서는 이들 항생제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항진균 활성 증가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록 산성 pH shock이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지만, 이들 붉은색 항생물질과 다른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 향상에는 매우 효과적인 접근방법일 것이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복원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 용액 pH의 효과 (Effect of Surfactant Solution pH on Surfactant-Assisted Remediation)

  • Dal-Heui Lee;Rovert D. Cody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3호
    • /
    • pp.301-306
    • /
    • 2001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복원에 있어서 제거효율에 영향을 주는 계면활성제 용액 pH의 최적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상실험이 수행되었다. 톨루엔과 1,2,4-trichlorobenzene이 소수성 유기 화합물로서 선택되었다. 4%(v/v)의 sodium diphenyl oxide disulfonate(DOSL), trideceth-19-carboxylic acid(TDCA), octylphenoxypoly ethosye-thanol(OPEE)을 사용하여 두 종류의 아이오와 토양(Fruitfield sand, Webster clay loam)에 대한 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톨루엔과 1,2,4-trichlorobenzene의 제거효율은 계면활성제 용액 pH 10에서 나타났고, Furifield 사질토양에서 DOSL을 이용한 경우 최대 제거효율은 각각 94%, 97%였다. Fruitfield 사질토양에서 DOSL을 사용한 경우, pH 조절에 의하여 증가된 톨루엔과 1,2,4-trichlorobenzene의 제거효율은 각각 16%와 20%였다. Webster clay loam에서 DOSL을 이용한 경우 최대 제거효율은 각각 89%, 93%였다. Webster clay loam에서 DOSL을 사용한 경우, pH 조절에 의하여 증가된 톨루엔과 1,2,4-trichlorobenzene의 제거효율은 각각 26%와 19%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NAPLs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데 있어서 계면활성제 용액의 pH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Chaetomium globosum 이 생성하는 Cellulose 분해 효소에 관한 연구 -(제2보) Cellulase의 정제- (Studies on Cellulolytic Enzyme Producing by Ckaetomium globosum -Part 2. Purification of Cellulase-)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33-41
    • /
    • 1969
  • 1. Cheatomium globosum의 밀기울 배양기에서 조효소를 추출하고 황산암모니움 염석 부분을 cellulose 분말 column으로 2개의 cellulase활성 부분(C-1, C-2)을 분리 하였다. 그 하나는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하며 (C-1) 다른 하나는 곁도 감소 활성이 강하였다. (C-2) 그러나 단백질 량은 C-1부분이 많았고 C-2 부분은 적었다. 2.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한부분 (C-1)을 DEAE-Sephadex A-25 column에서 분리할 결과 다시 2개의 성분 (C-1-1 및 C-1-2)으로 나누어 졌다. 그리고 C-1-2는 column에 강하게 흡착되었고 2M-NaCl의 용액으로 용출되었다. 이는 착색 된 것으로 봐서 C-1-1과는 아주 다른 단백질로 생각이 된다. 3. Cellulase C-1-1을 다시 Amberlite XE-64 column으로 분별하여 단일의 peak를 얻었다. 4. Cellulase C-1-1 부분의 초원심 침강계 면은 단일의 peak로 나타나고 또 자외선 홍수 spectrum도 전형적인 단백질의 흡수 spectrum을 나타 내었다. 5. Cellulase C-1-1의 최적 pH는 환원당 증가활성법으로나 점도 감소 활성법으로 다 같이 pH 4.0이였다. 6. 그리고 그의 최적 온도는 $40^{\circ}C$였다. 7. Cellulase C-1-1의 pH 안정성은 $40^{\circ}C$에서 pH 5.0 내지 pH 8.0의 범위 내였다. 8. 그리고 열안정성은 pH 4.0에서 $50^{\circ}C$ 이하였다

  • PDF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홍삼주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 for Red Ginseng Win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호;강복희;노상균;김종국;이상한;이진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6-564
    • /
    • 2008
  • 인삼의 다양한 식품소재개발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홍삼주의 최적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의하여 독립변수로서 발효온도, 발효기간 및 초기 pH를 설정하여 종속변수 홍삼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유효성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주의 알코올 함량과 총당 함량은 발효온도와 발효기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발효기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의 pH는 초기 pH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주의 유효성분인 Ginsenoside 함량을 조사한 결과 주로 발효온도보다는 발효기간 및 초기 pH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발효기간이 길고 초기 pH가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유효성분 함량에 대하여 superimposed counter map으로 최적 조건을 예측한 결과 발효온도 $21{\sim}27^{\circ}C$, 발효기간은 $15{\sim}20$일, 초기 pH의 경우 $4.6{\sim}5.2$로 각각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