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적 우수시스템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Particle Swarm Optimization based Control Scheme for Super peer Ratio in Unstructured Peer-to-Peer System (비구조적 피어-투-피어 시스템에서 입자 군집 최적화를 이용한 우수 피어 비율 조절 기법)

  • Jang Hyung-Keun;Han Sung-Min;Park S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163-165
    • /
    • 2006
  • 비구조적인 피어-투-피어 시스템은 구조적 피어-투-피어 시스템에 비해 동적인 상황에 적합하지만 메시지가 여러 다른 피어를 이동하면서 검색하기 때문에 검색 시간이 길고 검색의 성공률이 낮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수 피어를 사용한 계층적 피어-투-피어 시스템이 연구 되었다. 효율적인 계층적 피어-투-피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피어가 얼마나 많이 우수 피어로 선택되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자기 조직적 링 구조 기법을 기반으로 우수 피어의 비율을 환경에 적응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환경에 적합한 비율 조절을 위해 효율적으로 최적 또는 최적에 가까운 해를 찾는 것으로 알려진 입자 군집 최적화(PSO : Particle Swarm Optimization)기법을 사용하였고 성능 평가 결과 PSO를 적용한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볼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peak flow reduction for rainfall characteristics in optimal sewer networks (최적 우수관망에서의 강우특성별 첨두유출량 저감양상 분석)

  • Lee, Jung-Ho;Ryu, Seung-Hyun;Song, Y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8-2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 우수관거 시스템의 근본적인 목적인 내수침수 방재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첨두 유출량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우수관망 최적설계 모형(이정호, 2010)을 이용하여 실제 도시유역에 대하여 다양한 인공적인 강우 사상들을 적용하여 실제 강우 발생 시 첨두유출량 저감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최적 우수관망 노선 결정 모형은 이정호(2010)가 개발한 모형으로 도시유역에서의 우수관망의 노선 결정을 유출구에서의 첨두유출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모형이다. 이정호(2010)는 개발된 모형을 통하여 도시유역에서 유출구 첨두유출량을 최소화하여 관망 노선을 결정한 결과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에 대해서 내수침수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정호(2010)의 우수관망 최적 설계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인공적인 강우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우수관망에서의 유출구 첨두유출량의 저감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강우사상은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강우사상에 대하여 강우의 첨두치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되어 발생하는 강우사상들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의 첨두치가 연속되는 경우에도 최적화된 관망에서의 첨두 유출량은 현재의 관망에 비하여 감소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우의 첨두유출량 발생 시각은 각 우수관망별로 1분 및 2분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최적화된 우수관망이 시스템 내의 지체 현상에 따른 첨두유출량 감소를 유발하는 것이 아닌 관망 전체에서의 유입량의 적정 분배에 따른 것임을 나타낸다.

  • PDF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Optimal Stormwater Reservoir based on Grid units and the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격자단위 기반의 최적 우수저류지 설치 및 LID 시설물 적용 연구)

  • Uugantsetseg, Gankhuyag;Choi, Gyung Min;Lee,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3-343
    • /
    • 2022
  • 강우의 유출은 하늘에서 발생한 강우가 다양한 유역을 거쳐 하천 및 해안 등으로 방류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인 유량처리를 위하여 대부분의 도시 유역에는 우수관망이 설치되어 있다. 우수관망은 일정 빈도 이하의 강우량 방재를 목적으로 설계하며, 해당 강우량을 초과하는 경우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우수관망의 목표 강우를 초과하는 경우를 위하여 우수 저류지, 펌프장 및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물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발생유역을 격자로 분할하여 우수의 흐름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저류지 및 LID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고자 한다. 분석지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인근이며, ArcGIS 10.8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형을 3D로 구현하였으며 EPA-SWMM 5.1을 이용하여 침수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구성된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를 10m × 10m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지표고에 따른 유량의 흐름 및 중첩을 판단하였다. 분할된 격자들 중 유량의 중첩 정도가 가장 높으며 침수피해 정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종류 및 크기를 고려한 최적의 비용과 효율을 갖는 저류지 및 LID 시설물 설치 위치를 결정하였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 시스템에서의 이득 설계

  • 전태원
    • 전기의세계
    • /
    • v.36 no.9
    • /
    • pp.658-664
    • /
    • 1987
  • 최적이득을 구하는 해석적인 방식으로 안정여유에 의한 최적화방식과 공액경사법에 의한 최적화방식을 살펴보았으며, 두방식을 비교해 보면 몇몇 문제점이 존재하나 다음의 몇가지 점에서 공액경사법에 의한 최적화방식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제어루우프내의 제어기 수에 관계없이 이 방식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2) 시스템을 수식으로 모델링할 때 거의 간략화함이 없이 표현하므로 실제 시스템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3) 평가함수 내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과도응답을 가지는 최적이득으로 유도할 수 있다. 공액경사법에 의한 최적화방식은 벡터제어나 전류제어PWM등 보다 복잡한 제어루우프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직류기 및 서보전동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flow change for urban basin characteristics in optimal sewer networks (도시유역 특성별 우수관망 최적화에 따른 유출 변화 분석)

  • Lee, Jung-Ho;Song, Yang-Ho;Ryu,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7-247
    • /
    • 2011
  • 도시유역에서의 일반적인 우수관거 설계 및 기존의 연구들은 수리학적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최소의 비용을 위한 관거 설계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최적의 우수관거 설계는 우수관거의 근본적 목적인 내수배제를 최대화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것은 관망 구성에 따른 시스템 내 유입 수문곡선들 간의 중첩효과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내 흐름의 변화를 관망의구성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목적함수로서 다루고 있는 이정호(2010)의 우수관망 최적설계 모형에 대하여 각기 다른 유역 특성을 나타내는 실제 도시유역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최적 우수관망 노선 결정 모형은 이정호(2010)가 개발한 모형으로 도시유역에서의 우수관망의 노선 결정을 유출구 첨두유출량 최소화를 목적으로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모형이다. 이정호(2010)는 개발된 모형을 통하여 관망 노선을 결정한 결과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에 대해서 내수침수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정호(2010)의 모형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유역 특성을 갖는 실제 도시유역들에 대하여 해당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때 유역의 특성은 지표유출 및 첨두유출량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역의 지표 경사에 대하여 고려되었다. 적용된 도시유역은 총 3개 배수분구로서 평균 지표 경사는 0.008, 0.006, 0.002로 각기 높은 경사, 보통 경사 및 완만한 경사 지대를 염두에 둔 유역 선정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각 유역에 대하여 우수관망 노선을 최적화한 결과 설계빈도의 강우지속기간 30분 강우에 대하여 현재의 관망 대비 최적화된 관망에서의 첨두유출량 저감 비율은 지표경사 0.008인 유역에서는 약 7%, 지표경사 0.006인 유역에서는 약 17%, 지표경사 약 0.002인 유역에서는 약 8%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역의 경사 특성에 따른 최적 우수관망을 통한 첨두유출량의 저감 비율간에는 상관관계를 정의할 수 없으며, 단지 우수관망에서의 노선 변경이 가능한 맨홀 지점이 어떤 중요한 지점에 얼마나 위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Optimial Identification of Fuzzy-Neural Networks Structure (퍼지-뉴럴 네트워크 구조의 최적 동정)

  • 윤기찬;박춘성;안태천;오성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99-1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시스템의 최적 모델링을 우해서 지능형 퍼지-뉴럴네트워크의 최적 모델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본 모델은 퍼지 추론 시스템의 언어적인 규칙생성의 장점과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기능을 결합한 FNNs 모델을 사용한다. FNNs 모델의 퍼지 추론부는 간략추론이 사용되고, 학습은 요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른 모델들에 비해 학습속도가 빠르고 수렴능력이 우수하다. 그러나 기본 모델은 주어진 시스템에 대하여 퍼지 공간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퍼지 소속을 정의한다. 이것은 비선형 시스템의 모델링에 있어어서 성능을 저하시켜 최적의 모델을 얻기가 어렵다. 논문에서는 주어진 데이터의 특성을 부여한 공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주어진 시스템에 대하여 상호 연관성이 있는 데이터들끼리 특성을 나누어 몇 개의 클래스를 이룬다.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초기 FNNs 모델의 퍼지 공간을 나누고 소속함수를 정의한다. 또한, 최적화 기법중의 하나로 자연선택과 자연계의 유전자 메카니즘에 바탕을 둔 탐색 알고리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주\ulcorner 진 모델에 대하여 최적화를 수행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습 및 테스트 데이터의 성능 결과의 상호 균형을 얻기 위한 하중값을 가긴 성능지수가 제시된다.

  • PDF

Comparison of Optimization Techniques in Cost Design of Stormwater Drainage Systems (우수관망 시스템 설계에 있어서의 최적화기법의 비교)

  • Kim, Myoung-Su;Lee, Chang-Yong;Kim, Tae-Jin;Lee, Jung-Ho;Kim, Jo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2 s.21
    • /
    • pp.51-6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least cost system design method for branched storm sewer systems while satisfying all the design constraints using heuristic techniques such as genetic algorithm and harmony search. Two sewer system model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EWERGA and SEWERHS both determine the optimal discrete pipe installation depths as decision variables. Two models also determine the optimal diameter of sewer pipes using the discrete installation depths of the pipes while satisfying the discharge and velocity requirement constraints at each pipe. Two models are applied to the example that was originally solved by Mays and Yen (1975) using their dynamic programming(DP). The optimal costs obtained from SEWERGA and SEWERHS are about 4% lower than that of the DP approach.

Design of Pre-filters for Maximizing Diversity Gain in MIS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IS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하는 사전필터의 설계)

  • 김산해;김홍철;김학성;이원철;신요안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613-6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3GPP에 규격으로 채택된 전송 다이버 시티 기법들 중에 이상적인 상황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갖는 폐쇄루프 전송 다이버시티 (CLTD : Closed Loop Transmit Diverstiy) 기법과 선형 사전필터의 조합을 통해 MISO 시스템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의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전필터의 최적의 필터 계수 값을 사용하여 다이버시티이득을 최대화하였고 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 결과 CLTD 기법보다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Design Simulation Model for Least Cost Urban Sewer System Considering Risk (II) (위험도를 고려한 최소비용 도시우수관망 설계의 최적화 모형개발 (II): 위험도를 고려한 최적화 모형)

  • Park, Sang-Woo;Jang, Suk-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2 s.161
    • /
    • pp.1029-1037
    • /
    • 2005
  • Urban Storm Sewer Optimal Design Model(USSOD) was developed to compute pipe capacity, pipe slope, crown elevation, excavation depth, risk and return cost in the condition of design discharge. Rational formula is adopted for design discharge and Manning's formula is used for pipe capacity. Discrete differential dynamic programming(DDDP) technique which is a kind of dynamic programming (DP) is used for optimization and first order second moment approximation method and uncertainty analysis is also for developing model. USSOD is applied to hypothetical drainage basin to test and verify. After testing the model, it is also applied to Ulsan drainage basin which was developed by Korea Land Cooperation(KOLAND). Comparing the design results of USSOD with those of KOLAND, discharge capacity 0.35 $m^3/sec$, the crown elevation is 0.77m higher and return cost is $9\%$ less than design results of KOLAND, which verify the improvement of USSOD. Layout design model using GIS and optimization including detention or retention effect are needed in the future study.

An Optimal Sewer Network Design to Reduce the Damage for Urban Inundation Risk Area (도시 침수 위험지역의 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관망 최적설계)

  • Lee, Jung-Ho;Ryu, Seung-Hyun;Song, Y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71-471
    • /
    • 2012
  • 도시유역에서 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방류토구 인근의 저지대의 경우 유수지 및 빗물펌프장을 통하여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 도심지 한복판에 이러한 상습 침수지역이 존재한다면 이에 대한 침수 방지 시설물의 설치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도심지 한복판의 침수위험지역의 경우 부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유수지의 설치는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근래 대두되고 있는 것이 지하 저류공간의 건설 등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하 저류공간의 건설과 더불어 우수관망의 설계 자체를 침수피해 저감 측면에서 그 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설계빈도하에 설계된 우수관망이라 하더라도 관망의 노선 선정에 따라서 초과강우사상에 따른 침수 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우수관망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사상에 대하여 그 부하량을 적정히 분배함으로써 관망의 전체적인 침수 발생 위험을 전반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확보되는 안전성은 지하 저류공간 등 각종 침수피해 저감 시설과 더불어 우수관망시스템의 침수피해 발생 위험을 전반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하에 도시유역에서의 침수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우수관망의 신뢰도 산정 식을 토대로 목적함수를 아래의 식과 같이 구성하였다. $$Max.\;liability\;of\;Sewer\;Networks=1-\;{(1-N)^2+(1-V_i)^2\atop2}\;\cdots\cdots\cdots\;\;\;(1)$$ 여기서, $V_i$는 적용된 강우량당 유역의 전체 유출량 대비 월류발생량을 나타내며, $N_i$는 적용된 강우량당 해당 관망의 전체 지점 수 대비 월류 발생지점 수를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우수관망의 신뢰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도시유역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최적 설계에 따른 신뢰도 향상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