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적위치

검색결과 2,409건 처리시간 0.032초

초고층건물에서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한 캡 트러스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p Truss on Optimal Outrigger Location in Tall Building)

  • 김형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40-49
    • /
    • 2013
  • 본 연구는 구조해석 프로그램 MIDAS-Gen을 사용하여 80층 건물의 구조분야에 대한 계획설계를 실시한 후에 캡 트러스가 설치된 초고층건물의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 구조해석의 주요한 변수는 아웃리거 위치와 주요한 구조요소 (아웃리거, 외곽기둥, 전단벽 등)의 강성이다. 캡 트러스가 설치된 초고층건물의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찾기 위하여 초고층건물의 구조설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 요소의 하나인 최상층의 수평변위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웃리거 위치와 아웃리거, 외곽기둥, 전단벽과 같은 주요한 구조요소의 강성은 최적의 아웃리거 위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초고층건물의 수평변위를 최소화시키는 최적의 아웃리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엔지니어링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계 제어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구동장치와 측정장치의 최적위치 선정 (Necessary Conditions for Optimal Actuator and Sensor Locations for Suboptimal Control of Distributed Parameter Systems)

  • ;조영준;조형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91-195
    • /
    • 1982
  • 연속계의 동적 시스템을 제어하고저 할 때에는 구동장치와 측정장치를 어느 위치에 두느냐에 따라 시스템의 제어 성능이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선정 문제가 매우 중요한 설계변수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연속계의 제어시스템을 설계하고저 할 때를 고려하여, 그들의 최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조건식을 최적 제어 이론을 바탕으로 유도하였다.

RBF 네트웍에서의 기저함수의 최적위치 추정방법 (Estimation of Basis Functions in RBF Networks)

  • 이종필;김성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576-2578
    • /
    • 2003
  • RBF 네트워크에서 기저함수의 위치는 네트워크의 성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몇몇 응용들에서 교사학습을 이용한 기저함수의 위치 선정이 비교사학습에 비해 우수함을 보인다. 그러나 교사학습에 의한 네트워크는 시그모이드 네트워크와 같은 긴 학습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차함수의 gradient와 Hessian을 이용해 교사학습에서 요구하는 학습시간을 단축시키면서 기저함수의 최적위치를 추정하였다.

  • PDF

초고층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 위치에 대한 수정제안 (Modified Proposal for Optimal Loca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in High-rise Building)

  • 김형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예측하는 대표적인 기존식보다 적절한 식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79개 기존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해석모델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존 오프셋 아웃리거 모델에서의 주요한 변수는 전단벽과 오프셋 아웃리거의 강성, 오프셋 아웃리거에 연결된 외곽기둥의 강성, 프레임의 강성, 전단벽-프레임 구조에서 프레임의 수평강성비 등이다. 본 논문은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초고층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한 중요한 구조공학자료를 제공한다.

진동형상 민감도에 의한 가속도계 최적위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Accelerometer Locations using Mode-Shape Sensitivity)

  • 권순정;신수봉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29-3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진동형상의 민감도로 유도한 피셔정보행렬(Fisher Information Matrix)를 이용하는 가속도계의 최적위치 결정 기법 MS-EIDV(modal sensitivity-effective independence distribution vector)을 제안하고, 이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잘 반영하여 가속도계의 최적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실험을 위한 가속도계의 최적위치는 구조물의 변수가 기지값이어야 결정되지만 구조물의 변수값은 실험결과를 사용한 SI(system identification)기법과 같은 역해석을 통해 구해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구조변수의 오차를 감안하여 미지의 구조물의 현 상태를 통계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들의 검증을 위해 주파수영역 SI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구조변수 추정 결과를 통해 현장에서 계측하고자하는 진동형상의 수에 따른 최소 필요 가속도계의 개수를 제시하였다. 수치예제에서는 진동형상만을 이용한 최적위치 결정법인 EIDV기법과 제안된 MS-EIDV기법에 의해 추정된 구조 변수 결과를 비교하였다.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 위치에 대한 제안 (Proposal for Optimal Posi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 김형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84-91
    • /
    • 2019
  • 본 논문은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한 제안을 목적으로 70층 규모의 아웃리거 건물을 대상으로 일반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Gen을 이용하여 계획설계 수준의 구조설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주요 변수는 전단벽의 강성, 프레임의 강성, 아웃리거의 강성, 아웃리거에 접합된 기둥의 강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최상층의 수평변위, 아웃리거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 아웃리거의 최적위치에 대한 기존모델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초고층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위치를 찾는데 필요한 구조공학자료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

우수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을 고려한 LID 최적위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LID Location Considering Runoff and Pollutant Load)

  • 전상훈;이의훈;권순호;조덕준;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0-480
    • /
    • 2017
  •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는 주차장, 건물 및 도로 등 유역의 불투수 면적을 증가시켜 강우에 의한 침수피해 및 비점오염원에 따른 하천의 수질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출저감 시설인 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LID)을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LID 기술은 우수의 침투 및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토지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도시개발 기법이다. 대표적인 LID 요소기술로는 옥상녹화, 투수성포장 및 생태저류장치 등이 있으며 도로변, 건물주변, 건물옥상 등에 설치되어 강우유출량과 비점오염물질의 오염부하량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에 위치한 가산 1 빗물펌프장 유역에 LID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LID 요소기술은 옥상녹화 및 투수성포장으로 선정하였다. LID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적용시키면서 유출지점에서의 우수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이를 최대로 저감시킬 수 있는 최적위치를 결정하였다. 최적위치에 LID를 설치하였을 때 우수유출량은 옥상녹화의 경우 약 2.20 %, 투수성포장의 경우 약 2.28 %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염부하량은 두 가지 경우에서 약 4.74 %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최적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우수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의 저감효과가 서로 독립적으로 거동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을 복합적으로 설치한 경우의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iDAR자료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한 최적 Sensor 위치 선정 가능성 분석 (A study on Optimal Sensor Placement using 3D information of LiDAR)

  • 유한서;이우균;최성호;강병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4-245
    • /
    • 2009
  • 일반적으로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자료로부터 3차원 위치정보와 속성 정보를 취득하여 활용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rid($100m{\times}100m$) 기반인 2차원적 Grid Point를 통해 Sensor Field를 정하고 LiDAR의 3차원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센서 위치를 선정하고 중간에 장애물(Obstacle)이 존재하는 경우 또한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위치인 Grid point를 선정하였다. 알고리즘은 3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첫째 장애물이 없는(Non Obstacle) 2차원적인 경우, 둘째 장애물이 존재(Obstacle)하는 2차원적인 경우, 셋째 장애물이 존재(Obstacle)하며 3차원적인 알고리즘을 고려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LiDAR를 직접 적용하여 최적 선정 지역을 도출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할 것이다.

  • PDF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점포의 5년 이상 생존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사례 중심-

  • 권용석;권명중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2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창업하여 5년 이상 생존한 편의점이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것이 크다는 영향을 증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주요 지역의 5년 이상 생존 점포 사례를 본인과 지인의 사례 점포, A 메이저 프랜차이즈 편의점 직원이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실제 창업 생존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입지요인은 편의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점포는 5년 이상 생존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편의점 창업은 5년 이상 생존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입지유형에 대한 인식과 실전 적용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창업시장으로 보면 편의점과 같이 상품의 동질성이 높은 업종이나 위치에 중점을 둔 창업인 경우 까지 확대하여 창업가의 실패를 줄이고 장기적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확대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격자구조망에서 두 개의 게이트웨어 최적 위치 설정을 위한 알고리즘 및 원리 (Algorithm and Rules for the Optimal Positiion of Two Gateways in Grid Topology Networks)

  • 고종하;양영님;신호간;이정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2호
    • /
    • pp.223-231
    • /
    • 1999
  • 본 논문은 두 개의게이트웨이를 사용한 격자구저망에서 최적의 게이트웨이 위치 설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원리를 유도하였다. 최적의 게이트웨이 위치란 격자구조망내 각 노드에서 게이트웨이까지의 평균 최소 링크 수를 가지는 위치로 정의한다. 두 개의 게이트웨이르 사용함으로써 망내의 신뢰도 향상 효과를 가져오며, 우회 경로로 인한 호차단 확률(call blocking probability)과 호설정시간(call setup time)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게이트웨이의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는 Grid-Traverse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설정원리들을 유도하여 , 수학적 귀납법으로 이 원리들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