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 침습법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주관절 구축의 관혈적 치료 (The Open Surgical Treatment for Stiff Elbow)

  • 이지호;라인후;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93-298
    • /
    • 2010
  • 목적: 주관절은 굴곡 구축 40도 이상 굴곡 제한 105도 이하일 경우 일상 생활에 상당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관절로 그 치료의 정도 및 시기를 결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 종설에서는 현재까지 인정된 주관절 구축의 수술적 접근법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도록 하겠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병력을 포함하여 충분한 임상적 조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방사선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의 주관절 구축에 대한 원인 및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수술법을 선택한다. 수술법으로는 관절경적 유리술 (arthroscopic release) 및 관혈적 유리술 (Open release), 견인 관절 성형술 (Distraction Arthroplasty), 인공관절 치환술 (Total elbow replacement)이 있으며 관혈적 유리술은 4가지 기본 도달법 -전방 도달법 (anterior approach), 내측 도달법 (medial "over the top" approach), 제한된 외측 도달법 (limited lateral approach: column procedure) 광범위 후방 도달법 (posterior extensile approach)-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결과 및 결론: 현재 주관절 구축의 수술은 관절경의 발달로 인한 최소 침습적인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그 경과의 판정은 아직 미미하며 그에 대한 문헌 보고가 많지 않은 상태로 고식적인 개방성 접근법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접근법에 따른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Impression cytology를 이용한 건성안의 결막 세포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junctival Cellular Changes in Dry Eye Patients by Impression Cytology)

  • 김재민;고은경;채수철;김순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3-343
    • /
    • 2004
  • Impression cytology는 결막상피의 표층을 떼어내기 위해 안구 표면에 cellulose acetate filter 재질을 같이 이용한다. 이 방법은 비 침습적이고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최소한의 불편감을 주며 결막표면에 반복해서 시행하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결막 표면의 형태학적 연구와 squmaous metaplasia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성안 환자에서 impression cytology를 이용하여 결막표면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70명의 콘택트렌즈 비착용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먼저 조사 대상자들에게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비침습성 tear thinning time(TTT) 검사를 시행하고 다음에 침습성 검사인 Schirmer tear test(SIT), tear film break-up time(TBUT) tests 그리고 Rose-bengal staining올 시행하여 건성안 의심자를 분류하였다. 하 안구결막으로부터 결막 상피세포는 impression cytology기법으로 수집하여 PAS(Periodic Acid Schift)-haematoxylin 염색을 시행하였다. 배상세포와 결막상피세포는 광학현미경 400배에서 관찰하여 squamous metaplasia의 정도에 근거한 Nelson Grading scale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이는 배상세포 밀도, 세포의 크기와 형태, 핵:세포질 비 등을 포함한다. 건성안 의심자는 상피세포의 형태적 변화, 핵의 변화, 배상세포 밀도 감소를 보였다. 세포학적 변화 정도는 건성안 조건의 정도에 관련이 있었다. 상피세포 형태를 Nelson의 분류시스템으로 단계를 나눈 결과 대조군의 91.43%가 grade 0 이었고 8.57%가 약간의 이상형태인 grade 1이었다. 반면에 건성안 의심자에서는 20%가 grade 0, 42.86%가 grade 1, 34.29%가 grade 2 그리고 2.86%가 심한 형태적 변화를 보인 grade 3를 나타냈다. Impression cytology는 부작용이나 거부반응이 없는 안구 표면 상피의 비 침습적 또는 최소 침습적 생검법으로 생각되며 안구표면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과정을 위한 유용한 진단 기법으로 안전하고 간단하며 건성안 의심자의 다양한 안구 표면 변화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골 시멘트 중합 비율 변경이 척추성형술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분석 (A Micro Finite Element Analysis on Effects of Altering Monomer-to-Powder ]Ratio of Bone Cement During Vertebroplasty)

  • 김형도;탁계래;김한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51-458
    • /
    • 2002
  • 골다공증이란 골량의 감소에 의해 야기되며. 해면골 미세구조의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병이다. 약물치료(부갑상선 호르몬)법은 골소주의 두께 및 골의 강도를 어느 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 호르몬 치료법이다. 척추성형술은 골다공성 척추 압박 골절의 치료를 위하여 척추 해면골에 주사기를 통하여 골 시멘트를 주입하는 최소 침습적 수술법이다. 임상적으로 골 시멘트의 물성치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점성 감소와 주입 시간 확보를 위해 중합비율을 변경하여 사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시멘트 중합비율 변경에 따른 척추 해면골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는 수정된 보로노이 도형을 이용하여 척추 해면골의 유한요소 모델을 생성하고, 골 시멘트의 중합비율(0.40~l.07$m\ell$/g)에 따른 척추 해면골의 강도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골다공증 치료에서 호르몬 치료와 골 시멘트 치료의 상대적인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골 시멘트 치료모델의 탄성계수와 강도는 정상 상태의 약 50%로 회복되었으며, 이 값은 호르몬 치료 모델의 약 2배이다. 0.53$m\ell$/g의 중합비율에서 골 시멘트의 탄성계수와 강도가 최고이며 1.07$m\ell$/g의 중합비율에서 최소의 탄성계수와 강도(각각 42%와 49%)이지만 약물 치료보다는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척추성형술시 제작사에서 추천하는 중합비율과 다른 비율을 사용할 경우 골 시멘트의 물성치 감소뿐만 아니라 환자의 골 밀도에 따라서 해면골의 강도회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박멸 후 13C-요소 호기 검사와 내시경적 생검을 이용한 재감염률 연구 (Helicobacter pylori reinfection rate by a 13C-urea breath test and endoscopic biopsy tests in Korean children)

  • 심정옥;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268-272
    • /
    • 2006
  • 목 적 : Helicobacter pylori 재감염률은 내시경적 생검만이 가능했던 시대에는 $^{13}C$-요소 호기 검사의 출현 이후에 비해 높게 보고되었다. 소아는 일반적으로 침습적인 내시경적 생검을 시행하기 용이치 않다. 본 연구는 $^{13}C$-요소 호기 검사와 내시경적 생검에 의한 재감염률을 비교하고, 그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H. pylori 감염으로 치료받고 박멸이 확인된 소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박멸 확인 후 18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재감염을 확인하기 위하여 내시경적 생검(n=34명, 평균 연령 $11.5{\pm}3.7$세) 혹은 $^{13}C$-요소 호기 검사를(n=38명, 평균 연령 $10.0{\pm}3.6$세) 시행하였다. 첫 진단 시 내시경적 생검으로 위전정부 및 체부에서 세 절편을 채취하여 urease 검사, Giemsa 염색 및 Warthin-Starry 염색이 모두 양성으로 나오거나 생검 조직에서 H. pylori균이 배양된 경우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고, 박멸 치료 1-3개월 후 모든 검사상 음성인 경우 박멸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13}C$-요소 호기 검사는 최소 4시간 금식 후 75 mg의 $^{13}C$-요소를 주스에 섞어 마시도록 하는데, 복용 전 및 30분 후 Helikit(Isodiagnostika, Alberta, Canada)를 이용하여 숨을 불어넣도록 하고 delta $^{13}C$ per mil이 4.00 이상일 때를 양성으로 판독하였다. 결 과 : 내시경적 생검을 시행하였을 때 재감염률은 35.3%(12/34)였다. 내시경적 생검을 받은 모두가 당시 복부 증상이 있어 $^{13}C$-요소 호기 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복부 증상이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00). $^{13}C$-요소 호기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재감염률은 13.2%(5/38)였다. 추적 관찰 시 복부 증상이 있는 경우 재감염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8), 성별(P=0.694), 연령별(P=0.827). 궤양과 비궤양 간(P=0.730), 치료 방법 간에는(P=0.087) 재감염률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한국 소아에서 H. pylori 박멸 후 18개월이 경과하였을 때 비침습적인 $^{13}C$-요소 호기 검사를 이용한 재감염률은 13.2%이다. 내시경적 생검은 정확하나 침습적이어서 특히 무증상인 소아의 경우 이를 기피할 확률이 높아, 순응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소아에서 재감염률 조사를 평가할 때에는 비침습적이면서 간편한 방법인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개의 재발되는 대퇴관절 탈구증의 치료 (Treatment of Recurrent Coxofemoral Joint Luxation by Total Hip Replacement in a Dog)

  • 김주호;허수영;김민수;이기창;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5-128
    • /
    • 2014
  • 38 kg, 7년령의 골든리트리버가 대퇴관절 탈구증으로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는 왼쪽 뒷다리를 신전시킬 때 통증과 염발음이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왼쪽 대퇴관절 탈구증 및 경도의 퇴행성 골변화가 관찰되었다. 치료로서 TightRope$^{(R)}$를 이용한 최소침습 관절경적 정복을 하였으나, 수술 후 한달이 지나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무시멘트형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하였다. 수술 후 10개월 경과된 결과, 환자는 정상적으로 앉기, 서기, 보행을 보였으며, 특이한 파행없이 편안하게 뛸 수 있었다. 수술한 뒷다리의 허벅지둘레는 반대쪽 다리의 그것에 비해 108.6%였다. 이 증례를 통해 대퇴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관절 정복이 실패하여 재탈구된 개의 대퇴관절 탈구 치료에 효과적인 수술법이 될 수 있다.

경골 원위부 골절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접근법을 통한 잠금 나사 금속판 고정술과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rlocking IM Nailing and LCP Fixation through MIPPO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Distal Metaphyseal Tibial Fracture)

  • 이창수;서진수;김지훈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0-85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outcome between interlocking IM nailing and LCP fixation in the treatment of distal metaphyseal tibial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17 patient were treated by interlocking IM nail and 13 patient were treated by LCP fixation for distal metaphyseal tibial fracture. Results: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there were 2 type A1 fracture (12%), 6 type A2 fracture (36%), 3 type A3 fracture (18%), 4 type B1 fracture (24%), 1 type B3 fracture (6%), 1 type C1 fracture (6%) in interlocking IM nailing group and 1 type A2 fracture (7.7%), 2 type A3 fracture (15.4%), 3 type B1 fracture (23%), 3 type B2 fracture (23%), 3 type C1 fracture (23%), 1 type C2 fracture (7.7%) in LCP fixation group. The clinical functional outcome (according to AOFAS score) is 75.6 point in IM nailing group and 81.5 point in LCP fixation group. In IM nailing group, 65% of patient showed satisfactory result and In LCP fixation group, 77% of patient showed satisfactory result. Conclusion: There is no difference on clinical results between IM nailing and MIPPO (minimal invasive percutaneous plate osteosynthesis) group in the treatment of distal tibia fracture. But MIPPO group have higher subjective satisfactory score and less complication rate. The weakness of our study is a small case number and limited follow-up and we believe a better designed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 PDF

전방 경추 미세 추간공 확대술 : 경추증에 대한 최소침습적 전측방 접근법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 A Minimally Invasive Anterolateral Approach for Spondylotic Lesions)

  • 박성진;하호균;정호;이상걸;박문선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87-94
    • /
    • 2000
  • Objective : Various surgical approaches have been implemented to fulfill the ideal goals of treatment for cervical spondylotic lesions. Conventional approaches are represented by anterior approach with or without fusion and posterior approach. The authors has applied newly developed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for these lesions on minimally invasive basis. Materials and Method : Twenty-one patients, with cervical HIVD, or stenosis, or both, underwent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between March, 1998 and April, 1999. Fifteen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decompression, and 6 bilateral decompression via unilateral foraminotomy. Operation of one level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2 levels in 4 patients, and 3 in 1 patient. The foraminotomy was accomplished by resecting the uncovertebral joint. Through this hole, compressed nerve root was decompressed by removing the spondylotic spur or disc fragment, and diagonal removing of posterior osteophyte from foraminotomy site to begining of contralateral nerve root made spinal cord decompression. Results : The outcome was excellent in 17 patients(81%) and good in 4 patients(19%) based on Odom's criteria. No complication was encounterd, and average post-operation hospital stay was 3.7 day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provide adequate neural decompression, minimum postoperative discomfort and fast recovery.

  • PDF

메카노 규제 이론에 기초한 복합재료 IM-rod가 적용된 골절부의 세포분화과정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issue differentiation process in fractured bones applied by a composite IM-rod based on a mechano-regulation theory)

  • 손대성;;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136-1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IM rod가 적용된 골절부의 세포 분화과정을 모사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세포의 골화과정을 해석하기 위해 편향 변형률을 이용한 메카노 규제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반복 계산을 위해 Python 코드를 이용하여 서브루틴을 구현하였다. 치료에 가장 적절한 복합재료 IM rod의 강성을 찾기 위해 직물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 (WSN3k)의 적층각도를 바꾸어 해석을 실시하였다. 골절부에 가해지는 기계적 자극에 따른 치료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두 가지 초기 하중 조건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치료효율은 강성의 차이보다 하중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 하중이 몸무게의 10%이고, 적층순서가 $[{\pm}45]_{nT}$일 때 치료효율이 가장 높았다.

성인 여자 오목가슴 환자에서 유방 확대술과 동시에 시행한 너스 수술 - 1예 보고 - (Simultaneous Nuss Operation and Mammoplasty in an Adult Patient with Pectus Excavatum - A case report -)

  • 김경수;조덕곤;조규도;조민섭;강철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23-526
    • /
    • 2008
  • 최근 금속막대를 이용한 누두흉의 최소 침습 수술법이 미용 성형적인 측면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누두흉은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연령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다. 드물지만 다른 선천적인 기형을 동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변형된 술식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성인 여자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유방 저형성증을 동반한 누두흉에 대한 너스 술식과 유방 확대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험 예를 보고한다.

크루존씨 병에서 최소침습 절개법 Le Fort III 절골술을 통한 RED II 골 신연술 후 조기 고정 1례 (A Case Report of RED II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Early Rigid Fixation by Minimal Invasive Approach Le Fort III Osteotomy in Crouzon's Disease)

  • 김영석;이지나;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23-127
    • /
    • 2007
  • Purpose: Rigid external distraction(RED) is a highly effective technique for correction of maxillary hypoplasia in patients with cleft or syndromic craniosynostosis. Despite many advantages of RED, it also has the problem of relapse as the conventional advancement surgery. Bicoronal approach, that is the common approach to gain access to the craniofacial skeleton, had some morbidity, such as hair loss, sensory loss, wide scar and temporal hollowing. We present our clinical experience of RED distraction with minimal invasive approach and early rigid fixation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Methods: A 27-year-old female patient with Crouzon's disease underwent Le Fort III osteotomy and RED device application through the minimal invasive direct skin incisions. After the latent period of 5 days, distraction was undertaken until proper convexity and advancement were obtained. During the rigid retention period, inflammation occurred on the right cheek, and proper conservative managements were done including continuous irrigation.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distraction, early rigid fixation was undertaken on the osteotomy sites through another skin incision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s were performed. Serial photographs and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preoperatively, after distraction and 6 months after distraction. Results: The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postoperatively significant advancement of the maxilla and improvement of facial convexity. After 6-month follow-up period, the maxilla was stable in the sagittal plane and no relapse was found. Facial scars were not noticeable and other deformity and morbidity did not occur. Conclusion: This effective and stable technique will be a good alternative for the patients who need large amount of distraction and for adult patients with severe maxillary hypoplasia or syndromic craniosynos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