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침습수술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접촉 압력 분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의료 촉진 가이던스 시스템 (A Medical Palpation Guidance System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Contact Pressure Distribution)

  • 김형균;정완균
    • 센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6-273
    • /
    • 2017
  • In this research a medical palpation guidance system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is proposed. Palpation i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a size and location of a lump during a surgery. However, conventional manual palpation is only available in open surgery, so there has been several researches about palpation assistant or guidance system for MIS. The previously developed systems are based on a pressure based or stiffness based approach. These previous approaches have some limitations in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systems and lack of ge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lump which is mor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lump removal than the stiffness information. We propose a palp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novel approach using contact pressure distribution. Since our approach gives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lump as well as the existence information, the operator can easily notice the currently identified lump region and the optimal position for the next palpatio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can offer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lump correctly.

최소침습 방사능 유도 부갑상선 수술 (Minimally Invasive Radio-guided Parathyroid Surgery)

  • 정웅윤;장항석;이종두;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199
    • /
    • 1999
  • Introduction: Since 1996, Dr. James Norman has successfully performed mimimally invasive radio-guided parathyroidectomy(MIRP) using intraoperative nuclear mapping with $^{99m}Tc$ sestamibi scanning and radioactivity detection probe. Objectives: We aimed to introduce this new surgical technique and evaluate it's efficacy by our own experiences. Method: From May to October 1999, five consecutive patients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underwent parathyroidectomy by using modified MIRP technique. $^{99m}Tc$ sestamibi scanning was performed 1.0 or 1.5 hour before operation. After intraoperative localization of the tumor under the guidance of quantitative gamma counting with a NEVIGATOR probe, an unilateral small skin incision(3.0-4.0cm) was placed. Without a skin flap, the strap muscle was directly divided with the use of a Harmonic scalpel. After careful dissection, the parathyroid tumor was removed. Result: In all patients, a single adenoma could be easily detected and removed by this new technique. Mean incision length was 3.2cm(3.0-4.0cm) and operative time ranged from 40 to 110minute. All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in 2 days of surgery without any complication. Conclusion: This new operative technique could become the most minimally invasive alternative to the standard operative procedure for parathyroid adenoma.

  • PDF

갑상선 전절제술 과거력이 있는 부갑상선 선종 환자에서 수술 중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최소침습 부갑상선 절제술 1예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using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in Parathyroid Adenoma Patients with a History of Total Thyroidectomy)

  • 남윤빈;정현택;이상목;김지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30
    • /
    • 2023
  • A 65-year-old patient who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10 years ago was suspected of having a parathyroid adenoma, and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as planned. Preoperative ultrasonography(USG) and 99mTc MIBI scan indicated a left lower parathyroid lesion. In the first operation, intraoperative parathyroid hormone monitoring (IOPTH) was not possible due to hospital circumstances. Although no adenomatous lesion was found in the expected surgical field, surgery was completed after removing lesions around the left lower parathyroid gland. However, post-surgery, parathyroid hormone did not decrease at all, so a second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IOPTH preparation. In the second operation,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and a suspected adenoma lesion was removed from the left upper lesion. He has been under follow-up for 3 years without complications. Surgeon-peformed intraoperative USG and preoperative scintigraphy had advantages in determining the localization of parathyroid lesion even withiout IOPTH.

췌장 양성 종양의 내시경적 치료 (Endoscopic Therapy for Pancreatic Benign Neoplasms)

  • 황준성;고성우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25-32
    • /
    • 2021
  • 내시경초음파가 1980년대에 개발된 이후, 내시경초음파는 췌장 종양 관리에 있어서 진단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치료적인 역할로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췌장 양성 종양에 대한 전통적인 치료방법은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거나 주기적인 경과관찰을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내시경초음파는 그 대안으로 췌장 양성 종양을 가진 환자에게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을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췌장 양성 종양치료에 있어서 내시경초음파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심방중격결손증 수술에서 우전측부개흉술과 정중흉골절개술의 비교 (The Comparision of Right Anterolateral Thoracotomy and Median Sternotomy in the Atrial Septal Defect Repair.)

  • 김혁;김상헌;김영학;정원상;강정호;이철범;지행옥;김남수;김경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03
  • 심장수술의 발달로 현재 심방중격결손증은 저 위험도의 안전한 수술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수술자체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면에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심방중격결손증의 폐쇄술에는 다양한 최소침습수술이 있겠으나 본원에서는 우전측부개흉술이 미용적인 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정중흉골절개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양대학병원 흉부외과에서 1999년 1월부터 2002년 8월 까지 한명의 집도의에 의해 심방중격결손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43명중 연속적으로 시행된 우전측부개흉술 15례(group A)와 동기간중 정중흉골절개술 15례(group B)를 임의적으로 추출하여 수술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체중은 group A 가 38.77$\pm$15.57kg 이었고 group B는 38.21$\pm$21.82kg 이었다. Group A 경우, 평균수술시간 197.6$\pm$61.40분, 평균체외순환시간 48.66$\pm$13.02분, 평균심실세동 혹은 대동맥 차단시간 30$\pm$11.64분이었고, Group B 경우, 평균수술시간 212.33$\pm$31.95분, 평균체외순환시간 55$\pm$12.10분, 평균심실세동 혹은 대동맥 차단시간 29.33$\pm$9.04분으로 서로간에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group A의 경우 수술 후 평균인공호흡기 사용시간은 3.78$\pm$0.78시간, 평균 중환자실 재실일수 1.2$\pm$0.47일, 평균 입원기간 10.20$\pm$1.08일 이었고, group B의 경우 수술후 평균 인공호흡기 사용시간은 5.95$\pm$3.73시간, 평균 중환자실 재실일수 1.41$\pm$0.61일, 평균입원기간 12.20$\pm$3.55일로 서로간에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수술 후 1일간의 평균 출혈량은 group A의 경우 175.33$\pm$90.54cc이고, group B의 경우 352.33$\pm$239.43cc로 group A가 group B 에 비해 출혈량이 적은 것으로 나왔다(p.0.05). 합병증으로는 group B의 경우에서만 일시적인 2도 방실차단이 1례에서 있었으며 그외에 다른 합병증이나 사망률은 없었다. 결론: 우전측부개흥술은 정중흥골절개술과 비교 분석한 바 동일한 수술기구를 사용하면서도 미용적인 면에서 우수하며 수술 후 출혈량이 적었다(p〈0.05). 수술 난이도 면에서 우전측부개흉술이 수술시야가 좁아 어려웠으며 특히 대동맥 삽관에 주의가 필요하다.

성인 여자 오목가슴 환자에서 유방 확대술과 동시에 시행한 너스 수술 - 1예 보고 - (Simultaneous Nuss Operation and Mammoplasty in an Adult Patient with Pectus Excavatum - A case report -)

  • 김경수;조덕곤;조규도;조민섭;강철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23-526
    • /
    • 2008
  • 최근 금속막대를 이용한 누두흉의 최소 침습 수술법이 미용 성형적인 측면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누두흉은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연령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다. 드물지만 다른 선천적인 기형을 동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변형된 술식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성인 여자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유방 저형성증을 동반한 누두흉에 대한 너스 술식과 유방 확대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험 예를 보고한다.

전위성 치골 골절의 경피적 고정술: 술기보고 (Percutaneous Screw Fixation in a Displaced Pubic Fracture: Technical Note)

  • 공규민;김승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61-365
    • /
    • 2021
  • 골반골 골절은 고에너지 손상이며 주변 조직 및 장기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골반 외상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아지므로 수상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게 된다. 하지만 광범위한 수술을 시행하기에는 환자의 상태가 허락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최소 침습적인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치골의 경피적 고정은 피부 절개를 크게 하지 않고도 골반의 전방부 안정성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여러 문헌에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비전위성 골절에 대한 나사 고정을 기술하고 있으며 전위성 골절을 경피적 나사 고정으로 치료할 때 비구의 관절면을 침범하지 않는 위치로 나사를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 점은 간과되고 있다. 저자는 치골의 전위성 골절의 경피적 나사 고정 시 구부러진 유도핀을 이용하여 관절면의 침범을 피하면서 유관나사를 쉽게 삽입할 수 있었기에 본 술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액와 소개흉술에 의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Closure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by Axillary Minithoracotomy)

  • 조정수;윤용환;김정택;김광호;홍영진;전영훈;신혜란;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37-842
    • /
    • 2007
  • 배경: 미숙아는 흔히 동맥관의 폐쇄가 지연되어 혈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좌우단락을 초래함으로 환아의 성장 및 정상 발육에 악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폐쇄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한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중 인도메타신 부적응증 또는 치료 실패 등으로 수술적 교정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당시 재태기간은 25+3에서 34+6주 사이로 평균 28.8+3.4주이었고, 출생 후 평균 $15.6{\pm}6.3$일째에 수술하였다. 수술 당시의 체중은 680에서 2,100 g 사이로 평균 $1,174{\pm}416\;g$이었는데 이 중 1,500 g 미만은 16명이었고 1,000 g 미만은 9명이었다. 수술은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측와위에서 왼팔을 현수시킨 자세로 길이 $2{\sim}3\;cm$의 액와 소개흉술을 통하여 접근하였다. 동맥관 크기는 평균 $3.8{\pm}0.3\;mm$로 동맥관의 폐쇄는 주로 클립을 사용하였는데, 2예에서 박리 중 동맥관 파열로 동맥관 분리술(divi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부터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온 환아 12명 중 10명이 술 후 호흡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평균 9.7일 사이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다. 수술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망이나 합병증은 없었으나 병원 내 만기 사망이 2예에서 있었는데 1예는 술 후 41일째 폐렴으로, 나머지 1예는 술 후 131일째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폐쇄는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미숙아의 성공적인 성장 및 정상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 수술의 침습도 및 이에 따른 위험성은 매우 적어 조기에 적극적인 외과적 요법이 권장된다.

최소 절개술에 의한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 수술기법 (Technical Note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using Minimal Incision)

  • 민병현;김호성;장동욱;강신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4-61
    • /
    • 1999
  • 광범위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최근의 치료는 수많은 연구와 임상적 접근을 통해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의 기능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냉동 보관된 반월상 연골의 동종이식은 연골의 정상적인 회복을 위한 유용한 방법중 하나이다. 저자들의 첫 4례의 동종연골이식은 관절경의 도움으로 시행하였고, 이후 22 예에서는 최소한의 관절 절개를 이용하였다. 또한 모든 동종 연골 이식에서 반월상 연골의 안정성과 회복을 위해 반월상 연골에 골교를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술시 동시에 시행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은 일명 Key-hole technique을 사용하여 골터널에 의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우선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원통형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내측연을 따라 골 터널을 만들어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press-fit하도록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일반적인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관절경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외측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과는 달리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반원통 모앙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외측연을 따라 반원통 모양의 골 요지를 만든다. 반월상 연골을 골 요지에 얻고 인도 봉합사를 경골의 전면으로 뽑아내 이를 묶음으로써 고정을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이식술과 같은 방법으로 봉합한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에 반월상 연골을 이식할 수 있었다.

  • PDF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이차성 자연기흉의 치료 (Videothoracoscopic Surgery for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양현웅;정해동;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92-696
    • /
    • 1998
  • 원인 질환이 동반된 속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개흉술은 수술 전후로 높은 위험율을 동반하나, 비디오 흉강경은 최소의 침습적 수술방법으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자들은 비디오 흉강경술을 이용한 속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36 예(남 33 예, 여 3 예)의 환자에서 임상적 결과로서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의 평균 나이는 56.3세(범위, 31∼80세)였으며, 21 예에서 폐기종, 20 예에서 폐결핵을 동반하였다. 술전 폐기능 검사상 FEV1은 예상치의 59.3%, FVC는 예상치의 64.0%를 보였다. 19 예의 환자에서 술전 3일 이상의 지속적 공기유출을 보였고, 15 예의 환자에서는 한 번 이상의 재발 기왕력을 보였다. 36 예의 전 환자에서 기계적 흉막유착술을 시행하였으며 33예의 환자에서는 폐기포절제술(bullectomy) 및 폐기포배제술(bullous exclusion technique)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97분이었다. 7 예에서 심한 유착을 보였으며, 10 예의 환자에서 폐상엽에 경미한 흉막유착을 보였다. 술후 지속적인 공기유출로 개흉술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으나 1 예에서 술후 지속된 공기유출과 호흡부전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술후 평균 입원기간은 7일(범위, 2∼17일)이었다. 술후 평균 15.8개월(범위, 5∼45개월)의 추적기간동안 기흉의 재발은 없었다. 저자들이 시행한 112 예의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술에 비하여 수술시간 및 치료 실패율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후 흉강삽관기간 및 입원기간은 더 길었다. 개흉술을 시행하기에 위험한 비교적 고령의 속발성 자연기흉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은 효과적이고 비교적 안전한 수술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