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주거면적 기준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의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최소주거면적 기준의 인체측정학적 방법 연구 - Karl H. E. Kroemer의 인체측정학적 데이터 적용 방법 - (A Study on the Anthropometrical Method of Minimum Residential Space Standard for the Super-Aged Society of Korea - by Anthropometrical Data Application Methods of Karl H. E. Kroemer -)

  • 이호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2017
  • Purpose: Korea is expected to enter an aged society in 2018 and then a super-aged society in early 2025. The country's aging is progressing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However, the foundation of the elderly friendly industry is weak, and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are urgently needed. Especially, housing problems of the elderly are one of the most urgent measures to be taken. Korea does not have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for the elderly, and the current general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is based on the survey of the housing situation without scientific evidence. Therefore, both standards need to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Methods: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has been calculated following Karl H. E. Kroemer's Min or Max design also being called as-single cut and dual cut theory- as the maximum population value and minimum population value theory of Ernest J. McCormic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rmula made using a few key factors, such as corresponding dimension, practical dimension, clearance, spare dimension, integrated dimension. These elements can be defined and used as formulas to calculat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s. Results: Assuming the results of the spatial variability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standard of living in a terms of sustainable minimum size for the young, old and all residents. Implications: The government should set a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with scientific grounds and set up a policy improving the life of people who live in an needy residential environment.

일본 민설공원 제도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Private Development Parks in Japan)

  • 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9-128
    • /
    • 2016
  • 민간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특례제도가 도입된 이후, 보다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하여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공원의 취지에는 적극 찬성하지만 공익성을 강조해야 하는 공원에서 과연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민간공원의 정책모델이었던 일본의 민설공원제도의 배경과 함께 입지, 조성, 관리의 기준이 책정된 근거와 특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민설공원은 녹지 네트워크 구축과 방재 기능에 유효하도록 입지와 공간계획이 이루어졌으며, 최소면적은 약 1.42ha였다. 공원과 같은 공간의 최소 면적인 1ha는 방재성과 실현가능성, 사회적 수용가능성을 감안한 수치였으며, 건축 부문은 제2종 중고층 주거전용지역의 기준과 지역 거버넌스와의 협의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용적율 100%, 건폐율 30%, 최고높이 11층 등 허용한도의 최저 수준으로 건설되었다. 관리비는 월 300엔/$m^2$을 기준으로 35년간 소요되는 비용을 사업자가 일괄 납부하였으나 과다한 관리비가 수반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시가 비용을 지출하여 민관이 함께 관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한편 입지, 허용용도, 도입시설의 한계로 매력적인 수익시설 도입이 어려우며 관리주체와 비용부담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민간공원에 대해서는 도시공원 조성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후 민간공원의 적정입지를 선정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수준의 입지, 조성, 관리 기준 정립 등의 개선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