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 밀도

Search Result 1,25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aximum and Minimum Densities obtained from Various Test Methods on Cohesionless Soils (다양한 실험방법의 적용에 따른 사질토의 최대 및 최소밀도)

  • Singh, Vinod Kumar;Chung, Sung-Gyo;Kim, S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9.09a
    • /
    • pp.492-497
    • /
    • 2009
  • 사질토의 최대/최소 밀도는 사질토 지반의 중요한 물리적 특성인 상대밀도를 결정할 때 이용된다. 그러나 최대/최소 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방법들에 따라 결정되는 값도 달라진다. 본 시험에서는 여러 시험방법의 최대/최소 밀도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최대밀도 결정방법은 ASTM, JIS, Simplified 방법 및 Air pluviation 방법이며, 최소밀도 결정방법은 ASTM, JIS 및 Slurry 방법이다. 시험모래는 부산지역에서 얻어진 3가지 모래시료를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Air pluviation 방법이 가장 큰 최대 밀도값을 주었으며, JIS 방법이 가장 작은 최소 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최대밀도를 위하여 JIS 및 Simplified 방법으로 적용한 후 추가적인 다짐을 수행한 결과, Simplified 방법이 입자의 파괴나 입자간의 분리효과 없이 가장 큰 최대밀도를 나타내었다.

  • PDF

A Bottom-up Algorithm to Find the Densest Subgraphs Based on MapReduce (맵리듀스 기반 상향식 최대 밀도 부분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 Lee, Woonghee;Kim, Younghoon
    • Journal of KIISE
    • /
    • v.44 no.1
    • /
    • pp.78-83
    • /
    • 2017
  • Finding the densest subgraphs from social networks, such that people in the subgraph are in a particular community or have common interests, has been a recurring problem in numerous studies undertaken. However, these algorithms focused only on finding the single densest subgraph. We suggest a heuristic algorithm of the bottom-up type, which finds the densest subgraph by increasing its size from a given starting node, with the repeated addition of adjacent nodes with the maximum degree. Furthermore, since this approach matches well with parallel processing, we further implement a parallel algorithm on the MapReduce framework. In experiments using various graph data,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finds the densest subgraphs in fewer steps, as compared to other related studies. It also scales efficiently for many given starting nodes.

Influence of Design Parameters on Maximum Controllable Current of Trench Gate CB-BRT(Base Resistance Controlled Thyristor) (Trench gate CB-BRT의 최대 제어 가능 전류에 대한 설계 변수들의 영향)

  • Ji, In-Hwan;Oh, Jae-Keun;Jeon, Byung-Chul;Han, Min-Koo;Choi, Yearn-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3-155
    • /
    • 2002
  • Trench sate CB-BRT:TC-BRT의 최대 제어 가능 전류(Maximum Controllable Current)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최대 제어 가능 전류를 결정하는 중요 설계 변수들로 트렌치 깊이, 핑거 게이트 길이, 메인 게이트 길이, 트렌치 밀도를 고려하였다. TC-BRT의 실험적 결과를 기존의 BRT와 CB-BRT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최대 제어 가능 전류는 트렌치 깊이와 트렌치 밀도가 증가하고 메인 게이트 길이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핑거 게이트 길이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핑거 게이트가 있는 TC-BRT가 없는 것에 비해 최대 제어 가능 전류가 약 15% 높게 나타났다. 트렌치 밀도가 작을 때는 핑거 게이트에 의한 영향이 두드러지고 트렌치 밀도가 높아질수록 트렌치 게이트의 역할이 증가하였다.

  • PDF

Densification and Grain Growth Behavior of MgO and TiO2-doped Alumina (MgO 및 TiO2가 첨가된 알루미나의 치밀화와 입성장 거동)

  • Lee, Jung-A;Kim, Je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9 no.11
    • /
    • pp.1083-1089
    • /
    • 2002
  • Densification and grain growth behavior of MgO and -doped alumina ceramics were investigated. MgO was found to inhibit grain growth and to promote densification, but acted to promote grain growth more than densification. The density which showed the maximum shrinkage rate was investigated in the plot of shrinkage rate versus density. The data suggests that the maximum shrinkage rate separates the two kinetic regimes, below the density of maximum shrinkage, the regime associated with densification and above the maxima, the regime associated with the grain growth. The plot exhibits a maximum which shifts to higher temperatures with MgO doping and to lower with doping.

Graphical study of cosmic inhomogeneity using CMASS galaxy sample

  • Kim, Yigon;Park, Chan-Gyung;Hwang, Jai-chan;Noh, Hyeri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38.2-38.2
    • /
    • 2018
  • Sloan Digital Sky Survey 12번째 Data release의 CMASS catalog를 이용하여 우주의 균일, 등방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Redshift 범위에 따라 얻은 2차원 영역들을 조사한 결과, CMASS 은하들은 통계조사가 가능한 최대 규모인 반지름 300Mpc/h에서도 여전히 Random catalog에 비해 불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였다. 결과를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은하의 분포가 불균일함을 나타내는 통계량을 여러 방법으로 시각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밀도 분포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그림에서 최대, 최소 밀도의 차이는 300Mpc/h규모에서 약 27%에 달한다. 이는 같은 규모에서 최대 약 4.5%의 차이만이 나타나는 Random catalog의 밀도 분포와는 상이한 결과로, 이 규모에서조차 우주에서 은하는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Maximum Dry Density and Optimum Moisture Content in Soil Compaction (흙의 다짐에 있어서 최대건조밀도(最大乾燥密度)와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의 추정(推定)에 대(對)하여)

  • Kang, Yea-Mook;Cho, Seung-Seup;Kim, Jae-Yo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 no.2
    • /
    • pp.207-213
    • /
    • 1976
  • In order to obtain the prediction of the maximum dry density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f soil without soil moisture test, compaction test results from 157 different places either under construction or already completed were analyzed.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um dry density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show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6 indicate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From the above relationship we obtained the equation, ${\gamma}_{dmax.}={\frac{1}{0.4193+0.00937W_{opt.}}$ Equation between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the maximum wet density of the soil was $W_{opt.}={\frac{0.4193{\gamma}_{tmax.}}{0.937_{\gamma}_{tmax.}-0.01}$, and the values of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being predicted with the maximum wet density of the soil showed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ose and tested values. The values of the maximum dry density being predicted with the moisture content estimated by the maximum wet density of the soil were within the range of ${\pm}5%$ of its tested valu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y density and the void ratio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gamma}=0.9706$). From the above relationship, we obtained the equation, ${\gamma}_{dmax.}={\frac{1}{0.3938+0.3426e}}$.

  • PDF

Bandwidth selection for discontinuity point estimation in density (확률밀도함수의 불연속점 추정을 위한 띠폭 선택)

  • Huh, Jib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1
    • /
    • pp.79-87
    • /
    • 2012
  • In the case that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has a discontinuity point, Huh (2002) estimated the location and jump size of the discontinuity poi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kernel density estimators using the one-sided kernel func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ross-validation, made by the right and left maximum likelihood cross-validations, for the bandwidth selec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location and jump size of the discontinuity point. This method is motivated by the one-sided cross-validation of Hart and Yi (1998). The finite sample performance is illustrated by simulated example.

해양 바이러스에 대한 엽록소 a와 박테리아 abundance의 상관관계

  • 최은석;김소정;오로라;신경순;장만;이택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61-71
    • /
    • 2002
  • 광양만내 해양바이러스양은 2.0$\times$$10^{8}$ particles/ml로 매우 풍부했다. 각 계절별 바이러스의 밀도는 여름에 최대 9.0$\times$$10^{8}$ particles/ml에서 겨울에는 최소값인 0.7$\times$$10^{8}$ particles/ml을 기록했다. 광양만 내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공간적 분포는 open ocean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8, 38, 42, 46, 51에서 보다 closed estuarine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 5, 10 ,12, 16, 20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closed estuarine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2, 26, 32, 34는 높은 바이러스 밀도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open ocean system에 비해서 낮은 박테리아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몇몇 정점의 수심 깊이에서는 박테리아의 밀도가 바이러스의 밀도를 100배정도 초과했다. 해양 바이러스와 그들의 host system의 계절별 밀도는 역동적으로 번화했으며, 그들의 계절별 변화는 밀집한 상호연관성을 가졌다. 여름에 바이러스와 박레리아의 밀도는 증가된 반면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a 농도는 평균값을 유지하였다. 겨울에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밀도가 급속하게 줄어들었고, 마찬가지로 엽록소-a 농도 역시 감소하다가, 곧 다시 증가했다. 바이러스의 밀도는 2001년 8월에 최고점에 도달했으며, 박테리아의 밀도는 2001년 8월과 2002년 6월에 최고값을 가졌다. 반면에 엽록소-a의 농도는 2002년 4월에 최대치에 도달했다. 전체 host와 바이러스 밀도로 볼 때, 그들의 pool은 바이러스에 의한 mortality에 의해서 steady-state 상태로 유지되고, 바이러스의 밀도 또한 steady-state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 나라 광양만 내에 존재하는 해양 바이러스의 생태적 분포 연구를 다루는 첫 번째 실험으로 사료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for Suggestion of Simple Method of Determining the Maximum Relative Density (최대상대밀도 산정 간편법 제안을 위한 실험연구)

  • Lee, Jong-Jin;Kim, Myong-Mo;Lee, Seung-Hyun;Kim, Byoung-Il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3 no.10
    • /
    • pp.23-31
    • /
    • 2007
  • Although the relative density is an important factor showing mechanical properties of granular soils, the methods for its estimation have not been satisfactorily standardized.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methods to determine max, and min, dry density, but the results, especially for max, dry densit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study, a simple and practical method of evaluating the max, relative density was proposed, which could give reliable result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ethod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varying the number of blows and the layers of the sample for each mol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owles method.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Structural Adhesives (건축외장용 접착제의 발연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ae-Pyeong;Park, Young-Ju;Hwang, Me-Jung;Lee, Won-Seok;Yang, Young-Suk;Lee, Mi-L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3-4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용 접착제의 발연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접착제를 용도별로 구분하여 연기밀도시험기를 이용해 최대연기밀도와 초기발생연기밀도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창호전용 접착제가 586초에 509.64로 가장 많은 연기밀도를 발생하였으며, 석재용 275.63, 목공용 232.25의 순으로 많은 양의 연기가 발생하였고, 타일용 18.65, 스티로폼용 6.44로 최대연기밀도를 나타내었다. 창호전용과 스티로폼용의 경우 최대연기밀도를 나타낸 시간은 비슷한 범위에 나타났으나 연기밀도 값은 스티로폼용에 비해 창호전용 접착제가 80배 가까이 연기가 더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