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치수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applying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on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 (둑높이기 저수지의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Ryu, Jeong Hoon;Song, Jung Hu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9-369
    • /
    • 2017
  • 농업용저수지는 이수 목적으로 비홍수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 확보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농업용저수지가 홍수조절능력 또한 지니고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치수 목적으로 홍수기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치수 대책 또한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운영은 제한수위 방식을 기준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예비방류를 허용하는 조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홍수기 이후 상시만수위로 복귀하지 못하면 해당 년도 잔여 비홍수기 혹은 다음 년도 영농 시작 시기의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수기 농업용저수지의 운영은 홍수조절과 함께 상시만수 위로의 복귀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방식은 홍수 발생빈도와 규모를 고려하여 단위기간별 (일별 혹은 순별) 제한수위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저수공간의 효율적 재할당에 따라 이수와 치수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순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한 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110개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 중 가능최대홍수량 대상저수지 (유역면적 2,500 ha 이상, 총 저수량 500만 톤 이상) 12개소로 선정하였고, 저수지별 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저수지 유입량 모의를 위하여 장기유출량 산정 모형인 TANK를 이용하였으며, 구축된 저수지 유입량 자료를 토대로 순별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홍수기 저수지 유입량의 이론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토대로 초과확률 10%에 따른 순별 저수지 수위로서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변홍수기 제한수위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홍수조절용량을 산정하였고, 유역비 홍수량을 지표로 하여 홍수조절능력을 평가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및 관리, 운영 지침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lalysis of flood damage type by climate change using stepwise regression model (단계적 회귀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유형분석)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4-394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수량 및 집중호우 발생 횟수의 증가에 따라 홍수의 발생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의 강수량 예측은 2013년에 발간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5차 평가보고서 (AR5)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기온 상승률 및 강수량의 증가량,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 빈도 및 발생정도가 다르게 결정되며, 극한 강우사상으로 유발되는 홍수의 피해 정도가 홍수피해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의 홍수 피해 정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홍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홍수를 감소시키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단계적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인명피해, 피해면적, 피해액, 발생빈도 등 홍수피해 유형 별로 현재 및 미래의 홍수피해정도를 예측 및 분석하였다. 홍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연평균강수량, 일최대강수량, 1시간최대강수량, 10분최대강수량, 호우일수, 인구밀도, 자산밀도, 도로현황, 시가화율 등을 사용하였고, 홍수 피해를 감소시키는 치수대책으로는 하천개수율, 하수도보급률, 양수량, 유수지용량 등을 사용하였다.

  • PDF

Effects of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 (Polyethylene Glycol의 분자량(分子量)이 목재(木材)의 치수 안정화(安定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eon, Cheol;Oh, Joung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1 no.1
    • /
    • pp.14-21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event the devaluation of wood itself and wood products causing by anisotropy, hygroscopicity, shrinkage and swelling - properties that wood itself only have, in order to improve utility of wood, by emphasizing the natural beautiful figures of wood, to develop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techniques of wood with PEG that it is a cheap, non-toxic and the impregnation treatment is not difficult, on the effects of PEG molecular weights (200, 400, 600, 1000, 1500, 2000, 4000, 6000) and species (Pinus densiflora S. et Z., Larix leptolepis Gordon., Cryptomeria japonica D. Don., Cornus controversa Hemsl., Quercus variabilis Blume., Prunus sargentii Reh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G loading showed the maximum value (137.22%, Pinus densiflora, in PEG 400), the others showed that relatively slow decrease. The lower specific gravity, the more polymer loading. 2) Bulking coefficient didn't particularly show the correlation with specific gravity, for the most part, indicated the maximum values in PEG 600, except that the bulking coefficient of Quercus variabilis distributed between the range of 12-18% in PEG 400-2000. In general, the bulking coefficient of hardwood was higher than that of softwood. 3) Although there was more or less an exception according to species, volumetric swelling reduction was the greatest in PEG 400. That is, its value of Cryptomeria japonica was the greatest value with 95.0%, the others indicated more than 80% except for Prunus sargentii, while volumetric swelling reduction was decreased less than 70% as the molecular weight increase more than 1000. 4)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hardwood with high specific gravity was outstandingly higher than softwood. In general,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low molecular weight PEG was superior to those of high molecular weight PEG except that Quercus variabilis showed more than 1.6 to the total molecular weight range, while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molecular weight increase more than 4000. 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hardwood was more effective than softwood. Although volumetric swelling reduction was the greatest at a molecular weight of 400. In the view of polymer loading, bulking coefficiency reduction of swelling and relative effectiveness, it is desirable to use the mixture of PEG of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200-1500. To practical use, it is recommended to study about the effects on the mixed ratio on the bulking coefficient, reduction of swelling and relative effectivenes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nd Bed Topography with Changing Bed Material in a Curved Channel (만곡수로에서 하상재료 변화에 따른 흐름과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g, Jae-Uk;Yun, Se-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3
    • /
    • pp.291-301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nd bed topography with changing bed material in a 180-degree, with constant-radius curved experimental channel. Sand($D_{50}$ = 0.56 mm, s = 2.65) and anthracite($D_{50}$ = 0.26 mm, s = 1.54) were selected as bed materials. The maximum scour depth was found to be about two times for the mean flow depth at the outer bank of bend angle $30^{\circ}~60^{\circ}$, and in case of anthracite, it was found upper part of bend angle $5^{\circ}~15^{\circ}$ than that of sand. Regardless of bed materials the path of maximum streamwise velocity is skewed inwards in the upper part of the bend, the maximum velocity shifts outwards, and it lagged downward as bed roughness increases. The maximum skewed angle of flow grows faster in the smooth bottom than in the rough one, and its value also increases. The secondary flow in anthracite bottom was measured larger than that of sand one, and two cells of secondary flow was found in this experiment.

  • PDF

Analysis of the Sensitivity and Future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 of the Urban Stream Using SWMM (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민감도 및 미래 유출특성 분석)

  • Hwang, Sung-Hwan;Lee, Bo-Ram;Yoon, Tae-Hyu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4-604
    • /
    • 2015
  •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보수 및 유수기능이 감소하였고,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국지성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기존 우수관망시스템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발생하는 도시유역의 홍수 피해는 대부분이 내수에 의한 침수 피해로 이러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천에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침수 위험 유역을 정확히 예측하여 사전 보강 및 예 경보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들어 잦은 침수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민감도 및 미래 유출 특성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자료 및 관거 자료, 2014년에 완공된 저류지 및 펌프시설 자료를 모두 적용하여 유역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 모형을 설계하고 실측유량과 모형유량을 비교하여 최적화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최적화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기준으로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도림천의 유출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미래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인 강우량과 불투수율의 경향성을 반영하여 도림천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첨두유출량, 침수심, 침수면적, 홍수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강우량을 20% 감소시켰음에도 최대 침수심과 침수면적이 3.772m, 침수면적이 $5.027km^2$로 여전한 내수침수가 발생하고 있어 도림천 유역이 치수로 부터 취약한 지역임을 확인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으로 강우를 산정하고 log형 회귀식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하여 도림천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을 모의한 결과 2020년과 2030년의 최대침수심이 각각 4.9352m, 4.9954m로 현재의 최대 침수심(4.8093m)보다 평균 0.156m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와 미래의 홍수위와 여유고를 이용하여 제방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현재에도 전체구간이 안전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2030년으로 갈수록 안정단면은 평균 8.5% 감소하고 위험단면은 평균 17%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추후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 및 효과적인 대피소, 대피경로 수립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w Analysis in the Baffled Fishway using FLOW-3D (FLOW-3D를 이용한 도류벽식 어도내의 흐름해석)

  • Choi, Soo-Hyoung;Kim, Seo-Jun;Lim, Yoon-Sung;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37-1840
    • /
    • 2009
  • 최근 자연형하천 조성사업과 하천복원 등을 목적으로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생태적인 기능을 고려한 하천설계를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하천의 생태적 통로가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천 횡단 구조물인 보와 낙차공에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어도 설계는 어도 내의 흐름특성을 정확히 고려하지 못하고 설계되어 어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현장 상황에 따라 어도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에 반해 이를 검토할 수 있는 방법이 수리실험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어도내 흐름특성을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도 설계를 위한 수리실험은 시간적, 공간적 및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어도 조건과 수리조건을 검토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수치모의는 매개변수 결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수리실험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수리조건에 대해 간편하게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도 설계시 간편하게 어도내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 기법을 이용한 흐름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수치모의는 3차원 흐름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였고, 어도 형태는 도류벽식 어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수리실험과 비교하여 수심별로 최대 13% 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있으며, 최대유속 발생 지점을 비교한 결과 하폭의 6% 정도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최종 설계 이전에 어도의 흐름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FLOW-3D를 사용한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estimation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On-Line Electric Vehicle considering field weakening region (약계자 영역을 고려한 온라인 전기버스용 영구자석 전동기의 특성산정 연구)

  • Son, Rak-Won;Lee, Jong-In;Kim, Wan-Gi;Kim, Keun-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98-799
    • /
    • 2011
  • 온라인 전기버스용 전동기는 차량의 운전특성을 고려하여 가속성 향상을 위한 높은 기동토크가 요구되며, 넓은 속도영역 운전을 위한 약계자 제어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전동기의 최대 동작속도가 배터리 전압에 의해 결정되므로, 고속 운전영역 확보를 위해 전압제한을 고려한 전기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격속도 대비 최대속도의 비가 1:4로서 넓은 약계자 영역이 요구되는 온라인 전기버스용 전동기에 대해 개념설계를 진행하여 Active Part의 치수를 산출하고, 고정자 권선의 턴수 및 회전자 형상 변화에 따른 전압 및 출력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온라인 전기버스용 전동기에 요구되는 약계자 제어특성을 만족하도록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동기의 고속 동작시 주 손실인 철손에 의한 온도상승을 고려하여 영구자석의 감자안정성을 분석하였으며, 전자장 FEM 해석을 적용하여 설계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Passing Performance of HPC Between Reirforcing Bar with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굵은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간극통과성)

  • Yoon, Seob;Baik, Dae-Hyun;Kim, Jung-Bin;Park, Chang-Soo;Lee, Seong-Yeun;Han, Cheo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6.05b
    • /
    • pp.129-132
    • /
    • 2006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assing performanc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between reinforcing bar depending on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s. Increase in maximum size of coarse results in decrease in water demand and sand to aggregate to secure target slump flow. The larger the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s is, the denser the space between reinforcing bar is, the amount of concrete pass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 cage shows to decrease. HPC has favorable passing performance, regardless of aggregate size, when only vertical reinforcing bar is arranged. Whereas, when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arranged at the same time, proper space between reinforcing bar is considered larger than 32mm in case of using 20mm coarse aggregate, 38mm in case of using 25mm aggregate. The increase in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leads to increase compressive strength slightly. Length change shows to b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 PDF

Residual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Aggregate Factor (골재요인에 따른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잔존역학적 특성)

  • Lee, Hee-Kwang;Kim, Gyu-Yong;Lee, Tae-Gyu;Nam, Jeong-Soo;Koo, Kyung-Mo;Youn, Yo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1.11a
    • /
    • pp.211-212
    • /
    • 2011
  • It was very important to evaluate concrete experimentally at elevated temperature because concrete was filled with aggregate of concrete volume about 70 percent. Concrete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produces changes in its internal structure, for instance loss of its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in extreme cases risking the service life of the structure. The work of this paper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thermal behavior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having different water to cement ratio (strength), fine aggregate to aggregate ratio and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For exposure to 500℃ during 1 hour, residual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ultra-high strength concrete decreased as the s/a ratio decreases and the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increase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NOx Degradation Efficienc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ximum Size 40 mm Porous Concrete (굵은골재 최대치수 40 mm 투수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과 질소산화물 제거에 관한 연구)

  • Hong, Chong-Hyun;Kim, Moon-Hoon;Ryu, Seong-Pil;Choung, Kwang-Ok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5 no.5
    • /
    • pp.431-438
    • /
    • 2006
  • The strength, water permeability, and photo-degradation efficiency of NOx of porous concrete with a new concept were studied in this paper. The porous concrete was comprised of coarse aggregate of maximum size 40 mm, cement, silica fume, water and air-entraining(AE) water reducing agent. The strength of porous concrete was strongly related to its matrix proportion and compaction energy. An experimental tes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parameters of cement proportions and silica fume content for pavement applications of porous concrete which were paving a footpath, a bikeway, a parking lot, and a driveway. The regressed equations of relation-ships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nd coefficient permeability and void ratios were indicated as y=7.69x+71.74 and $y=0.42e^{0.28x}$. A method of making an air purification-functioning road, which was spraying a mixture of a photocatalyst, cement, and water onto the surface of the road,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