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물부족도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roposal and Application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Threshold Level Method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의 제안 및 적용)

  • Sung, Jang Hyun;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997-1005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hydrological drought the using the annual minimum flow and the annual maximum deficit method and proposed the new concept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s similar to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nual minimum flow, the return periods of hydrological drought in the most duration of 1989 and 1996yr were the longe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nual maximum deficit, the return periods of 60-days and 90-day deficit which are relatively short duration were the longest in 1995yr, about 35-year, Hydrological drought lasted longer was in 1995, the return period was about 20-year. Though duration as well as magnitude is a key variable in drou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using the annual minimum flow duration not distinguish duration.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rural water supply network (평야부 용배수계통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이수안전도 평가)

  • Mi-Hye Yang;Won-Ho Nam;Ji-Hyeon Shin;Dong-Hyun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1-81
    • /
    • 2023
  • 농업용 저수지는 전체 수리답 면적 중 61.3%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작물의 수확과 생산성을 위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요구된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물 공급 안정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수안전도를 사용하고 있지만, 농업용 저수지는 기준의 부재로 10년에 1회 정도의 갈수를 기준으로 하는 설계기준인 10년 한발빈도를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약 86%가 1940-1970년대에 축조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내한능력의 변화, 용수관리 및 수요량의 변화, 설계한발빈도 변화 등으로 현시점의 이수안전도 파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수안전도는 물 부족량과 물 수요량을 활용한 양적기준 신뢰도와 물 부족 발생기간에 따른 시간기준 신뢰도로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야부 용배수계통을 고려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양적 및 시간기준 신뢰도 관련 이수안전도 기준인 이수안전율과 공급신뢰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수요량 산정방법은 물수지 분석 모델인 수리수문설계시스템 (K-HAS, Hydraulics & Hydrology Analysis System)을 활용하여 물 부족량과 물 수요량 및 물 부족 발생기간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며, 용배수계통을 고려하기 위해 수로 네트워크 적용 및 수리학적 용수공급 모의가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rom Water Management Model)을 통해 평야부 필지마다 물공급 만족정도를 비교하여 필요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최대 부족량과 수요량으로 산정가능한 양적기준 신뢰도인 이수안전율과 물공급부족기간으로 산정가능한 시간기준 신뢰도인 공급신뢰율을 산정하여 비교하고, 해당 이수안전율과 공급신뢰율을 한발빈도로 환산하여 기존 설계한발빈도와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analysis of water shortage areas in South Korea considering spatial clustering characteristics (공간군집특성을 고려한 우리나라 물부족 핫스팟 지역 분석)

  • Lee, Dong Ji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2
    • /
    • pp.87-97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water shortage hotspot areas in South Korea using spatial clustering analysis for water shortage estimates in 2030 of the Master Plans for National Water Management. To identify the water shortage cluster areas, we used water shortage data from the past maximum drought (about 50-year return period) and performed spatial clustering analysis using Local Moran's I and Getis-Ord Gi*. The areas subject to spatial clusters of water shortage were selected using the cluster map,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shortage areas were verified based on the p-value and the Moran scatter plot.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e cluster (lower Imjin River (#1023) and neighbor) in the Han River basin and two clusters (Daejeongcheon (#2403) and neighbor, Gahwacheon (#2501) and neighbor) in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found to be the hotspot for water shortage, whereas one cluster (lower Namhan River (#1007) and neighbor) in the Han River Basin and one cluster (Byeongseongcheon (#2006) and neighbor) in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found to be the HL area, which means the specific area have high water shortage and neighbor have low water shortage. When analyzing spatial clustering by standard watershed unit, the entire spatial clustering area satisfied 100% of the statistical criteria leading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spatial clustering analysis performed using standard watersheds can resolve the variable spatial unit problem to some extent, which results in the relatively increased accuracy of spatial analysis.

Improving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emand Assessment (물수급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방법 개선)

  • Jeon, Kyeong Soo;Hwang, Ju Ha;Muhammad, Azam;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2-262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의 이유로 홍수 및 이상가뭄이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상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변동은 미래 가용수자원량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장래 용수공급역량을 예측하고 다양한 물수요에 대해 충족 가능여부를 파악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중 물수급 분석은 장기수자원계획 수립의 핵심요소이자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권역단위 물수지 분석을 행정구역단위로 세분화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사용했던 물수급 네트워크 모형인 K-WEAP 모형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권역 단위 물수지 결과와 행정구역단위 물수지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 기본 유역 단위에 따른 물수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적용 결과, 생공용수의 경우 최대갈수기에도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농업용수의 경우는 포항시에서 시나리오별 2016년에는 $548,000m^3$, 2020년에는 $547,000m^3$, 2525년에는 $497,000m^3$ 물부족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선행 물수급 전망 방법론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는 다른 산정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미래의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Water Use Enhancement Donghwa Dam Using Estim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환경용수량 산정을 통한 동화댐의 용수 이용률 제고)

  • Park, Hyun-Jun;Kim, Sun-Joo;Lee,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29-1333
    • /
    • 2008
  • 최근 환경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변화됨에 따라 기존 수리시설물에서의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용수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개선을 위한 용수를 '환경용수' 라 한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여 환경용수로 이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여기서 우리나라에서의 환경용수에 대한 개념은 하천유지유량의 시대적인 기능변천과 함께 발전되어 왔고 물과 관련된 각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용어에 대한 정의는 학문적 제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용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우선 환경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동화댐을 대상으로 하여 물수지 분석을 하였다. 댐의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환경용수로 판단하였으며, 이를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

Water Supply Performance Assessment of Multipurpose Dams Using Sustainability Index (지속가능성지수를 이용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이행도 평가)

  • Lee, Gwang-M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5
    • /
    • pp.411-420
    • /
    • 2014
  •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in consideration of hydrologic uncertainty by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water supply performance for the major multipurpose dams using sustainability index. Parameters, mostly utilized in water resources system assessment, are selected in respect of applicability and flexibility, and those parameters are used as a variable of the composite index. In practice, the composite index including reliability, resiliency, vulnerability and maximum deficit are applied to 15 multipurpose dams and 4 major basins. And to conclude, Daechungdam in the Geum river basin and Imhadam, Hapchondam and Namgangdam in the Nakdong river basin show low sustainability comparing with other dams. The Nakdong river basin needs to develop alternatives to improve water supply stability because it indicates the most poor sustainability level.

Integrated Water Management Model for the Selenga River Basin, Mongolia (셀렝게강 유역 통합물관리 모델 개발)

  • Park, Sang-Young;Lee, Gwang-Man;Ko, Ick-Hwan;Mun,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80-484
    • /
    • 2008
  • 셀렝게(Selenga)강은 몽골에서 발원하여 세계최대의 담수호로 알려진 러시아 바이칼호로 유입되는 국제하천으로서 소비에트 연방해체 이후 계획경제가 무너지면서 다양한 물환경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몽골의 경우 도시개발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으나 처리시설의 미비로 인한 오폐수 배출 및 무분별한 광산개발에 따른 수질오염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으며, 러시아(브리아트공화국)는 계획경제의 붕괴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처리시설의 부족 및 운영의 비효율성, 산림자원의 개발에 따른 비점오염부하의 증가 등의 수질문제 해결이 요구된다. 몽골은 자연적인 특성상 광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지표수 성상 및 매우 적은 강우량으로 인한 수자원의 부족, 지역별로 극심한 물공급량의 불균형, 산업개발에 따른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를 포함한 수자원 부족이 해결해야할 현안과제이고, 러시아는 수자원은 매우 풍부하나 공급시설의 낙후 및 비효율적인 운영으로 인한 물 공급 시스템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물 환경관리 체계를 보면 양국 공히 대내적으로는 이용 및 공급 주체별로 분화된 물 관리체제로 인해 부문간 통합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셀렝게강 상 하류 물이용 개발, 수질보전 및 수생태계보호와 연관된 문제해결을 위한 몽골과 러시아간의 국제적인 협력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경제개발에 따라 최근 수질오염 및 물이용 개발과 관련된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이를 지역, 국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조정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이해당사자의 인식제고 및 자체적인 관리능력 배양을 위한 역량강화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지역에서 기초현황조사, 물 환경현안 파악, 물 관리정책 및 체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DPISR(Drivers-Pressures-Impact-State- Response) 분석이 가능하도록 물환경관리와 연관된 물환경상태, 현안, 원인, 영향 및 대책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며, 해외의 주요 국제하천의 물 환경관리모델에 대한 사례분석 및 비교연구를 통해 물이용 및 개발과 관련된 이해상충 조정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using groundwater abstraction contributing to streamflow (하천유량에 기여하는 지하수 양수량의 물공급 능력 평가)

  • Chung, Il-Moon;Kim, Nam Won;Lee, Jeongwoo;Chang, Sun 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2
    • /
    • pp.889-896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an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method of supplying groundwater abstraction contributing to Musimcheon stream. Various simulations of supply of groundwater to streamflow with current and maximum groundwater abstraction have been explored for 5 years (2011-2015). In 2015, when the severe drought happened, the monthly discharge change rate due to groundwater supply was ranged from 23% in current abstraction to 68% in maximum abstraction. In terms of annual groundwater recharge, these quantities could be applicable recharges ranged from 75 mm (6.2%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to 290 mm (24%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which could be stable annual supply. Since surface water is vulnerable to drought, the water supply using groundwater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stream deficiency.

Comparison and discussion of MODSIM and K-WEAP model considering water supply priority (공급 우선순위를 고려한 MODSIM과 K-WEAP 모형의 비교 및 고찰)

  • Oh, Ji-Hwan;Kim, Yeon-Su;Ryu, Kyong Sik;Jo, Young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7
    • /
    • pp.463-473
    • /
    • 2019
  •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ization technique and the wat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using K-WEAP (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model and MODSIM (Modified SIMYLD) model considering wtaer supply priority. Currently,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applied same priority for municipal, industrial and agricultural demand. the K-WEAP model performs the ratio allocation to satisfy the maximum satisfaction rate, whereas the MODSIM model should b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priority of demand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iority, water shortage decreased by an average of $1,035,000m^3$ than same prioritized results. It is due to the increase of the return flow rate as the distribution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increases.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of K-WEAP and MODSIM applying the priorities, the relative error was within 5.3%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9999. In addition, if both models provide reasonable water balance analysis results, K-WEAP is superior to GUI convenience for model construction and data processing. However, MODSIM is more effective in simulation time efficienc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carry out analysis according to various scenarios using the model.

A Study on the Seasonal Pre-reserved Planning of Water Resources in Korea (수자원의 계절별 적기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Heo, Jun-Haeng;Song, Jae-U;Lee, Gil-Chun
    • Water for future
    • /
    • v.16 no.2
    • /
    • pp.111-122
    • /
    • 1983
  • The water demand has been rapidly increased by the growth of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unbanization, water pollution and so on. This study carried out the seasonal pre-reserved planning for the five zones, comparing the water demand with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up to the goal year,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principle that the monthly water demand is supplied by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as the increasing tendency of it, and the deficit of water is supplemented by the water supplying capacity of dam. And water demand should be completely reserved before supplying the deficit of water. 2) The monthly and seasonal maximum deficit of water demand take place in June and summer. 3) The periods when the deficit of water demand exceeds the water supplying capacity of dam are 1984-1990, 1994-2001 in zone III. 4) To reserve the deficit of water demand in zone III, we would like to pre-construct Masan-Keumbo estuary barrage from 2001 to 1991 in Seomjin river basin, the deficit of water demand is supplied by the diversion of water from Yeongsan river basin with the developments of the ground water and small reservoirs until 198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