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대근력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6초

불균형한 바닥높이가 들기 작업의 최대발휘근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SVR 예측모델 설계 (The Development of a SVR-based Empirical Model for the Effect of the Unbalanced Floor Height on MVC of Lifting Task)

  • 오현수;장성록;김영환;이창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53-159
    • /
    • 2014
  • Low back pain is one of major issues in musculoskeletal diseases mainly caused by MMH (Manual Material Handling) tasks. In Korea, the standards of NIOSH(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ift Equations in U. S. A. have been most widely used.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in case the height of one feet is higher than that of another one. Moreover, since the standards are developed in U. S. A., there are many limitations for the applicability of Korean workers. In this study, MVC(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for four postures are measured and an empirical model based on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is constructed. Constructing SVR model,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parameters of SVR.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empirical model is approximately accurate, even if the deviation of experimental values is large due to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is empirical model may contribute to establish the standards of MMH tasks in Korea.

최대 근력과 관련하여 EMG 상관관계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Correlatio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Muscle Power and EMG)

  • 이성복;김동준;김경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2호
    • /
    • pp.1815-1820
    • /
    • 2017
  •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maximum muscle strength which is a standard for selecting exercise intensity in weight training. We designed a device that estimates the muscle fatigue from the EMG signal, expecting to show a correlation between peak muscle strength and fatigue. Curl - Dumbbell was performed using a 4 kg dumbbell and the frequency change of the EMG was observed. At this time, the designed device acquires the signal using the MCU and finally Matlab was us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center frequency value. The results of 10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a correlation of $R^2$ 0.583 and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10, and the relation of Y = 8.144-2.097 (slope (MDF)) was obtained. In conclusion, if the wearable device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and the user can recommend the exercise intensity, the system will be able to retry the more efficient exercise.

최대 근수축시 외측운동과 양측운동이 근력과 근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lateral and Bilateral Movement on Muscle Strength and Activity During Maximum Contraction)

  • 김용운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7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elucidate how muscle strength and activity are affected by movement pattern(bilateral [BLM] & unilateral movement [ULM]) and movement velocity($0^{\circ}$/s, $60^{\circ}$/s, $120^{\circ}$/s) at maximum effort, an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ft/right asymmetry and bilateral deficit. A total of 18 healthy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participant performed maximum knee extension bilaterally and unilaterally while the EMG and moment were recorded, and t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symmetry and bilateral deficit were analyzed. The peak moments for the isokinetic motion at $60^{\circ}$/s and $120^{\circ}$/s and overall muscle activities of lower extremi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r the BLM in comparison to the ULM. And though the asymmetry in ULM were maintained during BLM at all velocities, the bilateral deficits at the velocity of $0^{\circ}\acute{y}$/s and $120^{\circ}\acute{y}$/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d asymmetries of muscle strength in ULM. In conclusion, the reduction in the muscle strength exhibited in bilateral knee extension was shown to arise partially from a reduction in muscle activity, and left/right asymmetr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mechanical reduction in bilateral mo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raining aimed at increasing muscle strength must involve methods and strategies intended to reduce left/right asymmetry.

비대면 체간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근 두께, 체간 근력, 최대 호기량,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Untact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Muscle Thickness, Trunk Strength, Maximal Expiratory Flow, and Static Balance)

  • 이동우;정모범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3-8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the untact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muscle thickness, trunk strength, maximal expiratory flow, and static balanc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normal adults divided into 10 in the contact exercise group and 10 in the untact exercise group.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The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ultrasound. The maximal expiratory flow was measured using Personal Best Full Range Peak Flow Meter. The static balance was measured through Bio-rescue; and the trunk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bending the upper body forward and measuring the time for maintaining the posture. RESULTS: Both contact and untact exercis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thickness, muscle strength, maximal expiratory flow, and static balance (p < .05).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thickness on ultrasound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act and untact exercise groups (p < .05). CONCLUSION: Activation of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requires accurate instructions of the contact exercise, but despite environmental constraints, the untact exercise program is as effective as the contact exercise for improving muscle strength, maximum expiratory flow, and static balance.

심근 경색 환자에서의 손의 근력과 심폐기능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Handgrip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itness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 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06-514
    • /
    • 2018
  • 본 이 연구의 목적은 심근 경색증 환자에서 손의 악력과 심폐 기능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후향적 연구에서는 10개월간 심근 경색을 경험한 총 67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손의 악력은 휴대용 동력계로 측정되었다. 운동신경감소증(dynapenia)는 우성 손의 악력을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30kg 미만, 여성의 경우 20kg 미만일 경우 진단하였다. 심폐 운동검사는 트레드밀과 수정 된 Bruce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었다. 신체활동척도로는 국제 신체활동설문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다. 67 명의 대상자 중 60 명은 남성, 7 명은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56{\pm}9$ 세였다. 운동신경감소증군과 정상인군을 t-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심폐기능검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최대 산소 소모량, 최대 운동시의 신진대사 해당치, 운동시간 등이 운동신경감소증군에서 의미있게 낮았다(p<0.05). 상관관계 분석에서 손의 악력이 심폐능력과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최대산소 소모량, 최대 신지대사 해당치, 운동 시간은 고 신체활동 군에서 저 신체 활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심근 경색 환자에서 손의 악력은 잠재적 심폐 기능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환자들의 손의 악력과 신체활동정도를 측정하여, 적극적으로 심장 재활에 참여하도록 권장할 수 있다.

지능형 상 · 하지 재활 휠체어 로봇 시스템의 관절각도 분석 (Joint Angles Analysis of Intelligent upper limb and lower extremities Wheelchair Robot System)

  • 송병호;김광진;이창선;임창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3-39
    • /
    • 2013
  • 거동이 불편한 노인 및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사용 시, 사용하지 않는 상 하지의 근력 저하 등 운동 능력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척수손상 및 뇌졸중 편마비와 같은 중증 장애인은 거동이 제한되어 운동이 부족하고 근력 유지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증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 하지 운동 및 재활훈련이 가능한 지능형 휠체어 로봇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은 전동 휠체어, 개인의 특성 파악을 위한 생체인식모듈, 그리고 상 하지 재활 로봇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로봇의 설계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운용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의 추종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장애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재활 운동 수행시 생체 신호 변화에 따른 위험상황 분석과 휠체어 로봇이 이동하면서 상 하지 재활운동 기능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피험자의 재활 운동 수행 시 위험상황 분석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86.7%, 관절각도 최대 오차는 상지 2.5도, 하지 2.3도로 재활 운동 수행에 충분한 추종성능을 나타냈다.

수도기계이앙육묘에 파종량이 배유물질의 소모 및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s on the Endosperm Depletion and Seedling Growth of Rice for Mechine Transplanting)

  • 김용재;신해룡;송동석;장강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6-156
    • /
    • 1988
  • 기계이앙용 상자육묘에 파종량 차이에 따른 배유양분의 소모와 묘소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다수계품종인 삼강벼와 일반계품종인 동진벼를 공시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파종후 급속히 신장하여 10일 경에는 삼강벼, 동진벼가 각각 묘의 60, 50%에 달하였으며, 밀파할수록 점차 작아졌는데, 그 정도는 삼강벼에서 뚜렷하였다. 2. 건물중은 묘대일수가 경과할수록 완만히 증가 하였는데, 밀파할수록 그 증가 속도가 느렸다. 삼강벼, 동진벼 공히 밀파할수록 건물중의 감소가 뚜렷하였는데, 가장 박파인 75g구가 다른구보다도 건물중이 현저히 무거웠다. 3. 배유양분은 삼강벼, 동진벼가 파종후 5일 이내에 각각 68, 65%가 15일에는 각각 85, 90% 정도가 소모되었는데 완전소진시기는 삼강벼가 3.1엽기인 파종후 25∼30일, 동진벼는 3.3엽기인 파종후 25일 정도였다. 4. 묘의 부위별 당함량은 배유가 엽보다 높았으며, 묘대일수 10일에서 엽과 배유의 당함량이 최대치를 나타냈고, 파종양별 당함량 식물체부위, 묘령 및 품종에 따라 달랐다. 5. 묘의 단백질함량은 엽에서 묘대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여 15일에 최소치를 보였고, 배유는 파종직후 감소하여 4일에 최소치를, 5일에는 다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고, 파종양별 차는 묘령에 따라 각각 달랐다. 6. 묘의 발근력은 30일 묘 가장 좋았으며, 묘령이 높을수록 점차 나빳으며 밀파할수록 발근력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7. 엽록소함량은 삼강벼가 동진벼보다 컸으며, 파종량별로는 두 품종 공히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남성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 체력 평가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evaluation of health related fitness according to the working styles of male manufacturing workers)

  • 가성순;이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90-19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 체력 평가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K 기관에서 실시한 건강 체력검사를 받은 40, 50대 남성 제조업 근로자 15,329명이다. 건강 체력 요인은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이다. 각각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산소섭취량, 악력, 윗몸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체지방률을 측정했다. 자료는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분산분석, T-검정, 일원 분산분석(Scheffe), 백분위 수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 체력은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최대산소 섭취량 : F=88.67 (p<.001), 악력 : F=20.09(p<.001), 윗몸일으키기 : F=42.06(p<.001),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 F=69.44(p<.001), 체지방률 : F=136.75(p<.001)) 건강 체력 항목의 백분위수를 토대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둘째, 최대산소섭취량, 악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현장직 근로자의 평균값이 사무직 근로자의 평균값보다 모든 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윗몸일으키기와 체지방률은 사무직 근로자의 평균값이 현장직 근로자의 평균값보다 모든 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평가 기준은 국민체력실태조사 기준치와 비교했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근로자의 건강 체력 평가 시에는 근로자의 근무 형태에 따라 평가 기준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교정 치료 후 교합력, 교합면적의 변화 (Changes i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최윤정;정주령;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6-183
    • /
    • 2010
  •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 후 교합의 기능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을 측정하여 단기적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를 종료한 18세 에서40세 사이의 성인을 남자군과 여자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을 4개의 소구치를 발치한 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군으로 세부 분류하였다(남자발치군 16명, 남자비발치군 18명, 여자발치군 19명, 여자비발치군 21명). Dental prescalesystem (Fuji Film Corp., Tokyo, Japan)의 pressure sensitive sheet를 5초간 최대교두감합위에서 최대근력으로 교합하도록 한 뒤 CCD camera를 이용해 교합력과 교합면적을 측정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고정식유지장치를 붙인 직후, 교정장치 제거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뒤에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군에서 교정장치 제거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교합력과 교합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모든 측정 시기에서 남자군은 여자군보다 높은 교합력과 교합면적을 보였으며 (p < 0.05), 남자, 여자군 모두에서 발치군과 비발치군 사이에는 교합력 및 교합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p > 0.05). 본 연구를 통해 교정치료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교합이 기능적으로 향상됨을 파악하였고, 소구치 발치로 인한 교합의 기능적 저하는 없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었다.

12주간의 수중 운동을 수행 한 여성노인의 장애물 보행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Obstacle Gaits in Female Elders after 12 Week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 김석범;유연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39-54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낙상 예방을 위한 12주간의 수중 운동 수행 후 장애물 보행의 특성을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노인 8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수중 운동 전 후에 네 높이의 장애물(0, 2.5, 5.1, & 15.2cm)을 자기선호 속도로 넘었다. 수중 운동 수행 후 고관절의 최대각, 최소각, ROM(Range Of Motio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Swing 과 Stance 국면에서 소요시간은 줄어들었다. 수중 운동 후 모든 높이에서 보폭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보간은 줄어들었다. 수중 운동 후 장애물을 넘는 순간 장애물과 오른발 사이의 수직 최단거리는 증가하였고(15.2cm 장애물 제외), 장애물을 넘는 속도는 증가하였다. 수중 운동 수행 후 제동력, 추진력, 제동 운동량, 추진 운동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12주간의 수중 운동은 여성 노인의 근력과 평형성을 향상시켰으며 이는 낙상과 관련된 장애물 보행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변인의 변화를 가져와 여성 노인들이 장애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넘을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에게 보행 능력 향상과 낙상 예방 운동으로 수중 운동이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