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단시간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Shortest Path Algorithm By Using an EMFG (EMFG를 이용한 최단 경로 알고리듬)

  • 김남혁;정명희;여정모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565-56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방향그래프의 특정한 두 정점 사이의 최단 시간 및 최단 경로를 구하는 과정을 EMFG를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해석하였다. 특정한 두 정점 사이의 최단 시간 및 최단 경로를 구하기 위해 방향그래프를 EMFG로 변환하는 방법과 접속행렬을 이용한 EMFG의 수학적 해석[10]을 적용한 최단 경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시스템에 적용하여 알고리듬이 올바르게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방향그래프를 EMFG로 변환하여 해석하면 최단 시간 및 최단 경로를 파악하는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가 용이하여 시스템의 성능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ynamic Shortest Path Finding with Forecasting Result of Traffic Flow (교통흐름 예측 결과틀 적용한 동적 최단 경로 탐색)

  • Cho, Mi-G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5
    • /
    • pp.988-995
    • /
    • 2009
  • One of the most popular services of Telematics is a shortest path fin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In this paper, a dynamic shortest path finding system with forecasting result of traffic flow in the future was developed and various experiment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our system us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has been conducted. Traffic forecasting has been done by a prediction system using Bayesian network. It searched a dynamic shortest path, a static shortest path and an accumulated shortest path for the sam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and calculated their travel time to compare with one of its real shortest path. From the experiment, over 75%, the travel time of dynamic shortest paths is the closest to one of their real shortest paths than one of static shortest paths and accumulated shortest paths. Therefore, it is proved that finding a dynamic shortest path by applying traffic flows in the future for intermediated intersections can give mor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of Telematics than finding a static shortest path applying by traffic flows of the starting time for intermediated intersections.

A Link-Based Shortest Path Algorithm for the Urban Intermodal Transportation Network with Time-Schedule Constraints (서비스시간 제약이 존재하는 도시부 복합교통망을 위한 링크기반의 최단경로탐색 알고리즘)

  • 장인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111-124
    • /
    • 2000
  •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서비스시간 제약을 갖는 도시부 복합교통망에서의 기종점을 잇는 합리적인 최단경로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비스시간 제약은 도시부 복합교통망에서의 현실성을 보다 더 사실적으로 표현하지만 기존의 알고리즘들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서비스시간 제약은 환승역에서 여행자가 환승차량을 이용해서 다른 지점으로 여행할 수 있는 출발시간이 미리 계획된 차량운행시간들에 의해 제한되어지는 것이다. 환승역에 도착한 여행자는 환승차량의 정해진 운행시간에서만 환승차량을 이용해서 다른 지점으로 여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시간 제약이 고려되어지는 경우 총소요시간에는 여행시간과 환승대기시간이 포함되어지고, 환승대기시간은 여행자가 환승역에 도착한 시간과 환승차량의 출발이 허용되어지는 시간에 의존해서 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링크기반의 최단경로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Dijkstra 알고리즘과 같은 전통적인 탐색법에서는 각 노드까지의 최단도착시간을 계산하여 각 노드에 표지로 설정하지만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각 링크가지의 최단도착시간과 각 링크에서의 가장 빠른 출발시간을 계산하여 각 링크의 표지로 설정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자세한 탐색과정이 간단한 복합교통망에 대하여 예시되어진다.

  • PDF

Development of One-to-One Shortest Path Algorithm Based on Link Flow Speeds on Urban Networks (도시부 가로망에서의 링크 통행속도 기반 One-to-One 최단시간 경로탐색 알고리즘 개발)

  • Kim, Taehyeong;Kim, Taehyung;Park, Bum-Jin;Kim, Hyo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5
    • /
    • pp.38-45
    • /
    • 2012
  • Finding shortest paths on time dependent networks is an important task for scheduling and routing plan and real-time navigation system in ITS. In this research, one-to-one time dependent shortest path algorithms based on link flow speeds on urban networks are proposed. For this work, first we select three general shortest path algorithms such as Graph growth algorithm with two queues, Dijkstra's algorithm with approximate buckets and Dijkstra's algorithm with double buckets. These algorithms were developed to compute shortest distance paths from one node to all nodes in a network and have proven to be fast and efficient algorithms in real networks. These algorithms are extended to compute a time dependent shortest path from an origin node to a destination node in real urban networks. Three extended algorithms are implemented on a data set from real urban networks to test and evaluate three algorithms. A data set consists of 4 urban street networks for Anaheim, CA, Baltimore, MD, Chicago, IL, and Philadelphia, PA. Based on the computational results, among the three algorithms for TDSP, the extended Dijkstra's algorithm with double buckets is recommended to solve one-to-one time dependent shortest path for urban street networks.

System Identification and Robust Time-Optimal Control of the Rotational Driving System (선회구동시스템의 시스템 식별과 최단시간 강인제어에 관한 연구)

  • Lee, Jea-Ho;Lee, Seong-Woo;Choi, Jae-Hyung;Oh, Dong-Jin;Kim, Il-Han;Park, Ki-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767-1768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선회구동장치의 최단시간으로 외란 및 시스템 불확실성에 강인한 구동을 위한 최단시간 강인제어기를 설계하는 것이다. 먼저 선회구동장치의 시스템 식별을 통해 플랜트의 전달함수를 유도하고 얻어진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High-gain PDC와 RNTOC의 스위칭 함수를 정의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어 법칙을 적용하여 제어기를 설계한다. 두 제어기의 제어 성능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으로 입증한다.

  • PDF

Optimal Path Searching Algorithm for AGV (AGV의 최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

  • Kim, Jong-Seon;Kim, Se-Jin;Joo,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309-310
    • /
    • 2007
  • 본 논문은 AGV를 사용하는 물류자동화 공장에서 운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최단 다 경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단 다 경로 알고리즘은 A* 알고리즘을 보완한 것으로써 경로 분기점에서 최단 거리 선택을 위한 휴리스틱 함수($\hat{h}$(n))보다 작은 모든 간을 선택하여 저장하고 이를 재 탐색함으로써 다수의 경로를 생성한다. 생성된 경로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소요시간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최단시간에 목적지에 도달 가능한 최적 경로를 선택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 PDF

Minimum-Time Trajectory Control of Ships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선박의 최단시간 궤적제어)

  • Choi, Young-Kiu;Park, Jin-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
    • /
    • pp.117-126
    • /
    • 2013
  • A ship is intended to reach a specified target point in the minimum-time when it travels with a constant speed through a region of strong currents and its heading angle is the control variable. This is called the Zermelo's navigation problem. Its approximate solution for the minimum-time control may be found using the calculus of variation. However, the accuracy of its approximate solution is not high since the solution is based on a table form of inverse relations for some complicated nonlinear equations. To enhance the accuracy, this paper employs the neural network to represent the inverse relation of the complicated nonlinear equations. The accurate minimum-time control is possible with the interpolation property of the neural network.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study we have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ones.

High Speed Position Control Method of a Linear DC Motor (리니어 직류 모터의 고속 위치 제어방식)

  • 엄기환;선동설;김주홍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7 no.4
    • /
    • pp.51-58
    • /
    • 1993
  • This paper proposed a minmum time control method by a parabolic switching function to high speed position control, with high accuracy, of a Linear OC Motor A proposed method is organized simply and a bang-bang control's signal switched on a parabola type switching function in the phase for a minimum time control realization. However, a sliding mode occurs owing to system's modelling errors, so the minimum time control is realized a once switching bang-bang control by repeating trial experiments. Next time, in a neighborhood of the origin in the phase plane, a Linear OC Motor is stopped at the origin by the linear feedback control.

  • PDF

A Heuristic Path-Finding Scheme Based on the Road Hierarchy (도로망의 계층성을 이용한 휴리스틱 주행 경로 탐색)

  • 김기홍;유승원;강현민;차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83-185
    • /
    • 1999
  • 주행 경로 안내는 최근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다. 주행 경로 안내를 위해서는 대규모 도로망에서 신속하게 경로를 찾는 방법과 찾은 경로를 음성 또는 기호로 운전자에게 효율적으로 안내하는 방법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망의 계층성을 휴리스틱 정보로 활용하여 최단시간 경로를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고속국도, 국도 등의 고속 주행용 도로만으로 소규모 상위 계층 도로망을 만들고 이를 기존 도로망에 덧붙이는 방식으로 통합한다. 이 통합망에 상위 계층 도로망을 우선적으로 찾도록 구성한 A*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최단시간 경로를 찾는다. 또 경로 탐색용 그래프가 디스크에 저장된 경우에, 디스크 접근을 최적화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디스크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도로망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을 통해 경로 탐색 소요 시간, 디스크 입출력 회수, 메모리 사용량 등을 75%이상 줄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