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근접점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peed Improvement of Nearest Neighbor Search Algorithm using Dimension Compression (차원 압축을 통한 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의 속도 개선)

  • 강혜란;남현우;위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17-51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Nearest Neighbor Searching)을 사용하여 고차원에서 질의점을 효과적으로 찾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최근접점 탐색에서 정확도와 실행속도는 반비례 관계를 가지며 기존에 제안된 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의 경우, 차원이 증가할수록 탐색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고차원에서 질의점을 탐색할 경우 실행시간이 현저하게 길어진다. 최근접점 탐색을 실세계에서 적용할 경우 정확도도 중요하지만 실행 속도 또한 중요하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압축하여 질의점을 탐색하고 압축 이전과 이후의 결과를 비교한 후, 이를 통해 정확성과 실행속도의 관계를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차원 압축을 이용할 경우 정확성이 중요한 요소가 아닌 탐색에서 상당한 실행속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k-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the Matrix of Shortest Distances between Border-point of Voronoi Diagram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경계지점 최소거리 행렬 기반 k-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

  • Um, Jung-Ho;Chang, Jae-W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1
    • /
    • pp.105-114
    • /
    • 2009
  • Recently, location-based services which provides k nearest POIs, e.g., gas stations, restaurants and banks, are essential such applications as telematics,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nd kiosk. For this, the Voronoi Diagram k-NN(Nearest Neighbor) search algorithm has been proposed. It retrieves k-NNs by using a file storing pre-computed network distances of POIs in Voronoi diagram. However, this algorithm causes the cost problem when expanding a Voronoi diagram.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which generates a matrix of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border points of a Voronoi diagram. The shortest distance is measured each border point to all of the rest border points of a Voronoi Diagram. To retrieve desired k nearest POIs, we also propose a k-NN search algorithm using the matrix of the shortest distance. The proposed algorithms can m inim ize the cost of expanding the Voronoi diagram by accessing the pre-computed matrix of the shortest distances between border points.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retrieval time, compared with existing works.

  • PDF

Grid-based Index Generation and k-nearest-neighbor Join Query-processing Algorithm using MapReduce (맵리듀스를 이용한 그리드 기반 인덱스 생성 및 k-NN 조인 질의 처리 알고리즘)

  • Jang, Miyoung;Chang, Jae Woo
    • Journal of KIISE
    • /
    • v.42 no.11
    • /
    • pp.1303-1313
    • /
    • 2015
  • MapReduce provides high levels of system scalability and fault tolerance for large-size data processing. A MapReduce-based k-nearest-neighbor(k-NN) join algorithm seeks to produce the k nearest-neighbors of each point of a dataset from another dataset. The algorithm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bigdata analysis. However, the existing k-NN join query-processing algorithm suffers from a high index-construction cost that makes it unsuitable for the processing of bigdata. To solve the corresponding problems, we propose a new grid-based, k-NN join query-processing algorithm. Our algorithm retrieves only the neighboring data from a query cell and sends them to each MapReduce task,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overhead data transmission and computation. Our performance analysis shows that our algorithm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 by up to seven-fold in terms of the query-processing time, while also achieving high extent of query-result accuracy.

A K-Nearest Neighbour Search Algorithm based on Hilbert Curve for Outsourced Spatial Database (아웃소싱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힐버트 커브 기반 k-최근접점 질의처리 알고리즘)

  • Yoo, Hye-Kyeom;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99-1202
    • /
    • 2011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데이터 소유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아웃소싱 할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불법으로 취득하여 악용할 수 있고, 질의 요청자들의 통계 정보를 통해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소싱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 및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기법 및 변환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질의를 처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웃소싱 환경에서 공간 네트워크를 고려한 가공 데이터 생성 기법 및 암호화 기법을 설계한다. 아울러, 인증된 사용자가 질의 요청 시, 서비스 제공자가 저장한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k-최근접점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힐버트 커브 기반 k-최근접점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A Distributed High Dimensional Indexing Structure for Content-based Retrieval of Large Scale Data (대용량 데이터의 내용 기반 검색을 위한 분산 고차원 색인 구조)

  • Cho, Hyun-Hwa;Lee, Mi-Young;Kim, Young-Chang;Chang, Jae-Woo;Lee, Kyu-Chul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7 no.5
    • /
    • pp.228-237
    • /
    • 2010
  • Although conventional index structures provide various nearest-neighbor search algorithms for high-dimensional data, there are additional requirements to increase search performances as well as to support index scalability for large scale data. To support these requirements, we propose a distributed high-dimensional indexing structure based on cluster systems, called a Distributed Vector Approximation-tree (DVA-tree), which is a two-level structure consisting of a hybrid spill-tree and VA-files. We also describe the algorithms used for constructing the DVA-tree over multiple machines and performing distributed k-nearest neighbors (NN) search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VA-tree, we conduct an experimental study using both real and synthetic datasets. The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contributes to significant performance advantages over existing index structures on difference kinds of datasets.

Human Body Motion Tracking Using ICP and Particle Filter (반복 최근접점와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

  • Kim, Dae-Hwan;Kim, Hyo-Jung;Kim, Dai-Ji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12
    • /
    • pp.977-985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algorithm for tracking the fast moving human body. Although Iterative closest point (ICP) algorithm is suitable for real-time tracking due to its efficiency and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ICP often fails to converge when the human body moves fast because the closest point may be mistakenly selected and trapped in a local minimum. To overcome such limitation, we combine a particle filter based on a motion history information with the ICP. The proposed human body motion tracking algorithm reduces the search space for each limb by employing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and enables tracking of the fast moving human bodies by using the motion prediction based on the motion histor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human body motion tracking provides accurate tracking performance and fast convergence rate.

An Approximate k-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Supporting both Location Cloaking and POI Protection (사용자 위치 정보 및 POI 정보 보호를 고려한 Approximate k-최근접점 질의처리 알고리즘)

  • Jang, Mi-Young;Hossain, Amina;Um, Jung-Ho;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53-60
    • /
    • 2010
  •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s: LBS)에서 질의 요청자가 자신의 위치 정보와 원하는 질의를 전송하면, 위치 기반 서버는 이를 기반으로 질의를 처리하고 결과를 전송한다. 이 때 질의 요청자는 자신의 정확한 위치 좌표를 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가 악용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연구는 크게 Location Clocking 기법과 Private Information Retrieval(PIR) 기법으로 분류된다. Location Cloaking 기법은 사용자의 위치 좌표를 k-1개의 다른 사용자와 함께 묶어 하나의 Cloaking 영역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의를 처리한다. 그러나 영역에 대한 질의 후보 집합을 결과로 전송하므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POI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PIR은 암호화 기법으로 위치 기반 서버나 공격자에게 사용자의 위치와 질의 타입을 드러내지 않고 질의를 수행한다. 그러나 암호화 된 질의 결과로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체를 전송하기 때문에 막대한 통신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ocation Cloakng과 PIR 기법의 장점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위치 기반 서버의 POI 정보 보호를 고려한 Approximate k-최근접점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질의 전송시, 질의 요청자는 Cloaking 영역을 생성하여 위치 좌표를 감추고, 질의 결과 전송 시 Cloaking 영역에 제한된 PIR 프로토콜을 적용한다. 또한 k-최근접점 질의 수행시, 반환되는 POI의 수를 최소화하고, 정확도 높은 질의 결과를 만족하기 위해 Overlapping parameter를 적용한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 PDF

The Conceptual Model of th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Job Stress of the Customer Interaction Center Employee (대고객접점센터 종업원의 스트레스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개념적 모형)

  • Choi, Joung-Im;Jun,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20-222
    • /
    • 2011
  • 최근 기업에서 고객만족 차원의 대고객만족 활동으로써 고객접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만족은 기업의 이미지와 궁극적인 수익 창출로 연결되는 전략적 차원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고객만족의 경영의 일환으로 고객감동은 지속적인 고객 관계 관리를 통해서 가능하며 이것은 고객접점센터 종사자원들이 고객과의 일대일로 직접 만나는 고객응대 서비스 품질에 의해서 좌우 된다. 그러나 대고객접점센터 종사원들은 이직률이 높고 직업 만족도가 낮아 기업의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요소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대고객접점센터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별 요인들에 대한 스트레스의 차이와 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A K-Nearest Neighbour Query Processing Algorithm for Encrypted Spatial Data in Road Network (도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암호화된 공간데이터를 위한 K-최근접점 질의 처리 알고리즘)

  • Jang, Mi-Young;Chang, Jae-W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3
    • /
    • pp.67-81
    • /
    • 2012
  • Due to the recent advancement of cloud computing, the research on database outsourcing has been actively done. Moreover, the number of users who utilize Location-based Services(LBS)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in w 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bile devices. Therefore, LBS providers attempt to outsource their spatial database to service provider, in order to reduce costs for data storage and management. However, because unauthorized access to sensitive data is possible in spatial database outsourcing,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a user's privacy. Thus, we, in this paper, propose a spatial data encryption scheme to produce outsourced database from an original database. We also propose a k-Nearest Neighbor(k-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that efficiently performs k-NN by using the outsourced database. Finally, we show from performance analysis that our algorithm outperforms the existing one.

AIS 항적 데이터 기반 선박의 충돌 위험 영역 예측에 관한 기초 연구

  • 박정홍;최진우;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1-1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원격 관제 및 제어하는 과정에서 원격 운항자에게 사전 충돌 위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항적 정보를 토대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충돌 위험 영역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근접한 타선의 AIS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선박의 위치, 속도, 침로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 운항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표적 충돌 위험 지수인 최근접점(CPA, Closest Point of Approach)과 최근접점 거리(DCPA, Distance to CPA) 정보를 활용하여 충돌 위험 영역을 2차원 공간상에서 예측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AIS 항적 데이터를 활용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초기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