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고 경영진의 지원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Study of Factors on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rough Web Assimilation (웹 기술 융합을 통한 정보시스템 성공 요인)

  • Byeon, Hyeon-Su;Kang, Mi-R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1
    • /
    • pp.85-97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assimilated web technologies can contribute to IS(information system) success.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are identified. First, top management championship, strategic investment rationale, and computer use and access affected web technology assimilation, and then web technology assimilation influenced on IS development success positively. Second, top management championship had more influence tha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in strategies dimension of web technologies assimilation while strategic investment rationale did in activities dimension. Third, the strategies assimilation was more dominant than the activities assimilation for IS success. Thus it is concluded that IT including web technologies brings organizations a powerful business tool and high profit.

The Effect of PMO Functions on IT Project Performance (PMO 기능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Jong-Ki;Yoon, Ok-Soo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3
    • /
    • pp.129-15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PMO의 기능들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통한 간접 효과를 PLS 경로모형을 통해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PMO 역량 및 최고 경영진의 지원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의 차이의 상호 효과 및 그 효과의 크기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 제공, 행정적 지원, 교육 및 훈련, 자원 관리, 지식 관리를 통하여 형성되는 PMO기능과 통합, 범위, 시간, 비용, 품질, HR, 커뮤니케이션, 위험, 자원조달 등을 통하여 형성되는 프로젝트 관리과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2차 요인 모형(second-order construct model)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1차 요인(first-order construct)은 반영지표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2차 요인은 조형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기에, 반영지표와 조형지표가 모두 포함되어있는 모형 분석에 용이한 자료처리 도구인 PL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대상은 PMO의 지원 하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프로젝트관리자나 프로젝트 리더와 같은 전문가 집단으로 한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PMO 기능 및 프로젝트 관리과정 모두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MO기능을 수행할 때, PMO역량에 따라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영진들은 프로젝트 수행 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PMO의 설립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PMO의 역량에 따라 프로젝트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PMO에 충분한 권한을 부여하고 경영진의 지원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초일류제품 개발만이 나라를 살리는 길이다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 s.392
    • /
    • pp.43-68
    • /
    • 2002
  • 연구소가 바로 생산공장이다 - 기업연구 활동 자체가 생산활동과 직결, 회사 종업원의 절반 이상이 연구개발직/제품의 일류화 무엇이 문제인가 - 한국 세계시장점유 1위 품목 크게 뒤져, 핵심기술 역량 확대ㆍ원천기술 확보해야/신제품 개발의 한계는 무엇인가 - 기술 외에 최고 경영진 의지 등 요인 중요, 삼성 도약 과감한 기술개발 투자에 기인/기업과 기술의 국제화전략을 통한 산업경쟁력의 강화 - 미래사회는 3D 아닌 7T가 발전 주도, IT 접목된 5T 경영기술이 성패 갈라/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출연연구소의 바람직한 역할 - 기존산업ㆍ제품 첨단기술 접목과 모방에서 혁신으로의 시급한 전환만이 살 길/중소기업 육성과 부품 일류화 전략 - 차세대 핵심부품 선점해 집중투자 필요, 우수인력 중소기업에서 흡수케 지원정책 펴야/20세기를 휩쓴 세계 최우수제품들 - 창의성 있는 아이디어 일류상품들, 레고블록 1949년 이래 2천30억개 팔려

  • PDF

A Study on CSF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 산업혁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Sung, Tae ky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0 no.1
    • /
    • pp.69-83
    • /
    • 202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empirically evaluate the validity of these factors through questionnaires from executives engaging in the industr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iterature review identifies leadership, change management, top management support, strategic fit, training, empowerment, teamwork,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cation, and project management as ten critical success factor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IOs and CEOs in the industries belo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ponse rate was 64.4% which shows quite high participation. Respondents rated strategic fi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op management support, leadership, change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teamwork, communication, train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owerment. To successfully pursu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llowings are recommended. (1) detailed and refined execution strategy, (2) establishment of effective network among government, public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industries, (3) strategic and long-term plan, (4) differentiated execution strategy from other countries and global cooperation system.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