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 생산량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gross primary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during drought season in South Korea (가뭄 기간 총일차생산량과 환경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 Park, Jongmin;Lee, Dalgeun;Park, Jinyi;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0
    • /
    • pp.779-793
    • /
    • 2021
  • Water stress and environmental drivers are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variance of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Environmental drivers are used to generate GPP in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lgorithm and process-based model. However, MODIS algorithm only consider the vapor pressure deficit (VPD) data while the process-based biogeochemical model also uses limited data to express water stress. W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drivers and GPP from eddy covariance method, MODIS algorithm, and Community Land Model 4 (CLM 4) simulation in normal years and drought years. To consider water stress specifically, we used VPD and evaporative fraction (EF). We evaluated the effects from environmental drivers and EF towards GPP produc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South Korea. We found that GPP products from MODIS algorithm and model simulation results were not restricted from VPD data if VPD was underestimated. We also found that in the cropland area, irrigation effects can relieve VPD effects to GPP. However, GPP products derived from MODIS and CLM 4 had limitation to explain the irrigation effects to GPP. Overall, these result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GPP products derived from MODIS and CLM 4.

비계통어업생산통계조사 표본설계

  • Yeom, Jun-Geun;Lee, Hae-Yong;Han, Geun-Sik;Lee, G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3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어업총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의 어업별, 어종별 수산물의 비계통생산량에 관한 통계를 정도높게 산출할 수 있는 표본설계를 하고, 그에 따른 추정식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편리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어종별 총생산량 통계를 산출하도록하였다. 본 설계에서는 가능한 한 기존의 설계에 비해 업무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효율적인 통계를 생산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방향들은 첫째, 조사 설계의 목적이 '비계통어업생산량'의 효율적인 추정인 만큼 각 어종들의 생산량 추정치의 정도를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정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어종이 114종에 이르고 어종별 비계통생산량이 상이함으로 어종별 정도를 고려하면 거의 전수조사를 해야하는 실정이므로 해양수산부에서 요청한 주요 어종과 어류생산 어가가 많은 어류 등 41개 어로어업 어종과 11개 양식어업 어종의 생산총계가 정도높게 작성될 수 있도록 표본설계를 하였다. 셋째, 표본의 할당 및 추출은 조사원의 업무량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 PDF

Evaluation of Watershed Hydrology Using Ecohydrological Model (생태수문모델을 이용한 유역수문 평가)

  • Shin, Hyung-Jin;Park, Min-Ji;Park, Geun-Ae;Joh, Hyung-Kyung;Ha, Rim;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27-12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모형을 이용하여 산림 유역의 생태수문학적 거동을 평가하고자 한다. 설마천 유역($8.48\;km^2$)을 대상으로 2007~2009년의 관측 일유출량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검 보정하였고,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은 신뢰할 만한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2007-2008)및 검증(2009)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구의 탄소순환을 규명할 수 있는 식생의 순광합성량과 총일차생산량에 대한 모형의 검 보정은 Terra 위성의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를 이용한 산출물인 순광합성량과 총일차생산량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2007)및 검증(2008)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최적의 수문, 생리생태학, 토양의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검증한 결과, 유출량에 대한 Nash-Sutcliffe 모형효율은 0.84, 증발산, 토양수분, 총일차생산량, 순광합성량의 결정계수는 0.49, 0.18, 0.38, 0.93 이었다.

  • PDF

Simulating the Gross Primary Production and Ecosystem Respiration of Estuarine Ecosystem in Nakdong Estuary with AQUATOX (AQUATOX 모델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역의 총일차생산량 및 생물체 호흡량 예측 모델링)

  • Lee, Taeyoon;Hoang, Thilananh;Nguyen, Duytrinh;Han, Ky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3
    • /
    • pp.15-2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cosystem model that can predict ecosystem fluctuations in the Nakdong estuary, and use this model to calculat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AQUATOX model was used as the ecosystem model, an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measured data.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chlorophyll-a data measured at the Nakdong estuary were used, and the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DO, TN, and TP data. In general,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volume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season, but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in the Nakdong estuary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Nakdong estuary bank. When the amount of effluent increased, photosynthesis could not be performed due to the loss of phytoplankton living in the lower area, and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mounted to zero, whereas the respiration increased sharply due to the inflow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ffluent. The increase in the inflow water means the inflow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flow water, and the organic substances are decomposed by oxidation, reducing dissolved oxyg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tuaries, the Nakdong estuary shows the lowest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because the respiration is larger than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the dissolved oxygen is depleted by th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A Sampling Design of the Non-consignment Fishery Products (수산물 비계통 생산량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연구)

  • 박진우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1
    • /
    • pp.1-15
    • /
    • 1999
  • 수산물 비계통 생산량 조사는 수산물 생산량 조사 중 어가부분에서 비계통 출하된 양에 대한 표본조사이다. 본연구는 1995년 어업 총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새로운 표본 설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본은 층화 2단 집락 추출방식에 의해 추출되었으며 층화변수로는 어업조사구 내의 일반어류 어가 비율을 사용하였다.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Remote-sensed Data to Estimate Forest Gross Primary Production at Multi-sites Level (산림 총일차생산량 예측의 공간적 확장을 위한 인공위성 자료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활용)

  • Lee, Bora;Kim, Eunsook;Lim, Jong-Hwan;Kang, Minseok;Kim, Jo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6_2
    • /
    • pp.1117-1132
    • /
    • 2019
  • Forest covers 30% of the Earth's land are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global carbon flux through its ability to store much greater amounts of carbon than other terrestrial ecosystems. The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represents the productivity of forest ecosystem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nd its effect on the phenology, health, and carbon cycle.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daily GPP for a forest ecosystem using remote-sensed data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IS products were employed to train the SVM model from 75% to 80% data of the total study period and validated using eddy covariance measurement (EC) data at the six flux tower sites. We also compare the GPP derived from EC and MODIS (MYD17). The MODIS products made use of two data sets: one for Processed MODIS that included calculated by combined products (e.g., Vapor Pressure Deficit), another one for Unprocessed MODIS that used MODIS products without any combined calcul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mean squared error (MS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us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model. In general, the SVM model trained by the Unprocessed MODIS (R = 0.77 - 0.94, p < 0.001) derived from the multi-sites outperformed those trained at a single-site (R = 0.75 - 0.95, p < 0.001). These results show better performance trained by the data including various event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remote-sensed data without complex processes to estimate GPP such as non-stationary ecological process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Business and Explosive Production Using the Concept of TOEE (TOEE 개념을 통한 건설경기동향과 화약류 생산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이종식;김용균;강상수;강대우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2 no.2
    • /
    • pp.21-32
    • /
    • 2004
  • 산업용 화약은 19세기 중엽부터 외국인에 의해서 수입된 화약류를 채광목적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 오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현대화약이 사용된 시기는 1930년대부터 국내 지하자원을 개발하면서라 할 수 있다. 1935년에는 홍남에 대규모 화학단지를 조성하였고 1940년에는 인천에 독립적인 화약공장이 세워져 국내 화약류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게 되었다. 그러나 1940년부터 보관된 자료는 없고 일부 존재하기는 한데 대부분 신빙성이 없는 자료들뿐이다. 화약류는 세계적으로 대부분 광업분야에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국내건설산업이 크게 발달하면서부터 광업분야보다 건설분야에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건설분야 중에서도 특히 건축, 토목, 시멘트, 골재생산에 폭약사용이 증가되어 왔다고 생각되어지나 화약류 생산에 대한 1990년 이전 자료들이 거의 없거나 불명확한 자료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폭약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폭열을 기준으로 비교될 건설기성액에 대하여 폭약총생산량의 폭약을 폭약등가톤수(Tons of explosives equivalent; TOEE)로 적용하여 1990년부터 최근 11년 간 화약생산량을 근거하여 2000년까지 건설경기동향과 폭약생산량의 상관관계 추이를 밝혀 국내 건설산업과 폭약생산량 증감의 경향을 연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떡"문화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보고

  • Jo, Yeong-Gwang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8.10a
    • /
    • pp.15-29
    • /
    • 2008
  • "떡"을 대표로 하는 중국 밀 문화는 선사시기의 야생 식물 재배는 역사상의 가공과 이용으로부터 현대 사회의 정밀 가공, 더 깊은 가공의 광범위한 이용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의 긴 역사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20세기말 이전까지만 해도 밀가루는 중국 사람의 주식 원료 구성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위치에 있었다. 하지만 분명해야 할 것은 어떤 종류의 곡물이 한 민족의 주식 원료 구성에서의 높고 낮은 비중이 결코 간단하게 그 사회 의미와 문화가치의 높고 낮음과는 동일시할 수 없다. 중국 사람의 밀 식용 역사가 바로 하나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선진(先秦)시기, 밀의 재배와 식용은 주로 식량 공급이 줄곧 긴장된 상태에 처해있는 각 정권의 "接濟靑黃"(구제식량)하는 전략적 물자였다. 그러나 선진(先秦)시기에서 밀은 경제가치가 아주 높은 곡물은 아니었다. 그 원인은 밀의 무(畝)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종자의 수요량도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묵은 곡식은 다 사용되고 새 곡식이 무르익지 않은 공백기에 있는(청황불접) 시기에 전략적 곡식의 사회와 정치 의미 외에 강한 적응성, 광범위한 분포와 낮은 단가가 또한 밀의 상대적 장점으로 될 수 있다. 밀의 경제와 문화가치는 주로 한대(漢代)이후 차츰 드러났다. 혁명적인 변화는 바로 가루 음식의 섭취와 계속적인 확대이다. 밀을 가루로 내어 식용한 후 차츰 기타 곡물의 편의식품 전통 공간을 대체하였고, 한대(漢代)의 딤섬류 식품 "한구(寒具)(고대에 곡물가루 튀김 음식물 현재의 타래떡 등)"에 사용되는 재료도 거의 밀가루를 사용하였다. 오늘날 중국 사람이 자랑으로 여기는 전통식품인 국수, 만두, 혼돈(餛飩), 포자(包子), 소맥(燒麥), 떡, 찐빵(饅頭), 고(糕) 및 공업화 식품인 과자, 빵, 라면, 햄버거 등은 모두 밀가루를 기본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서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딤섬 종류도 밀가루를 기본 원료로 한 주요 무대이다. 20세기말 이후 밀 소비 인구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였으며 높은 소비량은 밀의 재배 면적 확대와 재배지역 확장을 결정하였다. 밀 소비량은 중국 사람의 주식 원료 소비에서 이미 근근이 벼 뒤를 잇는 지위에 올랐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1949년 중국 밀 면적은 2,185만 헥타르로, 전국 식량 작물 총 면적의 19.6%, 총 생산량 1,380만 톤으로 전국 식량 작물 총 생산량의 12.2%에 달한다. 1980년에 이르러 면적은 2,884만 헥타르로, 총 생산량은 5,416만 톤에 달하였으며, 각각 식량작물 총면적의 24.8%, 총 생산량의 17.0%를 차지하였다. 1981이후 중국 밀 생산량은 또한, 새로운 발전을 가졌으며, 주로 단위 면적 생산량이 비교적 크게 증가되었고 총 생산량도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1981~1985년과 1976~1980년의 5년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재배 면적은 같았으나(단지 0.2%만 증가), 단위 면적당 생산량 및 총 생산량은 46%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이 9.2%에 달하여 50년 이래에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였다. 비록 지금 중국인의 "배부르게 먹기"문제는 이미 기본적으로 해결되었으나 장기적으로 "배부르게 먹기"의 물질적 보장은 여전히 취약하다. 농사가 가능한 경지면적의 급속한 격감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 압력을 증가되었다. 국가 표준에 따르면 품질이 좋은 밀은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과 "탄력이 약한 고품질 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지금 중국 시장의 추세를 보면 밀 품종의 선택에서 주로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을 선택하는데 즉 글루텐량이 높고 탄력이 강하며 품질이 좋은 전문 용도에 사용되는 밀을 선택한다.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은 주로 빵, 라면, 만두 등 밀가루 탄력을 요구하는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그 중에서 모든 빵은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을 사용하고 밀에 대한 품질 요구도 또한 높다. 빵가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일부 전문 밀가루 생산 공장에서는 국산 고품질 밀에 수입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만두가루를 가공할 경우도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밀가루의 품질을 높이고 음식을 맛을 증가한다. 일부 품질이 떨어진 밀에 대하여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내부의 품질을 개선하고 찐빵이나 기타 밀가루 음식으로 가공한다. 예를 들면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고품질 밀과 봄밀을 섞어 밀가루의 봄밀의 품질을 개선한다. 총괄적으로 밀에 대한 욕구는 계속 장기적으로 벼에 버금가는 위치를 유지할 것이며 고품질 밀에 대한 욕구는 더욱 강한 추세로 발전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Forest Watershed Hydro-Ecology using Measured Data and RHESSys Model -For the Seolmacheon Catchment- (관측자료와 RHESSys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생태수문 적용성 평가 -설마천유역을 대상으로-)

  • Shin, Hyung Jin;Park, Min Ji;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2
    • /
    • pp.1293-1307
    • /
    • 2012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al Simulation System) simulated streamflow (Q), evapotranspiration (ET), soil moisture (SM),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and photosynthetic productivity (PSNnet) with the measured data. The RHESSys is a hydro-ecological model designed to simulate integrated water, carbon, and nutrient cycling and transport over spatially variable terrain. A 8.5 $km^2$ Seolma-cheon catchment located in the northwest of South Korea was adopted. The catchment covers 90.0% forest and the dominant soil is sandy loam. The model was calibrated with 2 years (2007-2008) daily Q at the watershed outlet and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GPP, PSNnet and 3 year (2007~2009) daily ET data measured at flux tower using the eddy-covariance techniqu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for Q were 0.74 and 0.63, and the average $R^2$ for ET and GPP were 0.54 and 0.93 respectively. The model was validated with 1 year (2009) Q and GPP. The $R^2$ and the ME for Q were 0.92 and 0.84, the $R^2$ for GPP were 0.93.

Prediction of Optimal Production Level for Maximizing Total Profit in Miryang Sesame Leaf Cultivation (밀양 깻잎 농업의 총소득 극대화를 위한 적정 생산 규모 전망)

  • Cho, Jae-Hwan;Chung, Wo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1
    • /
    • pp.313-320
    • /
    • 2021
  • This study develops a demand and supply model and price model for Miryang sesame leaf cultivation and predicts the optimal production level to maximize total profit for Miryang sesame leaf farms. We used time series data from 1996 to 2017, which are related to Miryang sesame leaf cultivation. For the analysis, we estimated the demand function and average cost function, calculated the optimal production level and price, and derived the optimal profit. In addition, we predicted the optimal production level, price, total revenue, total cost, and profit until the year 2030 through scenario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production level until the year 2030 is between 10 and 12.5 thousand tons, while the production volume was 7 thousand tons in 2017, and total profit for Miryang sesame leaf farms is estimated at 13.3 to 21.3 billion Korean won in 2030. The producer group needs to maintain the optimal production level to maximize total profit for farmers, as sugges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