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면적

Search Result 1,40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Filling Method for Missing Turbidity Data having Periodicity (주기성을 갖는 탁도자료의 결측치 보완 기법)

  • Baek, Kyong-Oh;Cho, Hong-Yeon;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46-1550
    • /
    • 2006
  • 한강 하구부의 3개 지점에서 수중 계류방식으로 약 5개월에 걸쳐 탁도를 관측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측기기의 한계로 인해 탁도 자료의 결측치가 발생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결측치 보완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 일명 면적비법은 시계열 자료가 단일주기와 상이한 진폭을 갖는다는 가정하에, 각 사이클의 면적비율을 통해 결측치를 보완하는 방법이다. 면적비법과 기존의 최소제곱법을 검증하기 위해 결측치가 없는 정상적인 자료에 적용해 보면, 두 방법 모두 첨두치를 약간 과소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면적비법의 경우, 원자료의 총 면적과 보완자료의 총 면적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 방법들을 한강 하구부에서 관측된 탁도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면적비법은 합리적으로 결측치를 보완하는 반면, 최소제곱법은 보완자료의 총면적이 원자료에 비해 작아지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소제곱법에 비해 면적비법이 결측치 보완에 더 우수한 결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적비법은 주기성이 뚜렷한 시계열자료의 결측치 보완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 Lee, Sang-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4
    • /
    • pp.394-401
    • /
    • 2018
  •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tio of the weighted biotope areas and total project area. biotope area is important to resident's health and quality of their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recommends to meet the biotope area ratio standard presented by each project type. The analysis is based on 4 types of project,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lpex deveopment, tourism development, and waste and sewerage treatment facility, and 55 data extracted from them. It is needed that new standard that the population is reflected, adjustment that region and frequency are considered, and regulation strengthening according to achievement of 'the minimum achievable goals' to improve biotope area policy. The research includes more data and improvements of specific system are needed as a further research.

A Study on the Prerequisite of the Net and Gross Area i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의 순면적과 총면적 설정의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 Seong, Joon-Ho;Kim, Khil-Ch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8 no.1
    • /
    • pp.53-60
    • /
    • 2012
  •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quality relationships and reasonable distribution of space by utilizing the Net and Gross area. Therefore this study prerequisite for to investigate of Net and Gross area calculation in general hospital. For this study method as follow. First, a case study internal and external of net and gross area composition. Further more study on the other architect type. Second, a case study measuring area method for general hospital in internal and external. Finally, base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rawn a net and gross area composition in general hospital.

A Study on Runoff Characteristics by a Reservoir in Hyungsan River Basin (형산강유역에서 저수지 고려에 따른 유출특성 연구)

  • Song, In-Ryeol;Jung, Chan-Yong;Min, Gyeong-H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12-1316
    • /
    • 2010
  • 2007년 현재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에 등록 관리되고 있는 저수지는 3,319개소로서 총 저수량은 2,795백만$m^3$, 유호 저수량 2,448백만$m^3$, 유역면적 1,431천ha이고 수혜면적은 392천ha이다. 용수원 중 저수지 유효저수량이 약 93%이다(한국농촌공사, 2008). 또한 2004년 기준 총 3,328개의 저수지 중 홍수조절용 게이트가 설치된 저수지는 28개소로서 대부분 자연유하식 물넘이를 통하여 홍수량을 배제할 수밖에 없어 집중호우나 폭우를 감당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저수지는 가뭄 대비 용수확보의 기능도 홍수시 홍수배제 능력도 부족한 현실이다(김필식, 2009). 본 연구에서는 형산강 유역에 위치한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해 저수지 고려유무에 따른 유출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형산강 유역에 위치한 저수지 유역면적을 검토한 결과 형산강 전체 유역면적대비 51.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산강 본류에 위치한 경주2, 모아, 안강 지점의 유출률은 저수지 유역면적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30.1%, 38.9%, 34.2%로 분석되었고 저수지 면적을 고려하였을 경우 각각 37.2%, 50.2%, 45.1%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형산강 유역에서 저수지 유역면적이 전체 유역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저수지를 고려한 유출률은 저수지 유역면적을 배제한 유출률에 비해 7.06%~11.22%의 높은 유출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Urban Biotop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도시비오톱의 유형분류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나정화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29-142
    • /
    • 1999
  • 생태도시계획의 핵심토대로서 UBM(Urban Biotope Mapping)과 BIS(Biotope Information System)는 총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2단계의 연구로서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지로 한 도시비오톱 유형분류방법을 규명해 보고 우리 나라 적용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유형분류결과 biotope group complex는 총 12개, biotope group은 총 67개, detail biotope은 총 1,120개로 나타났다. 면적점유율 및 분포현황의 분석결과 습지초원 및 반건초지 초원비오톱(전체 면적 0.8%)이 희귀비오톱으로 분류되었으며, 분구원지역비오톱(전체 면적의 2.8%)의 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도시발전형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상이성보완이 필요하고, 더불어 기타 도시생태관련자료에서 지형(적)도(1 : 5,000) 및 적외선 칼라항공사진(1 : 5,000)은 최소한의 자료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Urban Wall-Planting Applied by a Biotope Area Ratio - Case of Jung-gu District in Seoul - (생태면적률 적용을 통한 도시 내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 분석 - 서울시 중구를 사례로 -)

  • Kang, Tae-Sun;Lee, My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5
    • /
    • pp.88-100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wall-plantings by applying a biotope area ratio when wall-plantings are constructed in high density areas. For this, this study required a sample of the wall-planting's regional plan. Therefore, types of wall-planting were determined and applied to a sample site. Four types of wall-plantings were developed by formative features and functional features. Type "A" had simple and functional features, Type "B" had both mixed and functional features, Type "C" had both simple and landscape features and Type "D" had mixed and landscape features. Jung-gu District in Seoul was chosen as the sample site. Total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hree times for three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11. Total green-able walls were located in 498 places with a total length of 8,449m and gross vertical area of $23,754.90m^2$.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total green-able walls by the four types were Type "A" at $1,936.65m^2$, Type "B" at $5,875.30m^2$, Type "C" at $12,487.85m^2$ and Type "D" at $3,455.10m^2$. This study analyzed how all facade areas of the green-able walls impacted the biotope area ratio at the site. First, the biotope area ratio regarding all the zones in Jung-gu District was defined as the gross biotope area ratio while the biotope area ratio regarding all of the artificial zones was defined as the net biotope area ratio. In the case of the gross biotope area ratio, 17.97% is current ration with a projected increase to 0.10% after wall-planting. In the case of the net biotope area ratio, 4.73% is the current ration with a projected increase to 0.11% after wall-planting. This 0.11% is about 2.28% of 4.73%. This study looks at all wall-plantings that have been constructed throughout a high density area to observe their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function therein. With consideration of the landscape value of the facade,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wall-planting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more.

Estimation of Water Demands for Irrigation by Integrated Analysis of Landuse Change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토지이용변화와 잠재증발산량 분석에 의한 관개용수 수요량 추정)

  • Lee, Byung Sun;Myoung, Wooho;Lee, Gyu Sang;Song, Sung-Ho;Ha, Ky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1-281
    • /
    • 2020
  • 이 연구는 농업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국내 농어촌지역에 대하여, 토지이용변화와 잠재증발산량 분석을 통해 관개용수 수요량을 추정하여, 가뭄 수요대응 상시 용수공급체계를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총 1,164필지(면적 약 289 ha)로 구성되며, 지하수 공공관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53%) 편이다. 농경지는 537필지(약 46 ha)이며 총면적(약 289 ha)의 약 16% 이고, 논이 약 11%(약 33 ha), 밭이 약 5%(약 13 ha)에 해당한다. 최근 10년(2010-2019년)간 농작물 재배면적을 살펴보면 논벼가 전체 농경지(46 ha)의 65-75%(약 32-33 ha)로 가장 넓다. 논벼를 제외하면, 깨(9-12%; 4-6 ha), 고추(3-9%; 2-5 ha), 고추/깨 윤작(2%; <1 ha), 수수(2-3%; 1 ha) 등이 나머지 면적에서 생산되며, 최근 들어 단호박, 마늘, 살구, 파, 표고버석, 호박 등 재배작물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편이다. 작물별 실제 관개용수 수요량을 산정하기 위해 최근 10년간(2010-2019) 작물별 재배면적 변화, 재배기간, 작물계수, 잠재증발산량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논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의 경우 논(297필지) 면적변화를 기반으로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밭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은 밭(240개 필지)의 재배작물에 대하여 작물별 증발산량이 밭작물의 관개용수 수요량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산정하였다. 이 결과, 최근 10년간(2010-2019) 연구지역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77천 ㎥/년으로 추정되었다. 논은 밭에 비해 약 6배 관개용수 수요량이 많았고, 상세하게는, 논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21천 ㎥/년이었고, 반면 밭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56천 ㎥/년으로 산정되었다. 밭용수의 경우, 2010년 이래로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밭작물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밭의 용수 수요량은 해마다 증가추세(40~88천 ㎥/년)를 보였다.

  • PDF

일본 견문기(Ⅱ)

  • Lee, Jong-S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12 s.331
    • /
    • pp.78-79
    • /
    • 1996
  • 총면적 37만㎢밖에 안되는 극동의 조그마한 섬나라 일본. 그러나 일본은 막강한 경제대국으로 그들이 이룩한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이 어떻게 서구 문명권 밖에서 으뜸가는 과학문명을 열었는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 PDF

관비농법과 모래땅의 식물재배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6 no.8 s.51
    • /
    • pp.25-28
    • /
    • 1973
  • 좁은 면적에서나마 좀더 많은 수확을 얻으려는 노력은 부단히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인구는 나날이 불어가고 경작면적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문제점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소위 재배에 적합하다는 고래로부터의 농경지에서만이 식량생산이 가능한 것일까? 하지만 이는 옛말이 되고 말았다. 모래밭에서 노다지를 캐낼 수 있기 때문이다. 고대 농대의 김용길 교수는 녹색식물의 영양, 생장, 광합성에 관한 능력발휘의 어느한계 이상에서는 토양이 오히려 제한적 인자로 등장한다고 지적하면서 이와같은 단점을 배제한 관권농법과 모래땅의 식물재배법을 연구 발표하였다. 토양의 제한성을 제거하고 근권매지에 새로운 영양환경을 조성하여 작물생산능력을 극대화하자는 것이 김교수의 주장이다.

  • PDF

Extraction of Snowmelt Parameters using NOAA AVHRR and GIS Technique for 5 River Basins in South Korea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4-198
    • /
    • 2007
  •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 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 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