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당함량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1초

초당옥수수 등숙시기에 따른 종실특성 변화와 발아율 (Kerne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Rate during . the Grain Filling in Super Sweet Corn)

  • 정태욱;김선림;차선우;김달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76-180
    • /
    • 2000
  • 초당옥수수의 등숙시기에 따른 종실의 형태적 특성 및 당, 전분, 단백질함량 등 종실 저장양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여 양질의 종지생산을 위한 적절한 종자 수확시기를 구명하여 초당옥수수의 가장 큰 문제점인 저조한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F$_1$종자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초당옥 1호를 공시재료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수분후 2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분함량은 수분 후 25일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건물중은 전분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이므로 수분후 25일경에는 저장양분의 축적이 거의 완료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종실의 수분함량과 종실에서 배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수분후 25일부터 급격한 감소추세이고 수분함량은 종실경도, 전분함량, 발아율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3. 종실의 총당함량은 수분후 39일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변화의 정도가 미미하여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 유묘의 길이는 종실경도, 전분함량 및 발아율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의 수분함량, 배유비율 및 총당함량 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5. 초당옥수수의 흑색층은 종자 수확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부정확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수분후 39-46일에 수확된 종실은 7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특히 수분후 39일경에 발아율이 9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때의 종실의 수분함량은 46.6%, 종실에서의 배유비율은 64.2%, 총당함량은 5.9%이고 전분함량은 24.2%였던 것으로 볼 때 양질의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숙종의 경우 종실의 수분함량 등을 고려하며 수분후 39일경에 종자수확을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 품종별 생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장선;나창수;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5.2-106
    • /
    • 2003
  • 배 폐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식품소재나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하여 배 품종별 생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나주 지역에서 생산한 풍수, 신고, 추황 등 3품종을 시료로 하여 생장시기에 따라 배 무게의 증가를 관찰하였고 표면의 착색도는 Hunter 색차계로 L, a, b값을 측정하였으며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으로 측정하였다. pH와 가용성 고형물은 각각 pH meter와 refractometer로, 총산은 적정법으로 측정하여 citric acid로 나타내었다. 총당은 phenol-황산법으로, 환원당의 함량은 DNS법으로 정량 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과 전분의 함량은 산 가수 분해시킨 후 DNS법으로 측정하였다. 유기산과 유리당은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풍수 과중의 증가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신고와 추황은 생장전기에는 급속히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풍수는 L, a, b값이 모두 약간의 증가를 보였고 신고와 추황은 a값이 각각 -1.80, 4.01에서 9.22, 9.70으로 증가하였으며 L, b값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피의 수분함량은 약 61%에서 79%로 증가하였고 과육의 수분함량은 76%에서 90%로 증가하였다. 풍수와 추황의 경우 과육의 수분함량은 생장초기에 이미 생장후기와 비슷한 수분함량 비율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품종 모두 생장초기 총산의 함량은 수확시기의 함량보다 높았고 추황의 경우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과피와 과육의 총산의 함량은 감소하다가 다시 약간의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주로 tarta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shikimic acid가 검출되었고 수확시기에 3품종에서 모두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mal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풍수와 신고에서는 약 0.3%, 추황은 0.4%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3품종 모두에서 총산과 같은 추세로 성숙기의 유기산의 함량이 생장초기의 함량보다 많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의 가용성 고형물은 전체적으로 과실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풍수와 신고 과피의 총당과 환원당은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하였고 성숙이 가까워지면서 환원당이 감소하였다. 배 과육의 총당과 환원당 또한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를 하다가 수확 전 20일 혹은 30일부터 총당의 함량은 계속 증가하지만 환원당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과실의 전반 성장과정에 있어서 전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은 과육에서는 증가하나 과피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풍수의 전분함량은 최고 2.19%에서 0.23%로 감소하였고 신고에서는 0.43%로 추황에서는 0.48%로 감소하였다. 배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orbitol, sucrose 둥 4종류의 당이 검출되었고 3품종 모두에서 생장과정 중 비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변색김으로부터 porphyran의 추출 (Extraction of Porphyran from Decolored Laver)

  • 김선재;문지숙;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17-1021
    • /
    • 2003
  • 건조김과 변색김의 탄수화물과 지방 및 회분함량은 거의 동일한 함량을 나타냈으나 단백질함량은 건조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김의 chlorophyll과 carotenoids 색소는 95% 에탄올 농도에서 그 추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변색김 보다 건조김에서 그 함량이 총 chlorophyll은 1.5배, 총 carotenoids는 10배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건조김과 변색김의 비타민 C 함량은 건조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를 나타내, 건조김이 변색 김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은 건조김이 15.6%, 변색김이 15.2%를 나타내 거의 동일한 함량이 존재하였다. Crude porphyran의 함량은 건조김이 12.5%, 변색김이 12.3%를 나타내 건조김과 변색김으로부터 crude porphyran의 추출율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건조김과 변색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crude porphyran의 총당 함량은 건조김 porphyran이 64.5%, 변색김 porphyran은 63.7%를 나타내어 각각의 crude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다. 황산기 함량은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이 건조김 porphyran은 17.6%, 변색김은 16.9%을 나타내었고, 3,6-anhydrogalactose은 건조김 porphyran이 18.8%, 변색김 porphyran이 18.1%를 나타내어 거의 같은 수준의 화학조성을 갖고 있어 변색김으로부터도 포피란의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산물로부터 Porphyran의 추출 및 품질특성 (Extra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phyran from Laver(Porphyra yezoensis) Waste)

  • 김선재;마승진;장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6-450
    • /
    • 2005
  • 시판김, 변색김 그리고 폐기용 김의 수분함량은 12.1%, 14.2% 그리고 12.3%,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35.7%, 31.7% 그리고 35.2%, 단백질 함량은 32.1%, 33.4% 그리고 32.5%, 지방 함량은 4.2%, 5.4% 그리고 4.3%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15.9%, 15.1% 그리고 15.7%를 나타냈다. 비타민 C의 경우 시판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 그리고 폐기용 김은 34.4 mg%를 나타내, 비타민 C 함량은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이 변색 김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의 경우는 시판 김이 15.6%, 변색 김이 13.4% 그리고 폐기용 김이 15.7%를 나타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의 총당이 거의 동일한 함량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시판 김과 변색 김 그리고 폐기용 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총당 함량은 시판 김 porphyran이 54.5%, 변색김 porphyran은 45.7%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56.2%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지만 변색 김에서는 그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으로 표현하였는데 시판 김 porphyran은 17.6%, 변색 김은 13.9% 그리고 폐기용 김은 17.3%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은 각각 12.3%, 12.4% 그리고 12.1%로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김 제품으로부터 추출된 3,6-anhydrogalactose은 시판 김 porphyran이 13.8%, 변색김 porphyran이 9.1%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13.9%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에서 추출한 porphyran의 3,6-anhydrogalactose는 거의 같은 수준으로 들어 있으며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화학 조성과 함량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녹두(綠豆) 발아중(發芽中) 당(糖)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Changes of Sugar Contents of Mung Bean during Germination)

  • 고무석;박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6-239
    • /
    • 1983
  • 녹두(綠豆) 발아과정(發芽過程) 중(中) 당함량(糖含量)을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자엽(子葉)과 배축(胚軸)으로 구분(區分)하여 총당(總糖)과 환원당(還元糖)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녹두(綠豆)는 발아(發芽)함에 따라 총당(總糖)은 감소(減少)하고 환원당(還元糖)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2. 발아기간(發芽期間) 중(中) 총당(總糖) 함량(含量)은 ash구(區)가 가장 높고 ccc구(區), 무처리구(無處理區) 및 gibb구(區)의 순(順)이었다. 3. 발아기간(發芽期間) 중(中) 환원당(還元糖) 함량(含量)은 ash구(區), 무처리구(無處理區), gibb구(區) 및 ccc구(區) 순(順)으로 ccc는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냈다. 4. 96시간(時間) 이후(以後) 자엽(子葉)과 배축부(胚軸部)의 총당(總糖) 함량(含量)이 비슷하게 나타냈다.

  • PDF

양파의 부위에 따른 pyruvic acid 함량 (Pyruvic Acid Content according to Different Portions in Onion(Allium cepa L.))

  • 이은주;서전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6
    • /
    • 2009
  • 양파 구의 부위 및 크기에 따른 pyruvic acid 함량과 양파 식물체의 구, 엽초, 엽 및 엽서에 따른 부위별 pyruvic acid와 당 함량을 분석하여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파구의 하부에서 pyruv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상부였으며 중간부분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인편에 따라서는 외피로부터 2번째 인편에서 가장 낮았으며 3번째 인편부터는 구의 내부로 갈수록 pyruvic acid 함량이 증가하였다. 생육기간 경과에 따른 구, 엽초부 및 엽의 pyruvic acid 함량은 구비대 초기에는 구에 비해 엽과 엽초부의 pyruvic acid 함량이 더 높았으나 수확기에 이르러서는 구의 pyruvic acid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지만 엽과 엽초부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총당 함량은 구비대 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구가 비대되면서 구의 총당 함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엽과 엽초부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엽서에 따라서는 바깥쪽의 오래된 잎에서 pyruvic acid와 총당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내부의 어린잎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된장절임기간에 따른 새송이버섯의 품질 변화 특성

  • 황성희;이예경;윤광섭;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7.2-118
    • /
    • 2003
  • 절임식품은 우리 고유의 먹거리이지만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품질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우리의 전통식품을 세계적인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통식품을 과학화하고 현대화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새로운 된장절임 가공법을 개발하고자 blanching, salting, drying 등의 전 처리를 행한 후 된장 절임기간에 따른 새송이 버섯의 수분함량, 염도, 색상, 조직특성, 관능특성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된장절임기간에 따른 새송이 버섯의 수분함량 변화는 숙성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염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처구를 제외하고는 숙성 30일 이후부터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숙성기간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보면 블랜칭이 매우 효과적으로 변색을 방지하였다. 숙성 30일부터는 모든 처리구에서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숙성 40일째에 맛과 조직감 그리고 기호도 등 모든 항목에서 B(B)와 E(BSD) 처리구가 높은 점수를 받아 관능적 품질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처리공정에 있어서는 7$0^{\circ}C$에서 10분간 블랜칭처리한 B(B)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된장 절임후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7$0^{\circ}C$에서 10분간 블랜칭처리후 5% 염용액에서 72시간 절임한 후 4$0^{\circ}C$에서 30분간 탈염하고, 다시 5$0^{\circ}C$의 온도에서 3시간 건조시킨 E(BSD)처리구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새송이 버섯을 이용한 장류절임가공법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d, citric acid 그리고 shikimic acid가 검출되었고 수확시기에 3품종에서 모두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mal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풍수와 신고에서는 약 0.3%, 추황은 0.4%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3품종 모두에서 총산과 같은 추세로 성숙기의 유기산의 함량이 생장초기의 함량보다 많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의 가용성 고형물은 전체적으로 과실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풍수와 신고 과피의 총당과 환원당은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하였고 성숙이 가까워지면서 환원당이 감소하였다. 배 과육의 총당과 환원당 또한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를 하다가 수확 전 20일 혹은 30일부터 총당의 함량은 계속 증가하지만 환원당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과실의 전반 성장과정에 있어서 전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은 과육에서는 증가하나 과피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풍수의 전분함량은 최고 2.19%에서 0.23%로 감소하였고 신고에서는 0.43%로 추황에서는 0.48%로 감소하였다. 배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orbitol, sucrose 둥 4종류의 당이 검출되었고 3품종 모두에서 생장과정 중 비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

  • PDF

동결건조 로얄제리의 세립가공 특성 (Fine Granulation Characteristics of Freeze-Dried Royal Jelly)

  • 최인학;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2-68
    • /
    • 2013
  • 동결건조 로얄제리를 이용하여 세립차를 제조하고자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 로얄제리를 이용하여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X_1$, 0~100%), 에탄올 농도($X_2$, 75~95%) 및 에탄올 용액 분무량($X_3$, 8~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세립형성에 따른 수율, 교반에 의한 분쇄율 및 관능적 특성의 최적조건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최대 수율은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 59.30%, 알콜 농도 88,64% 및 알콜 용액 분무량 11.83%일 때 89.99%로 높게 나타내었다. 교반에 의한 최소 분쇄율은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 22.35%, 알콜 농도 77.21% 및 알콜 용액 분무량 10.59%에서 0.82%로 낮게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최대 관능평점은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 31.81%, 알콜 농도 93.96% 및 알콜 용액 분무량 10.51%에서 7.45로 나타났다.

밀가루의 수침기간이 전분 및 배접용 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ermentation Time of the Fermented Wheat Starch and Paste on the Properties for Pasting)

  • 백영미;조경실;이영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7
    • /
    • 2009
  •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배접용 밀가루 수침 풀의 수침기간에 따른 전분의 구조 및 풀의 접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향후 회화문화재의 보존처리용 천연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급표구(장황)에 사용하는 밀가루 풀의 수침기간이 2년8개월, 4년8개월, 7년인 세 가지 시료를 준비하여 총당함량, 아밀로오스 함량, 결정화도, 입자의 형태 및 크기, 호화특성, 점도, pH, 박리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침기간이 길어질수록 총당함량, 결정화정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 및 치반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아밀로오스 함량, 호화온도,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접착강도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7년 삭힌 시료의 경우 오히려 박리강도가 증가하였다.

  • PDF

우리나라산 일부 사과 품종의 유리당 함량 (Free Sugars Content of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 김천회;황혜정;구자일;박기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27
    • /
    • 2006
  • 우리나라 사과의 품종별 HPLC법으로 산출한 총당 함량은 쓰가루 평균 9.62%, 후지 11.79%, 홍옥 11.20% 그리고 신흥 11.59%이었다. 전국의 총당 함량분포는 최소 8.91%(대구 산 쓰가루)에서 최고 13.08%(수원 산 후지)이었다.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 분포는 전국적으로 sucrose 0.72-3.26%, glucose 1.81-3.54%, fructose 5.08-6.96% 그리고 sorbitol 0.22-0.96%이었다. 개별 유리당의 품종별 평균함량은 fructose는 쓰가루 5.76%, 후지 6.08%, 홍옥 5.76% 그리고 신흥 6.03%, glucose는 쓰가루 2.60%, 후지 2.74%, 홍옥 2.68% 그리고 신흥 2.53%, sucrose는 쓰가루가 0.94%로서 후지 2.33%, 홍옥 2.29% 그리고 신흥 2.53%, sorbitol은 쓰가루 0.31%, 후지 0.64%, 홍옥 0.45%, 신흥 0.44 이었다. 총당 중의 유리당과 sorbitol 분포비율은 네 가지 품종 모두 fructose가 5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sorbitol은 5% 미만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지만 쓰가루는 fructose가 60%를 점유하고 sucrose는 약 10% 정도의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 품종별 총당(TS+S)에 대한 유리당의 함량비율 sucrose/TS+S는 쓰가루 0.098, 후지 0.198, 홍옥 0.205 그리고 신흥 0.225, fructose/TS+S는 쓰가루 0.600, 후지 0.516, 홍옥 0.515 그리고 신흥 0.521, glucose/TS+S는 쓰가루 0.270, 후지 0.233, 홍옥 0.240 그리고 신흥 0.219이며 이 중 모든 품종의 fructose/TS+S와 glucose/TS+S는 안정적인 지표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총당에 대한 sorbitol의 함유비율(sorbitol/TS+S)은 쓰가루 0.032, 후지0.053, 홍옥 0.041, 신흥, 0.0370로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품종 별 fructose와 glucose 함유비율(fructose/glucose)은 쓰가루 2.295, 후지2.244, 홍옥 2.161 그리고 신흥 2.393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