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촉진양생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콘크리트 강도(强度)의 조기판정(早期判定)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Early Evaluation of Concrete Strength by Hot Water Curing Method)

  • 신현묵;전찬기;서광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61-71
    • /
    • 1987
  • 콘크리트의 품질판정기준(品質判定基準)은 재령(材令) 28일(日)의 압축강도(壓縮强度)이지만, 실질적인 품질관리(品質管理)를 위해서는 조기(早期)에 강도(强度)를 파악해야 한다. 콘크리트 강도(强度)를 조기판정(早期判定)하는 방법은 크게 "강도촉진법(强度促進法)"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분석법(分析法)"이 있으나,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70^{\circ}C$의 열수양생법(熱水養生法)으로 다양한 양생방법을 시도하여 기존의 외국기준(外國規準)보다 개선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자료의 분석(分析)에 있어서는 각 강도의 변동을 검토함은 물론, 합리적인 추정식(推定式)을 제안하기 위하여 각 강도의 분포(分布)를 고려하고 확률적(確率的) 관계(關係) 및 품질기준(品質基準)의 적합성(適合性)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촉진강도(促進强度)의 변동은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부분의 방법이 좋은 상관성(相關性)을 가지고 있어 유용한 조기판정방법(早期判定方法)으로 판명되었다.

  • PDF

순환 유동층 보일러 애시의 촉진탄산화에 의한 탄소포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Capture by the Accelerated Carbonation Method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Ash)

  • 최영철;유성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65-172
    • /
    • 2021
  • 이 연구는 건설재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다양한 무기계 재료의 탄소포집에 대한 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광물탄산화가 가능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PC), 고로슬래그 미분말(GGBS),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시(CFBC)의 탄산화 반응에 대한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촉진 탄산화 실험을 통해 모든 재료에 대한 탄산화 양생을 수행하였으며, 탄산화 재령에 따라 열중량 분석에 의해 탄소포집량을 정량분석하였다. 모든 재료에서 탄소포집 효과가 확인되었고, 실험결과 탄소포집량은 CFBC, OPC, GGBS 순으로 나타났다. CFBC, OPC, GGBS의 28일 탄소포집량은 각각 9.4 wt.%, 3.9 wt.%, wt.1.3 %이다. 탄소포집은 탄산화 초기에 빠르게 발생하였으며,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느리게 발생하였다. SEM 이미지 분석을 통해, 모든 실험체에서 탄산화 양생에 의해 발생된 추가적인 생성물은 탄산칼슘(CaCO3)으로 나타났다.

열수양생법에 의한 고로슬래그미분말 혼합 콘크리트의 강도 추정 (Early Prediction of Concrete Strength Us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y Hot-Water Curing Method)

  • 문한영;최연왕;김용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2-110
    • /
    • 2004
  • 최근 시멘트 및 골재 등 원재료 값의 상승 및 세계적인 유가 급등으로 인한 운송비의 증가로 레미콘 제조원가는 상승하고있다. 그러나 레미콘 제조업체들 간의 과당경쟁으로 인해 레미콘의 납품 단가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레미콘 제조업체들은 레미콘의 제조원가를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하는 노력 중 하나로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미분말 혼합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를 조기에 예측하기 위해 열수양생법 및 표준양생에 의한 7일 압축강도를 이용하였다. 고로슬래그미분말 혼합률 별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추정식을 제시하였고 90%의 신뢰구간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배합은 3회 반복하였고, 배합순서는 랜덤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 열수양생법에 의한 1일 촉진강도로서 고로슬래그미분말 혼합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추정식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성과를 얻었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열거푸집을 적용한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특성 (Early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Cured with Microwave Heating Form)

  • 고태훈;황선근;문도영;유정훈;송진우;고지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65-372
    • /
    • 2014
  • 콘크리트 공사에서 공기단축과 시공비 절감을 위하여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는 온도 제어 양생기술이다. 최근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발열 촉진 양생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기술을 적용한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발현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총 6차에 걸친 대형 Mock-up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성숙도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하였다. 개발된 방법으로 양생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과 성숙도는 로그함수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일반적인 고온 증기 양생된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등가재령이론으로 강도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마이크로웨이브 발열거푸집에 의해 동절기에도 하루면 거푸집 탈형을 위한 소요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에 따른 이산화탄소 양생 모르타르의 기초 물성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O2-cured Mortar with Varied Rates of Blast Furnace Slag Fine Powder Substitution)

  • 류지수;장경수;나형원;형원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1
    • /
    • 2024
  • 본 실험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에 따른 이산화탄소 양생 모르타르의 기초 물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이산화탄소 양생은 CaCO3의 생성을 촉진하며 공극 감소와 조기 강도 발현에 영향을 준다. Ca(OH)2가 CaCO3보다 주된 강도 발현에 영향을 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이 높은 배합일수록 Ca(OH)2 생성이 감소한다. 하지만 Ca(OH)2가 소모된 이후에도 CaCO3를 통해 강도가 유지되며 이산화탄소 양생 이후 대기 중에 노출하여도 소요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이 50%를 초과할 경우 이산화탄소에 의한 성능 저하를 유발하므로 치환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실물대시험에서의 양생방법 차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and the Temperature Hysteresis of Winter Concre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ring Method in Mock-up Test)

  • 원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87-94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hysteresis and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 due to the curing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 optimum curing condition of test specimens showing the same development of strength to that of real structures in cold weather. The results of temperature curve with curing conditions in mock-up tests showed the trend of decrease plain concrete with insulation form, plain concrete with heating, concrete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and control concrete in turn. The strength development of plain concrete of inside and outside of shelter showed the very slow strength gains due to early freezing, but that of concrete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showed the gradual increase of strength with time. From this, it is clear that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has the effects of refusing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accelerating the hardening under low temperature. Strength test results of small specimens embedded in members and located in insulation boxes at the site are similar to that of cores drilled from the members at the same ages, thus it is clear that these curing methods are effective for evaluating in-place concrete strength

분말형 경화촉진제를 혼입한 PC부재용 콘크리트의 기초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ffect of Powder Hardening Accelerato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recast Concrete)

  • 전우철;서휘완;배연기;박희곤;민태범;권영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5-271
    • /
    • 2015
  • 본 연구는 재령 6시간에 압축강도 10MPa 이상을 만족하는 조강형 콘크리트를 개발함에 스팀양생 공정을 생략한 PC(Precast Concrete)부재를 생산하고자 하였으며, 거푸집의 회전율을 높임에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C_3S$의 함유량이 높은 조강시멘트와 $C_3S$의 수화작용을 촉진시키는 분말형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 혼입율 0%, 1.2%, 1.6%, 2.0%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경화촉진제 혼입율에 따라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6%이상을 혼입하였을 때, 재령 6시간에 10MPa를 만족하였다. 자기(건조)수축 길이변화 시험 및 소성수축 시험결과, 경화촉진제의 혼입으로 수화반응 속도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균열 및 내구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융해 및 탄산화 침투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 복합체 내부 철근 부식에 양생 용액과 철근 사전 부식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Solution and Pre-Rust Process on Rebar Corrosion in the Cement Composite)

  • 두여준;장인동;이혜린;이종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8
    • /
    • 2022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수명 저하의 주요한 원인은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부식이다. 이때 사전 부식된 구조물 내부 철근은 다른 철근에 비해 더 쉽게 부식되며, 특히 구조물이 습기 또는 염화 환경에 노출된 경우 부식의 진행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복합재 내부의 사전 부식 철근에 대한 서로 다른 양생 용액이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철근의 사전 부식을 촉진하기 위해 HCl(3%)용액과 CaCl2(10%)용액을 활용하였으며, 대조군(RE)을 포함한 3종의 사전 부식 철근 모르타르 실린더를 타설하였다. 철근 모르타르 실린더는 CaCl2(3%) 용액과 수돗물에서 각각 120일 동안 양생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전 부식 철근의 모르타르 내부 부식 거동에 대한 양생 용액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기화학적 분극저항(Electrochemical Polarization)과 반전지 전위 측정법(Half-cell potential)을 활용하였으며, 전자주사현미경(SEM)과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Analysis)을 통해 부식된 철근의 표면 상태와 성분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두 종류의 양생 용액에서 사전 부식된 철근의 부식률은 사전 부식되지 않은 시료의 부식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aCl2 용액 양생 120일의 RE, CaCl2, HCl 사전 부식 시편의 최종 부식 속도가 수돗물에 양생한 경우보다 각각 8.14, 4.48, 13.81배로 높았다.

해성점토의 석회 및 시멘트 안정처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A Study for Influence of Salt on Stabilized Marin Clay with Lime and Cement)

  • 정두영;이병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4호
    • /
    • pp.49-64
    • /
    • 1991
  • 석회 및 시멘트에 의한 안정처리는 이미 일반화 되어있지만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서 토질안정처리를 할 경우 염분이 처리토의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실험 분석한 결과 시료토의 염분함량은 PH변화와는 거의 관계가 없으며 석회나 시멘트 첨가량 10%에서 석회의 PH는 12.4, 시멘트는 11.6에 근접하였다. 또한 양생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PH 와 Ca++이온 농도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고 첨가량 10%의 처리토를 90일 양생한 후 X-ray회절 분석한 결과 NaCl 8%함유의 처리토가 0%함유의 것보다 Tobermonite, Etringite등의 반웅 생성 peak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회와 시멘트 처리토를 2$0^{\circ}C$와 5$^{\circ}C$로 양생 했을 때 2$0^{\circ}C$로 양생한 것이 5$^{\circ}C$로 양생한 것보다 일축압축강도가 크고, 기건양생의 처리토가 수침양생의 것보다 압축 강도가 컸다. 그리고 2~4%의 염분함량은 처리토의 일축압축강도를 촉진시키거나 강도발현을 저해하지 않았으나 8%의 경우에는 강도발현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산화 반응 촉진제를 이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탄산화 깊이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arbonation Depth of Cement Paste Using Carbonation Reaction Accelerator)

  • 정석만;양완희;박동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49-354
    • /
    • 2023
  • 본 연구는 시멘트 산업의 CO2 저감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CCU(Carbon Capture, Utilization)를 적용하여 이산화탄소의 활용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이산화탄소 양생 환경에서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페이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탄산화 반응 촉진제의 혼입 유·무에 따른 재령 별 탄산화 깊이 변화와 이에 따른 기초 물리 특성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콘크리트 분야에서 CO2 고정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벙법인 고온에서의 CaCO3 탈탄산을 평가하는 열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중량 감소율에 따른 결과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시멘트 페이스트에 CRA 혼입에 따라 두 가지의 환경조건에서 모두 압축강도 성능이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탄산화 깊이 확산성능에 있어서 CRA의 혼입으로 경화체 내의 탄산화 깊이가 상당 부분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온항습기 양생 조건, 탄산화챔버 양생 조건의 순서로 Plain 대비하여 각각 23.8 %, 40.77 %만큼의 중량 감소율이 증가한 경향을 확인하였기에 CRA 첨가에 따른 우수한 CaCO3의 생성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O2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생성량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소요성능 수준 이상의 성능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탄산화 저감을 목표로 하는 모든 CCU 기술에 재료적 측면으로 접목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