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촉진양생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촉진양생이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ccelerated Curing on 28-Days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최세규;유승룡;김생빈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1-148
    • /
    • 1996
  • 기존의 촉진양생 연구는 1960~1970년대에 주로 실행된 것으로, 전체 증기양생기간이 18시간 또는 24시간인 경우에 대하여 연구되었고, 상기 연구 결과는 수동식 항온항습조를 사용하였으므로 온도상승구배의 효과에 대하여 명확한 규명을 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국내 PC공장 여건에서 그 직접적인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콘크리트 촉진양생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정립할 목적으로, 국내 PC 공장에서 사용하는 배합표를 근거로 시험공시체를 제작한 후, 각 해당 양생주기 조건을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하였다. 탈형시 및 수중양생 재령28일의 측정하고 비교 검토한 결과, 재령 28일 후 설계강도값을 초과하는 가장 효과적인 촉진양생조건, 본 실험조건 하에서 전양생시간은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온도상승구배는 $30^{circ}C/hr$ 이하로, 최고양생온도는 $82^{\circ}C$이하로 양생해야 하며, 또한 촉진양생 후 2차 양생으로 강도증진을 도모함이 촉진양생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실물부재시험에서의 양생방법 차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외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and the Temperature Curve of Winter Concre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ring Method in Mock-up Test)

  • 김영진;이상수;원철;박상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41-548
    • /
    • 2003
  • 본 연구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실물부재시험을 통해 각종 양생방법에 따른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을 검토하고 한중콘크리트에서 실구조물과 동일한 강도이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강도관리용 공시체의 적정 양생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물부재시험에서 양생방법에 따른 온도이력은 일반콘크리트(단열양생), 일반콘크리트(급열양생), 내한촉진제 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양생막 양생) 순으로 크게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강도특성은 양생조건이 열악한 양생막 내 외부에서의 일반콘크리트 공시체의 경우에는 초기동해에 따른 강도발현 저하를 보인 반면에 내한촉진제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재령이 경과할수록 계속적인 강도발현을 보이고 있어 내한촉진제의 사용에 따른 동결온도 저하효과 및 저온환경하에서의 경화촉진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한중콘크리트의 강도관리용 공시체의 적정 양생방법을 검토한 결과, 부재 내부에 매립하여 양생한 경우 및 간이단열양생을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구조체 콘크리트와의 온도이력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코어강도와는 비교적 근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구조체 강도평가를 위한 이들 양생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증기양생 콘크리트의 양생온도주기와 강도발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Development and Curing Cycle of the Steam Cured Concrete)

  • 김광돈;김춘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3-71
    • /
    • 2010
  • 본 논문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강도를 촉진시키기 위한 양생공법 중에서 증기양생에 대한 연구내용으로서, 콘크리트 원주형 공시체와 목업체의 실험을 통하여 초기재령에서 요구되는 강도가 발현될 수 있는 증기양생주기와 최고온도를 정량화하여 최적 증기양생온도주기를 고찰하였다. 또한 고온의 증기양생으로 인하여 발생된 콘크리트의 높은 온도와 거푸집 제거시에 발생되는 균열의 발생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PC 부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조기강도발현과 품질확보를 동시에 만족하면서 경제성 있는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열거푸집으로 양생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발현 모델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Model for Concrete Cured by Microwave Heating Form)

  • 고태훈;문도영;배정명;유정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669-6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촉진양생기술 중 하나인 마이크로웨이브 발열거푸집으로 양생된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ACI 209R-92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델식과 유사하지만 시멘트종류와 양생방법에 따른 계수를 실험과 그 결과의 회귀분석에 근거하여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실험체를 타설한 후 마이크로웨이브 발열거푸집으로 촉진양생한 후 실험체로부터 채취된 코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강도결과는 표준코어강도와 현장 콘크리트강도로 보정되었으며, 이 자료를 근거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촉진양생(促進養生)이 연탄재를 사용(使用)한 Mortar의 강도(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ccelerated Curing on the Strength of Mortar Using Briquette Ash.)

  • 김성완;강신업;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85-194
    • /
    • 1981
  • 본(本) 연구(硏究)는 촉진양생(促進養生)이 Mortar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멘트 : 연탄재 Mortar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시멘트 : 표준사, 시멘트 : 연탄재를 배합비(配合比) 1 : 2, 1 : 3, 1 : 4의 3종류(種類)로 하고 $20^{\circ}C$의 기준양생분(基準養生分)과 촉진온도(促進溫度)를 $60^{\circ}C$, $80^{\circ}C$, $100^{\circ}C$의 3 종류(種類)로 구분(區分)하고, ${\sigma}_3$, ${\sigma}_7$, ${\sigma}_28$의 압축(壓縮) 및 인장강도(引張强度)시험을 실시(實施)하였으며 본시험(本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압축(壓縮)과 인장강도(引張强度)에서 시멘트 : 표준사(標準砂)가 시멘트 : 연탄재보다 각재령(各材令), 각온도(各溫度)에서 강도(强度)는 현저히 크게 나타났으나 강도(强度)의 증가율(增加率)은 시멘트 : 연탄재가 시멘트 : 표준사보다 각재령(各材令)과 각온도(各溫度)에서 크게 나타났다. 2. 압축(壓縮)과 인장강도(引張强度)에서 KS 규정치(規定値) 하(下) 회(廻)하던 것이 촉진양생(促進養生)의 온도상승(溫度上昇)으로 규정치(規定値)를 상회(上廻)하게 된 것은 촉진양생(促進養生)에 의한 강도(强度)의 증가(增加)라고 생각되며 촉진양생(促進養生)에 의한 강도(强度)의 증가율(增加率)이 부배합(富配合)보다 빈배합(貧配合)에서 크게 나타난 것은 빈배합(貧配合)일수록 촉진양생(促進養生)에 의한 경화작용(硬化作用)이 더 활발(活潑)히 진행(進行)된다는 것을 예측(豫測)할수 있다. 3. 시멘트 모르터에서 잔골재를 연탄재로 대치(代置)했을 때 강도저하는 불득기(不得己)한 것이지만 시멘트 : 연탄재의 ${\sigma}_28$의 강도(强度)를 $20^{\circ}C$에서 100%로 보았을 때 촉진양생온도(促進養生溫度) $600^{\circ}C$에서 137.6%, $80^{\circ}C$에서 164.1^, $100^{\circ}C$에서 183.8%의 평균증가(平均增加)를 보이고 있어 강도(强度)의 증가(增加)를 기대(期待)할수 있다. 4. 시멘트 : 연탄재의 모르터는 시멘트 모르터에 비(比)하여 저강도이지만 촉진양생(促進養生)의 온도조절(溫度調節)로 강도증진을 기대(期待)할수 있기 때문에 저강도를 요(要)하는 곳과 시멘트 2 차제품(次製品)의 제조(製造) 등에 이용(利用)이 가능(可能)하다고 생각된다.

  • PDF

경화촉진제와 억제제의 시멘트 및 시멘트-목재 복합체 양생효과에 관한 전자현미경적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an Inhibitor and an Accelerator on Setting and Hardening of Portland Cement Paste and Wood-Cement Composites (WCC))

  • 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12
    • /
    • 1980
  • 경화촉진제로서 염화칼슘, 경화억제제로서 수크로오즈를 처리한 포트렌트시멘트의 양생효과를 전자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 경화억제제를 처리한 시멘트는 결정을 이루지 못하고 융기상태로 남아있고, 경화촉진제를 처리한 시멘트는 겔형으로 변한후 육각형의 결정을 이루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시멘트-목재 복합체의 양생은 좀 다른 양상을 보이고있어 경화제가 처리된 WCC는 포플러 스리버 표면에서 작은 융기가 겔상의 표면에 많이 관찰되나 무처리는 거의 일정한 모양의 입자가 관찰되어 시멘트 경화촉진제와 억제제의 효과를 구명하였다.

  • PDF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실구조물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Cold Weather Concreting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to Full Scale Structures)

  • 김영진;백태룡;이상수;원철;김동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54-262
    • /
    • 2003
  • 본 연구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배합선정, 제조 생산, 타설 및 양생 등 실구조물에 대한 적용성에 관한 것이다. 내한촉진제의 사용량 및 물-시멘트비의 선정이 한중콘크리트의 초기동해방지 및 강도증진성상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합설계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상은 전반적으로 동일 물-시멘트비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었으며, 고성능감수제의 종류에 따른 경시변화 검토결과, 초기 플로우 및 유동성 손실이 적게 나타나는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감수제가 멜라민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도관리용 공시체는 기존의 현장봉함 양생보다는 실구조물의 온도이력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간이단열방법으로 양생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지스틱곡선을 이용하여 각 양생 방법별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강도증진성상을 검토한 결과, 강도증진에 미치는 내한촉진제의 영향이 상온조건보다는 저온조건 하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평균 외기온 $-2^{\circ}C$(최저기온$-12^{\circ}C$)에서 간단한 비닐양생만으로 초기동해 방지를 위해 필요한 압축강도 $5N/{mm}^2$의 발현이 가능하였고 재령28일에 목표로 하는 소요강도를 만족시켰다.

정온 및 변온조건하에서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모르터의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Mixed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in Constant and Variable Temperature Condition)

  • 김영진;이상수;원철;박상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942-948
    • /
    • 2002
  • 콘크리트의 초기동해는 응결과정이거나 종결 후에도 충분한 강도발현이 되지 않은 단계에서 콘크리트중의 수분이 동결함에 따라 발생하는데,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동결하기 이전에 일정강도를 조기에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많은 대처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콘크리트의 실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단계에 앞서 모르터 단계에서 내한촉진제의 동결온도, 응결시간 및 염화물량 등을 측정하고, 아울러 정온 및 변온조건에서 양생한 모르터의 강도특성도 검토함으로서 내한 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모르터의 동결온도는 내한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반면, 촉진형 감수제의 경우는 동결온도 저하에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결특성은 양생온도가 낮을수록, 내한촉진제의 응결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염화물량은 공히 KS F 4009의 관리규준을 만족하고 있었다. 강도증진성상은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경우, 로지스틱 곡선식을 이용한 강도증진해석 결과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온조건으로 영하5$^{\circ}C$이고, plain과 촉진형 감수제를 사용한 경우는 강도증진해석 결과의 표준오차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 강도증진해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로지스틱 곡선이나 적산온도와 압축강도의 관계에서 적용성이 매우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모르터의 압축강도가 5.0 N/$\textrm{mm}^2$을 발휘하게 되는 적산온도는 각각 20~30$^{\circ}$CD(K), 30~40$^{\circ}$CD(B), 40$^{\circ}$CD(S)이후인 것과 같이 내한촉진제의 종류에 따라 크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온 및 변온양생조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동일 적산온도라 할지라도 정온조건보다는 변온조건이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양생(加熱養生) 콘크리트의 수화(水和) 및 강도(强度)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Hydration and Strength of Accelerated Curing Concrete)

  • 신현묵;전찬기;남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03-212
    • /
    • 1987
  • 가열양생(加熱養生)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强度)의 조기발현(早期發現)은 상온(常溫)에서 행해지는 보통의 습윤양생(濕潤養生)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는 것이 주지(周知)의 사실이다. 그러나 가열양생(加熱養生)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수화(水和)와 강도(强度)가 촉진(促進)되는 메카니즘은 단순하지가 않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콘크리트 공시체(供試體)를 $30{\sim}100^{\circ}C$로 가열(加熱)할 때의 수화반응(水和反應) 정도(程度)를 알아보기 위해 간편한 열전대(熱電對)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측정(測定)하고, 동시에 압축강도(壓縮强度)를 측정(測定)하여 각각의 특성(特性)과 상호관계(相互關係)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그 결과(結果) 양생온도(養生溫度)에 따른 수화상승온도(水和上昇溫度)는 전도식(傳導式) 열량계(熱量計)에 의한 수화발열속도곡선(水和發熱速度曲線)과 유사한 양상(樣相)을 나타내며, 수화촉진(水和促進)이 강도발현(强度發現)의 결정적 요인(要因)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고온(高溫)일수록 수화(水和) 및 강도(强度)가 촉진(促進)되고, 약 10시간(時間) 이내(以內)에서는 $90^{\circ}C$ 부근에서 높은 강도(强度)를 나타내는 반면, 그 이후(以後)에는 강도의 증진이 저조하지만 $70^{\circ}C$ 정도의 양생(養生)은 지속적인 강도발현(强度發現)을 보여주었다.

  • PDF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기강도 발현 특성 검토 (Investigation of Early-Age Concrete Strength Development Using Hardening Accelerator)

  • 김규용;김용로;박종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309-3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1~27 MPa 수준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하여, 양생온도 및 단위결합재량에 따른 초기강도 발현 특성을 검토한 후, 초기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멘트의 응결 및 경화를 촉진할 수 있는 경화촉진제의 종류에 따른 성능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본 연구의 범위에서는 수용성 무기염이 유기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화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사용량이 낮은 범위에서는 수용성 무기염에 의한 $C_3S$의 수화 반응촉진효과가 초기강도 발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화촉진제 중에서는 Pt(Potassium thiocyanate)의 촉진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양생온도 $15^{\circ}C$ 조건에서도 약 25시간에 초기동해 제어 강도 확보가 가능하여 공기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양생온도 $5^{\circ}C$에서도 양생온도 $10^{\circ}C$ 조건의 Plain과 유사한 시간에 5MPa 확보가 가능하여, 동일한 공기를 고려할 경우 연료비용 및 $CO_2$ 가스 발생 저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