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촉감 평가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Ramie/Rayon계 복합소재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 비교 고찰 (Reactive Dyeing Properties of Raime/Rayon Blends Fabrics)

  • 김경학;박은호;최병훈;고준석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21-21
    • /
    • 2011
  • 개인적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사회적인 삶의 가치를 추구하여 인체친화적이며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제품 소비에 가치를 두는 LOHAS 트렌드의 영향으로 의류 제품에서는 소비자의 요구 수준에 맞춘 고급화, 고기능화된 의류 상품 및 소재 중심의 소비와 함께 친환경 소재, 리사이클 소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Ramie 복합 소재는 이러한 트렌드에 적합한 대표적인 소재로서 고감성/웰빙 신섬유 제품 개발을 통해 신시장 개척이 가능한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Ramie는 땀에 대한 흡습성과 속건성이 우수하고 청량감이 있어 주로 여름 소재로 활용되어 왔으나 촉감이 좋지 못하고 광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촉감이 좋고 광택성이 뛰어난 레이온 계열의 소재와 혼방하여 고급스럽고 환경 친화적인 의류소재로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온계 섬유 중에서 상품성이 modal 섬유 Tencel 섬유를 각각 혼방한 Ramie/Modal(28's,30's), Ramie/Tencel(28's) 복합소재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특성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실험은 Heterobifunctional type 반응성 염료 3종(Red, Yellow, Blue)을 이용하여 흡진 거동, 빌드업 특성, 겉보기 색상농도 등을 비교하였으며 1/1 standard 농도에서의 제반 견뢰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페이스파우더의 관능적 특성 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Sensory Evaluation of Face Powder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 선보경;정수정;최경호;문성준;장이섭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8-303
    • /
    • 2001
  • 화장품은 그 어떤 제품보다도 소비자가 사용 시 느끼는 관능특성 및 그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제품이다. 자연스러우면서도 가벼운 메이컵이 유행함에 따라 페이스 파우더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관능특성을 가진 페이스 파우더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전 조사에 따르면 페이스 파우더 사용자들의 사용이유는 자연스러운 화장 및 가벼운 화장, 화사해 보임(블루밍 효과) 등이 주를 이루며 페이스 파우더 사용 시에 주요하게 느끼는 관능특성으로는 파우더 입자에 관한 사항과 화장상태에 관한 사항이 동시에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평상시에 페이스파우더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페이스파우더들을 실제 화장단계에 따라 사용하면서 인지되는 페이스 파우더의 관능특성들을 도출하게 한 결과 중 19가지 관능특성 평가 용어가 도출되었으며 이 용어들은 다시 입자 및 도포 요인/촉촉함 및 매트함 요인/색상 및 블루밍 요인의 세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페이스파우더의 주요 관능특징요인과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능특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각각의 소비자군들이 선호하는 관능속성의 제품을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였고 주후 제품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 (Evaluation of Textile Image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 이정순;신혜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피륙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촉감, 태 이외에도 색채, 무의 등 여러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의류소재의 총체적인 개념인 의류소재 이미지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를 위한 축을 개발해 보았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Texjournal과 인터패션플래닝에서 발간되는 98/99FW부터 0255까지 트렌드 북에서 소재를 설명하는 형용사를 조사하여 유사한 형용사를 통합 처리하여 87개의 형용사를 최종 추출하여 형용사쌍을 만들고 소재 자극 없이 형용사쌍이 주는 소재이미지만을 가지고 쌍비교법을 통해 유사성을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87개의 형용사의 평가차원을 살펴보았다. 의류소재 이미지를 평가하는 축을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결과 '남성적-여성적', '새로운-낡은 듯한', '캐주얼-클래식', '모호한-정돈된'의 4가지 차원의 8개축이 개발되었다.

  • PDF

Pin과 Belt type 가공사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전계현;김승진;이응곤;이종걸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82-385
    • /
    • 1998
  • 폴리에스테르 직물 제조 공정은 원사에서 사가공 공정을 거쳐 제직 준비 및 제직 공정, 염ㆍ가공 공정으로 분류된다. 이들 공정 중 사가공 공정에서 DTY 사를 제조할 때의 가사 방식에 따라 생산된 사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DTY 사의 품질은 사가 가지는 Bulky 성에 따라 그 품질을 평가하는데 이러한 사의 벌키성은 직물이 가지는 촉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가공사의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타월용 시판소재의 촉감과 역학적 특성 (Tact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arketing Towel)

  • 정하경;김선경;조효숙;김주용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57-6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ctile sens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owel. Six kinds of towels with different surface structure and fiber composition were used for this study. To evaluate the tactility of towel, 36 adjectives were collected and then 11 adjectives were selected. The subjective evaluation was examined by one to one comparative method and by blind test for estimating the only the sense of touch of the towels. Kawabata's Evaluation system for fabrics was used to measure the mechanical properties which are tensile, bending, shear, compression, surface, weight, and thickness of six tow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rface structure of the towels had an effect on estimation the sense of touch. Pile surface was evaluated thicker, compacter, more cushiony, and more elastic. Waffle surface was evaluated knottier and rougher, and microfiber suede surface was evaluated softer and denser. Second, the highest valu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measured were G, 2HG, B, and SMD of 100% cotton 100% pile, WC, T, and W of elban loop pile, WT, 2HB, and LC of 100% cotton cut pile, RT and MIU of microfiber suede, and RC of microfiber waffle. Third, the 11 adjectives were correlated with more than one mechanical property. 'Knotty' and 'rough' were correlated with MMD and SMD, 'soft' were correlated with B, 2HB, MMD, and SMD. 'Thick', 'heavy', 'compact', and 'elastic' were correlated with WC, T, and W, 'cushiony' was correlated with WC. 'Stiff' was correlated with B and 2HB, 'dry out' was correlated with RT, WC, MIU, and T. 'Dense' was correlated with RT and SMD.

가상현실 기반 훈련시스템 콘텐츠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R Based Training System Contents Test Method)

  • 이경창;차무현;윤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6-489
    • /
    • 2016
  • 가상현실 기반 훈련시스템은 3D 모델링 기법으로 개발되어 실시간 렌더링(Realtime Rendering)되는 훈련용 콘텐츠와 운동감 제공을 위한 모션플랫폼, 촉감 제공을 위한 햅틱장치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인간 감각에 대한 모의 체험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훈련 몰입감을 제공한다. 훈련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들은 설계 성능을 바탕으로 정량적 시험평가로서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이 가능하나, 훈련환경에 대한 사실적 가시화가 요구되는 훈련용 콘텐츠는 시현을 위한 실시간 렌더링 성능 등의 정량적 시험평가 만으로 검증과 확인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소프트웨어 테스팅 요소 차이와 상용게임 콘텐츠와 훈련용 콘텐츠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훈련용 콘텐츠의 정량적 시험평가를 위한 명세서의 작성과 활용을 제안한다.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한 침장용 텐셀 자카드 직물의 역학적 특성변화와 감성평가 (Mechan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f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 장연주;이정순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27-3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과 실리콘 유연제(silicon softener)를 처리 할 때 실리콘유연제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과 은행나무추출액 처리하고 난 후에 다른 bath에서 실리콘유연제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촉감이나 선호도에 더 영향을 주는지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여 KES-FB system을 통하여 역학적 특성 및 객관적 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침장용 직물이 가지는 개별 감각 및 종합 감각의 주관적 감성을 평가하였다. 이밖에도 침장용 직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의 개별감각 요소를 평가하여 침장용 직물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게 되면 인장특성인 EM, WT, RT는 증가하여 신축성이 있고 형태안정성이 좋아지며, 인장특성 전단특성이 감소하여 유연성이 증가하고, 무게와 두께가 증가로 부피감이 커져, THV는 증가하였다. 주관적 감성 평가 결과 개별감각 중 부드러움, 따뜻함, 탄력감, 부피감은 증가하고 거침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부드러움, 부피감, 따듯함을 침장용 직물이 갖는 중요한 개별감각 요소로 평가하였다.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할 경우 촉감이 좋아지고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냉동 치즈피자의 텍스쳐 프로필과 가열방법에 따른 영향 (Texture Profiles of Frozen Cheese Pizzas and Effects of Heating in Microwave or Conventional Oven)

  • 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2-237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냉동피자에 대한 텍스쳐 프로필을 수행하여 전통적인 오븐과 microwave 오븐으로 가열한 피자의 텍스쳐 품질을 비교하였다. 개발된 텍스쳐 특성은 29가지였으며, 눈과 손으로 평가하는 단계, 입술에 대한 촉감, 한번 씹는 단계, 저작 단계, 그리고 삼키는 단계의 다섯 단계로 평가되었다. microwave로 가열된 피자가 전통적인 오븐으로 가열한 피자보다 더 바삭바삭하고 덜 부드럽다고 평가되었다. 피자를 가장자리와 중심부위로 나누어 평가시 top greasiness, wetness of sauce on plate, moisture release의 특성에서만 큰 차이를 나타내어 피자의 텍스쳐 평가시 꼭 두 부위를 나누어 평가할 필요는 없었다고 할 수 있다. 피자의 가장자리는 가운데 부분보다 덜 기름지고 덜 촉촉하다고 평가되었는데 microwave 오븐으로 가열된 피자의 경우 단시간내에 고열을 받으며 가장자리가 더 빨리 익혀지기 쉬우므로 결과적으로 더 건조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국내.외 감성 소모직물의 물성분석에 관한 연구(II) - 주관적 태 평가, 1차, 2차 비교.분석 - (A Study on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and Foreign Sensitive Worsted Fabrics - Subjective hand assessments, Comparison between 1st and 2nd experiment -)

  • 김승진;박경순
    • 감성과학
    • /
    • 제11권1호
    • /
    • pp.113-12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감성 의류로 사용되는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 40종의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시료는 1차시료 14개와 2차 시료 26개로 나누어지며 국내와 국외 시료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물성분석은 Blind field test를 이용하여 전문위원단에 의해 주관적인 물성 평가를 실시하여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Blind field test는 촉감(부드러움, 탄력감), 색상(선명도, 심색미), 외관(깨끗함, 자연광택), 비교 선호도 등으로 4개군으로 test는 총 7개의 평가항목으로 나누어 전문평가단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