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f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한 침장용 텐셀 자카드 직물의 역학적 특성변화와 감성평가

  • Jang, Yeon-Ju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Textile technology, Shinshu University) ;
  • Lee, Jung-Soon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장연주 (신슈대학교 생명기능.화이바 공학) ;
  • 이정순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0.02.25
  • Accepted : 2010.05.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mechan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f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and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bedclothes made of the tencel jacquard fabrics. Mechanical properties and objective fabric hand evaluation were measured by using KES-FB system. Subjective sensibilities such as sensory, touch, and purchasing preference were estimated by using blind field test. The tensile properties such as EM, WT, and RT of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showed increase. Bending properties and shear properties were decreased, but compression properties were increased compared to untreated fabric.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treatment, thickness and weight were increased. Therefore, tencel jacquard fabrics became more stretchable, softer, and bulkier than untreated fabrics. Consequently, THV of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were increased. When fabrics were treated sequentially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fabrics were estimated softer, more flexible, and bulkier than untreated fabrics. Also,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were estimated to have good touch and preference.

본 연구에서는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과 실리콘 유연제(silicon softener)를 처리 할 때 실리콘유연제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과 은행나무추출액 처리하고 난 후에 다른 bath에서 실리콘유연제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촉감이나 선호도에 더 영향을 주는지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여 KES-FB system을 통하여 역학적 특성 및 객관적 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침장용 직물이 가지는 개별 감각 및 종합 감각의 주관적 감성을 평가하였다. 이밖에도 침장용 직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의 개별감각 요소를 평가하여 침장용 직물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게 되면 인장특성인 EM, WT, RT는 증가하여 신축성이 있고 형태안정성이 좋아지며, 인장특성 전단특성이 감소하여 유연성이 증가하고, 무게와 두께가 증가로 부피감이 커져, THV는 증가하였다. 주관적 감성 평가 결과 개별감각 중 부드러움, 따뜻함, 탄력감, 부피감은 증가하고 거침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부드러움, 부피감, 따듯함을 침장용 직물이 갖는 중요한 개별감각 요소로 평가하였다.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할 경우 촉감이 좋아지고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덕희, 이정순 (2009). 메탈릭 자카드 직물의 물리적 성능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3(1), 한국의류학회, 149-159.
  2. 구현진 (2007). 의자커버용 인테리어 직물의 객관적 태 평가. 한국섬유공학회지, 44(3), 한국섬유공학회, 159-163.
  3. 김정인, 최영희, 권오경 (2004). 세가지 수계 추출용매를 사용한 은행잎추출액의 염색성 및 항균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6(2), 한국염색가공학회, 8-14.
  4. 김재숙, 이순임 (2005). 직물 소재와 색상, 톤에 따른 감성이미지 평가-한산모시의 면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5(5), 662-670.
  5. 김영호, 류동일, 민병길, 박원호, 신윤숙, 오경화, 이미식 (2004). 기능성 섬유가공. 서울: 교문사
  6. 김주용, 박백성 (2007). 스토캐스틱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인테리어 시트 표피재의 쾌적성 평가 시스템 개발. 한국섬유공학회지, 44(2), 한국섬유공학회, 116-122.
  7. 김주용, 이채정, 김안나, 이창환 (2009). 자동차 시트 표피재의 감성평가. 감성과학, 12(1), 한국감성과학회, 77-86.
  8.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학지사
  9. 박영희, 남윤자, 김동현 (2000). 쑥추출물액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한국의류학회, 67-76.
  10. 박종호, 이범훈 , 정재윤, 임길선 (2003). 은행추출물을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가공. 한국섬유공학회지, 40(3), 한국섬유공학회 Startpage 307-311.
  11. 양진숙, 연혜란 (2005).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고감성 자동차 시트원단 연구(1) -물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 72-78.
  12. 오경화 (1996). In-Situ 중합과 가교에 의한 방추가공시 면직물의 물성에 미치는 실리콘유연제의영향. 한국섬유공학회지, 33(9), 한국섬유공학회, 761-770.
  13. 이선영, 김정화, 이정순 (2008).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자카드 직물의 감성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한국생활과학회, 733-744.
  14. 이언필, 이재호 (2007). 견운모와 맥반석을 이용한 신발용 나일론66 직물의 항균가공.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1), 한국의류산업학회, 99-102.
  15. 이정순, 신혜원 (2002).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코팅포 촉감의 예측. 한국의류학회지, 26(1), 한국의류학회, 152-159.
  16. 이정순, 신혜원 (2003). 면직물의 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7), 800-808.
  17. 이정순, 유지호 (2006). 의마 가공된 견직물의 효율적인 주관적 감성평가 방법. 한국생활과학회지, 15(3), 439-447.
  18. 정혜원, 김보연, 양희주 (2005). 제조방법이 다른 은콜로이드용액 처리직물의 항균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9(6), 한국의류학회, 805-813.
  19. 조진원, 손태원, 정민기, 김영훈, 김대선 (2003). 키토산 실리콘 유연제 혼합용액으로 처리한 면직물의 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5(1), 한국염색가공학회, 132-136.
  20. 채서일 (2001). 마케팅조사론. 서울: 학현사
  21. 최석철, 김수경 (1999), 섬도와 실리콘처리가 폴리에스테르편직물의 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섬유공학회지, 36(5), 한국섬유공학회, 411-418.
  22. 최혜영, 이정순 (2009). UV처리된 폴리에스터 극세사직물의 발오가공 효과. 한국섬유공학회지, 46(2), 한국섬유공학회, 74-82.
  23. Bagherzadeh, R., Montazer, M., Latifi, M., Sheikhzadeh, M., & Sattari, M. (2007). Evaluation of comfort properties of polyester knitted spacer fabrics finished with water repellent and antimicrobial agents. Fibers and Polymers, 8, 386-392. https://doi.org/10.1007/BF02875827
  24. Choi, H. Y. & Lee, J. S. (2006).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irradiated by ultra-violet: Subjective fabric hand and wear comfort. Fibers and polymers, 7, 442-445. https://doi.org/10.1007/BF02875779
  25. Hassan, M. B. (1986). Comparison of Fabric Hand Assess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extile Research Journal, 56, 227-240. https://doi.org/10.1177/004051758605600402
  26. Jangeon, Y. J. & Lee, J. S. (in press). Antimicrobial treatment properties of Tencel Jacquard fabrics treated with ginkgo biloba extract and silicon softener. Fibers and polymers
  27. Kim, H. A. & Ryu, H. S. (2008). Hand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retch fabrics. Fibers and polymers, 9, 574-582. https://doi.org/10.1007/s12221-008-0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