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촉감 평가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Using Neural Networks to Predict the Sense of Touch of Polyurethane Coated Fabrics (신경망이론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코팅포 촉감의 예측)

  • 이정순;신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80-285
    • /
    • 2001
  • 폴리우레탄 코팅포의 촉감을 예측하기 위하여 신경망 이론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eural Connection의 MLP(Multi Layer Perceptron)를 신경망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학습 알고리즘은 백프로파게인션(Backpropagation)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변수는 KES-FB시스템에서 측정된 17가지 역학적 특성치를 설명변수, 촉감치를 목표변수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코팅포의 촉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신경망 모델을 찾기 위해, 은닉층의 노드수를 8에서 34로 변화시켜 보았다. 또한 MLP적용함수로 선형함수, 비선형 시그모이드함수, 탄젠트 함수를 사용하여 목표변수를 예측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살펴보았다. 구축된 신경망모델은 17가지 역학적특성치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되었으며 학습 완료 후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시료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학습된 신경망 시스템이 촉감을 평가하게 한 후 주관적으로 평가된 촉감치와 비교하여 본 시스템의 판단의 정확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은닉층의 노드수와 MLP적용함수는 촉감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촉감 예측에 가장 적절한 모형은 MLP 적용함수가 탄젠트 함수이고 노드수가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망을 통한 폴리우레탄 코팅포의 촉감 예측력은 선행연구에서 이용된 통계적 방법보다 높게 나타나 폴리우레탄 코팅포의 촉감예측에 신경망의 이용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Changes of Sensibility by Multi Sensory Stimulation with Suiting Fabrics (복합자극에 의한 슈트용 직물의 감성 변화)

  • 정경희;이보람;조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61-13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슈트용 직물의 촉각 자극 시 나타나는 감성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물의 스치는 소리가 공감각적 감성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평가 및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직물의 촉감을 평가하게 한 후, 그 직물의 스치는 소리를 제시하여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복합자극으로는 직물별 tm치는 소리와 촉감을 동시에 제시하여 때 감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촉감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심미성'과 '개성'의 두 가지 요인이 나타났고, 소리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심미성'과 '고급감', '개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심미성을 유발하는 촉각성 요인으로는 'pliable'과 'cool', 개성을 유발하는 촉감성 요인으로 'smooth'와 'cool'로 나타났다. 청각자극에 의한 감성은 'loudness'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촉감자극에 의한 직물 별 소리 자극을 부가하였을 경우 직물 소리의 물리량에 따라 심미성 요인에서 감성의 상승 및 하강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ouch Variation due to Vibration (미세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

  • 박연규;강대임;양희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79-38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촉각의 효과적인 제시를 위한 하나의 보조수단으로 진동의 제시를 상정하고, 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동 제시 장치를 제작하였고, 진동에 의한 촉감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하여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경로로의 진동 전달 및 소음 전달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동과 관련된 물리량으로 주파수와 진폭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정량화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진동에 의한 촉감의 미세조정과 관련된 것임을 고려하여 주관 평가 시 진동의 제시는 각 주파수별로 진동에 의한 촉감의 변화가 발생하는 기준 진폭으로 하였다. 주관 평과 결과,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더 매끄럽게 느끼며 그 감각이 분명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ibration Pattern Design Method for Improving Tactile Sensibility (촉감향상을 위한 진동모터의 진동패턴 설계방법론 구축에 대한 연구)

  • Kim, Sungmin;Lee, Soo-H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3
    • /
    • pp.413-418
    • /
    • 2013
  • As haptic device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various product fields, it becomes essential to design effective vibration patterns for better tactile sensitivities. Despite this trend, standardization in the design of vibration patterns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which causes developers to neglect the effects of haptics while programming or developing products. To provide better tactile sensitivit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a vibration pattern design system and proposes guidelines for designing vibration patterns. This system consists of two modules: (1) a graphical pattern design and evaluation program and (2) a vibro-tactile display device for prototyping the designed vibration patterns.

Subjective Evaluation of Fabric Tactile Properties Using Quad Analysis (Quad 분석법을 이용한 직물 촉감의 주관적 평가)

  • 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7
    • /
    • 2003
  • 의류용 섬유제품의 쾌적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소비자의 미묘한 차이를 검출하는 능력을 재현하기에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객관적 측정법들은 재현성과 신뢰성 면에서 제각기 자신들의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지만, 검출능력의 민감성은 주관적 평가에 훨씬 못 미치고 있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고 통계적인 추론이 가능한 보다 진보된 형식의 주관적 평가법을 개발하고 의류용 직물의 촉감평가에 응용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여름용 캐쥬얼 웨어를 대상으로 여러 형태의 주관적 평가법을 적용하여 그 촉감을 평가하였다. 평정척도법, 표준 비교법, 순위법, Thurstone일대 비교법, Quad 분석법 등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평가자 판단의 일관성 여부, 평가자간의 일치성 여부, 재현성 및 논리성 여부를 통계적으로 평가한 후 이를 통과한 평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반복한 후, 직물 촉감과 관련된 물리적 속성들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 PDF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for Evaluations of Tactile Impressions in a Car Interior (자동차 인테리어의 촉감 평가를 위한 대표감성 추출)

  • Park, Nam-Choon;Jeong, Seong-W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2
    • /
    • pp.157-166
    • /
    • 2013
  • There are few that evaluate tactile emotion as it pertains to car interior parts, while studies on visual evaluations of car interiors as well as usability tests in a visual sense are numer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ypical in-vehicle tactile emotions so that they can be used to evaluate tactile impressions of car interior parts. 52 words related to tactile impressions of car interiors were gathered from a survey in conjunction with an in-vehicle test, interviews with the car salespersons, and an analysis of car reviews. After a factor analysis with 52 words, 10 categories of major tactile emotions were clustered. These were roughness, toughness, friction, comfortability, stiffness, softness, temperature, sleekness, familiarity, and flexibility. These representative tactile emotions regarding a car interior can be used to evaluate tactile impressions of surfaces such as leather, plastic, metal and wood when used as parts in car interiors.

  • PDF

Preference Sensibility and Hand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Lifestyle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견직물의 선호감성과 태평가)

  • 김춘정;조길수;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0-144
    • /
    • 200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견직물에 대한 감각·감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별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견직물의 소재 디자인시 감성관련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감각형용사는 ‘거칠다, 우글쭈글하다, 촘촘하다’등에서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은 평가하였으며, 감성형용사는 ‘개성적이다, 독특하다’등에서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클래식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캐주얼하다, 액티브하다, 신선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세 clluster별로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cluster 2를 가장 ‘촉감이 좋다, 구매시 선호한다’라고 하였다. 촉감선호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매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Relation between Vibration and Touch (진동과 촉감간의 관계)

  • 박연규;강대임;양희선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7-2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촉각의 효과적인 제시를 위한 하나의 보조수단으로 진동의 제시를 상정하고, 이를 위한 사전직업으로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동 제시 장치를 제작하였고, 진동에 의한 촉감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하여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경로로의 진동 전달 및 소음 전달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동과 괄련된 물리량으로 주파수와 진폭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정량화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진동에 의한 촉감의 미세조정과 관련된 것임을 고려하여 주관 평가 시 진동의 제시는 각 주파수별로 진동에 의한 촉감의 변화가 발생하는 기준 진폭으로 하였다. 이 외에 보다 객관적인 제시를 위하여, 2가지의 변위 진폭을 설정하여 진동 제시를 하였다. 주관 평가 결과,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더 매끄럽게 느끼며 그 감각l 분명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Vibration Immigration of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의 이동 진동 표현 연구)

  • Song-In Kim;Young-Sup Lee;Seok-Hoon Ka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8.11a
    • /
    • pp.196-199
    • /
    • 2008
  • 최근의 모바일 기기들이 다양한 진동 패턴을 제공하면서 모바일 기기에서의 촉감 제공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특정 메시지를 추상적인 진동 패턴으로 상징화 시킬 뿐 현실적인 촉감 제공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보다 현실적인 촉감 제공을 위한 진동 패턴에 대해 논의하고, 압전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스크롤 상황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진동 패턴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스크롤 상황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진동 패턴과 진동의 이동 시간에 따라 느낌 평가 및 스크롤 방향에 대한 인식률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12 가지의 스크롤 방향에 대해 80% 이상의 인식률을 보였고, 여러 가지 스크롤 패턴 형태와 스크롤 진동의 이동 시간에 따라 다양한 스크롤 촉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앞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좀 더 현실적인 촉감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ouch Sensation for Korean Traditional Silk fabrics (한국 전통 견직물에 대한 한$\cdot$미 주관적 촉감의 비교)

  • Yi Eun-Jou;Cho Gil-S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4
    • /
    • pp.393-402
    • /
    • 2005
  • Subjective touch sensation for Korean traditional silk fabrics was evaluated, in order to compare tactile sensory aspects of Korean and American subjects and to determin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abrics affecting the sensation psychophysically. Eight aspects of touch sensation including hardness, smoothness, coarseness, coolness, pliability, crispness, heaviness, and thickness were rated by semantic deferential scal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were measured by Kawabata Evaluation System (KES). Both of Koreans and Americans showed fairly similarities to each other in subjective smoothness, coarseness, and crispness. On the contrary, as for coolness and pliability, Koreans were found as feeling the silk fabrics more sensitively than Americans were in that they rated some of modified leno fabrics as very cool and stiff in touch. Coolness and pliability by Koreans were affected mainly by surface and bending properties while those by Americans were determined mostly by compressional and tensile characteristics as well as sulfate prope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