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지

검색결과 2,739건 처리시간 0.028초

초지법에서 초지의 사후관리를 위한 실태조사서 개선방안 (Study on Improvement of Status Survey Form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Grassland)

  • 윤병구;김지융;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39
    • /
    • 2024
  • 현행 초지관리실태 조사서는 조사항목의 용어가 모호하고 조사시기 및 조사방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없어 초지 관리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조사서의 이러한 문제를 수정 및 보완함으로써 초지의 사후관리를 위한 조사서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지관리실태 조사서는 초지법 시행규칙 제16조(초지관리실태 조사 등)에 명시되어 있는 초지관리실태조사서 서식이다. 개선이 필요한 항목인 초지소유자, 초지조성 시기 및 방법, 초지이용가축, 초지이용상황 및 초지 등급 5가지를 검토하였다. 개선된 초지관리실태조사서에서 초지소유자는 관리자로 변경하였다. 또한 개선된 조사서는 '필지 별 조사' 란과 조사요령을 추가하여 관리자 별로 필지를 조사할 수 있게 하였다. 초지조성 시기 및 방법은 초지 조성방법 별 면적을 기입하는 사항을 삭제하였다. 초지이용가축은 가축의 두수와 면적을 함께 적을 수 있게 하였으며 기타 축종에서도 해당 두수를 적을 수 있도록 하였다. 초지이용상황은 초지구성상황으로 변경하였다. 초지등급은 관리하고 있는 초지의 이용여부, 초지 중 조사료생산면적의 비율과 생산하는 조사료의 종류에 따른 배점을 적용하였다. 그 합산점수가 8점 이상은 우량, 6~7점은 보통, 5점 이하는 관리필요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조사서의 초지관리의 주체를 명확히 하고, 조사항목의 용어와 조사방법을 구체화함으로써 개선된 조사서는 초지의 효율적 사후관리에 크게 이바지 할 것이다.

초지류형별(草地類型別) 방목축(放牧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Herbage Use, Grazing and Social Behaviour by Livestock Grazing under Grassland Types)

  • 이인덕;명전;송우석;임동찬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219-226
    • /
    • 1986
  • 평지(平地), 경사(傾斜) 및 임간초지(林間草地)의 유형(類型)이 가축(家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고자 4년차(年次) 기존(旣存) 혼파초지(混播草地)에서 한우육성빈우(韓牛育成牝牛) 30두(頭)와 재래산양(在來山羊) 5두(頭)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의한 상대섭취빈도(相對攝取頻度)는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5.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29.8%이었고, 두당(頭當) 1일(日)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462g, 경사초지(傾斜草地)가 459g,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91g이었으며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63.7% 경사초지(傾斜草地) 63.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62.1%이었다. 2. 한우(韓牛)에 의한 채식시간(採食時間)은 초지류형(草地類型)에 따라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반추시간(反芻時間)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고,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짧았다. 휴식시간(休息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고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짧았다. 보행시간(步行時間)은 평지초지(平地草地)에서 길었고, 방황시간(彷徨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다. 반추회수(反芻回數), 식괴당저작회수(食塊當咀嚼回數) 및 배분회수(排糞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적었고, 배뇨회수(排尿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많았다. 음수인수(飮水因數) 및 음수량(飮水量)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많았고 보행거리(步行距離)는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다. 3. 한우(韓牛)에 의한 사회적(社會的) 거리(距離)는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70m,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6m,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41m였고, 두당점유면적(頭當占有面積)은 임간초지(林間草地)가 $14.6m^2$, 평지초기(平地草地)가 $11.9m^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11.0m^2$이었다. 우군형성(牛群形成)은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7두(頭),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6두(頭),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4두(頭)이었다. 방목이동순위(放牧移動順位)는 복합적(複合的)인 pear-shaped grazing formation에 가까웠으나 초지유형(草地類型)에 따른 상하(上下) 방목축간(放牧畜間)의 우열관계(優劣管係)는 분명(分明)치 않았다.

  • PDF

산지초지조성(山地草地造成)에 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 박태식;정세경;김남균;주인원;이춘희;김종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94-100
    • /
    • 1982
  • 1. 영농실태(營農實態) (1) 비육우영농업자(肥育牛營農業者)보다는 유우락농업자(乳牛酪農業者)들이 축산업(畜産業)에 치중하고 있었다. 즉, 우(牛)의 사육형태(飼育形態)에 있어서 서울우유조합원(組合員)의 경우 비육우(肥育牛)마을에 비해 전업(專業)의 경우가 많았고, 비육우(肥育牛)마을은 부업(副業)이 훨씬 많았다. (2) 우사육(牛飼育)에 있어서의 난점(難點)으로 나타난 것은 서울우유조합원(組合員)의 경우 자금부족(資金不足)과 인력부족(人力不足)이었으며, 비육우(肥育牛)마을의 경우는 자금부족(資金不足)과 축산물(畜産物) 가격(價格)의 불안정(不安定)이 큰 비중(比重)을 차지하였다. 2. 초지조성(草地造成)에 대한 의견 (1) 초지조성지(草地造成地)의 위치선정(位置選定)에 대한 반응은 마을주변 야산(野山) 혹은 구릉지(42%)가 적합(適合)하다는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경제성(經濟性)을 고려할 때 산지개발초지조성(山地開發草地造成)에 대한 반응은 가능하다(50%), 어렵다고 생각한다(36%), 전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8%)의 순(順)이었다. (3) 초지이용방법(草地利用方法)에 대한 반응은 서울우유조합원(組合員)의 경우에 양자병합초지(48%), 방목용초지(25.5%), 건초생산위주의 초지(25.5%)의 순(順)이었고, 비육우(肥育牛)마을의 경우는 건초생산위주의 초지(41%), 양자병합초지(30%), 방목위주의 초지(19%)의 順으로 나타났다. (4) 적당(適當)한 초지조성방법(草地造成方法)에 대한 반응은 경운법, 제경법, 겉뿌림법의 순(順)으로 경운법과 제경법이 다소 많은 반응을 보였다. (5) 건초생산(乾草生産)위주의 초지(草地)에 있어서의 기계화의 필요성(必要性)에 대한 반응은 필요하다는 반응이 88%의 높은 비율(比率)로 나타났다. (6) 농가소득(農家所得)을 위한 바람직한 축산형태(畜産形態)에 대한 반응은 농가중심(農家中心)의 부업축산(副業畜産)과 전업축산(專業畜産)이 바람직하다는 반응이 전체비(全體比)에 있어서 87%로 높게 나타났다. (7) 산지개발초지조성(山地開發草地造成)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理由)에 대한 응답(應答)은 초지조성비용(草地造成費用)이 많이 들어서, 기술(技術) 및 인력(人力)이 부족(不足)해서 토질이 척박해서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목초생육이 왕성한 시기의 윤환방목에 의한 초지이용

  • 성경일;최아랑;정종원;김병완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87.2-88
    • /
    • 1999
  • 목초생육이 왕성한 시기(spring flush기)에 있어서 방목용 초지의 지나친 성장은 제상이나 불식초 증가로 방목초의 섭취량이 저하하므로, 이 시기에 적절한 초지상태를 유지하여 방목초나 섭취량의 저하를 억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ring flush기에 있어서 윤환방목에 의한 초지의 이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중략)

  • PDF

조사료의 확보방안 및 농산부산물의 활용

  • 성경일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8년도 심포지움
    • /
    • pp.25-59
    • /
    • 1998
  • 충청남도 내 초지 가운데 68%가 황무지화(중앙일보, 91년 6월 8일), 강원도 횡성군 내 초지의 64%가 부실초지(강원일보, 91년 12월 14일), 강원도 평창군 내 초지 대리관리 증가(도민일보, 93년 7월 27일), 강원도 홍천군 내 부실초지의 대부분은 외지인 소유(도민일보, 93년 7월 28일)라는 기사를 각 신문이 게재하고 있다. 아마 정부기관의 조사료관련 부서가 없어지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인 것 같다. 농후사료는 물론 조사료까지도 전화 한 통으로 해결하던 양축가가 많았던 것도 불과 몇 개월 전의 일이다. (중략)

  • PDF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 및 사료가(飼料價)의 변화(變化)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Hilly Pasture I. Changes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ecological behaviour and forage value of vegetation in abandoned hilly pasture)

  • 박근제;윤세형;이종경;김맹중;강우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9-336
    • /
    • 1998
  • 본(本) 시험(試驗)은 산지초지(山地草地)에서 관리(管理)를 포기(抛棄)한 후 초지(草地)의 식생(植生),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 초지(草地)의 사료가(飼料價) 및 현존량(現存量)의 변화를 조사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 관리(管理)에 이용코자 1993년부터 1996년까지 경기도 여주 야산지(野山地)에 조성(造成)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지(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은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모두 방치후(放置後) 야초(野草)와 관목류(灌木類)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목초(牧草)는 비교적 빨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초지(草地)의 수분가(水分價), 토양반응가(土壤反應價) 및 질소가(窒素價) 등 초지의 생태적(生態的) 반응(反應)은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 및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초지(草地)의 사료가(飼料價)는 방치전(放置前) 정지초지(整地草地)는 7.06에서 방치후(放置後) 3년차는 4.60으로 임간초지(林間草地)는 방치전(放置前) 6.81에서 방치후(放置後) 3년차에는 4.38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4. 초지(草地)의 현존식생(現存植生) 생초량(生草量)은 방치전(放置前) $1.63{\sim}1.48kg/m^2$에 비하여 방치후(放置後) 3년차에는 $0.84{\sim}0.68kg/m^2$으로 48.5~54.1% 감소되었다.

  • PDF

산지자원화(山地資源化)와 초지조성(草地造成)에 관한 소고(小考)

  • 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01-110
    • /
    • 1982
  • 첫째, 산지자원화(山地資源化)의 정의(定義)를 정립(定立)해 보았고 둘째로 초지조성(草地造成)의 현황(現況)을 고찰하여 부실초지(不實草地)가 되었던 원인 중 삼림생태학적(森林生態學的)인 측면(側面)에서의 실패요인(失敗要因)을 검토(檢討)하여 보았다. 세째, 우리나라 삼림생태학적(森林生態學的)인 측면에서 초지조성(草地造成)이 성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떤 방향으로 계획(計劃)을 수립(樹立), 추진(推進)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해 몇가지 문헌을 기초로 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과거(過去)의 초지조성(草地造成)이 부실(不實)하였던 원인(原因)을 제거할 수 있고, 임업인(林業人)들이 우려하는 초지(草地)가 또다시 황폐지(荒廢地)로 되돌아 갈 악순환(惡循環)의 전철을 답습(踏襲)하지 않고 산(山)도 웃고, 하천(河川)도 웃고, 초지(草地)도 웃을 수 있는 즉, 국민경제향상(國民經濟向上)과 복지증진(福祉增進)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입지환경(立地環境)에 알맞은 초지조성모형(草地造成模型)(가칭 한국형(韓國型) 초지조성모형(草地造成模型)) 일초지구(一草地區)와 수림대(樹林帶)가 지형(地形)과 입지환경(立地環境)에 알맞게 적절히 배치(配置)될 수 있는 방법(方法)의 연구(硏究)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초지환경과 관리기술의 차이가 초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nagement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Grassland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 최기준;정종성;최기춘;황태영;김지혜;김원호;이은자;성경일;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7-97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초지환경과 재배기술의 현장실천 정도에 따른 초지 생산성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부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다. 2017년 10개소 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7,492 kg/ha이었으며 초지별로는 4,652~13,292 kg/ha 범위로서 차이가 많았으며, 초지별 최소유의차는 1,577 kg/ha이었다(p<0.05). 2018년 10개소 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7,914 kg/ha이었으며 초지별로는 3,927~12,372 kg/ha 범위로서 차이가 많았으며, 초지별 최소유의차는 1,464 kg/ha이었다(p<0.05). 재배 환경 중에서 강수량과 평균온도는 초지 건물수량과 상관이 없었으나 초지토양의 비옥도와 건물수량 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시비관리 및 초지보파 등 초지관리기술의 현장적용 정도와 건물수량 간에는 고도의 상관(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초지의 건물수량 증가를 위해서는 초지 관리기술의 현장실천과 초지토양 비옥도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품질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Mixtures on the Different Grass Species and Seeding Rat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08
    • /
    • 2007
  • 본 연구는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를 비교 검토하여 건물수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혼파방법을 찾고자 관행 혼파초지{conventional mixtures(CM), orchardgrass (Potomad) 50% + tall fescue (Fawn)20% + Kentucky bluegrass(Kenblue) 20% + white clover(Regal) 10%},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Red clover mixtures(RM), orchardgrass (Potomac) 40 + tall fescue 20%(Fawn) + Kentucky bluegrass (Kenblue) 10% + red clover(Kenland) 30%} 및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Turf type grass mixtures(TM), orchardgrass Potomac) 50% + turf type grass(tall fescue, Millenium 20% + Kentucky bluegrass, Midnight 10% + perennial ryegrass, Palmer III 10%) + white clover, Regal 10%)의 3처리를 두어 시험하였다. 시험은 난괴법 4반복으로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2003년 9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건물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11,656kg/ha으로 관행 혼파초지(11,245kg/ha)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9,897kg/ha)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p<0.05). CP 함량은 연도와 혼파초지의 유형에 관계없이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관행 혼파초지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NDF, ADF, cellulose 및 lignin과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조사연도와 혼파초지의 유형에 따라 대체적으로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2년 평균 CPDM 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2,832kg으로 관행 혼파초지(2,372kg)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2,266kg)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2년 평균 DDM 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8,881kg으로 관행 혼파초지(8,255kg)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7,314kg)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2005년 5회 예취시의 식생비율은 관행 혼파초지는 orchardgrass는 45%, tall fescue 22%, Kentucky bluegrass 5% 및 white clover 24%이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는 orchardgrass 40%, tall fescue 22%, Kentucky bluegrass 4% 및 red clover 31%이었고, 잔디형 초종 + 혼파 초지는 orchardgrass 37%, 잔디형 초종 37%(tall fescue 23%, Kentucky bluegrass 6%, perennial ryegrass 8%) 및 white clover 23%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초종과 파종비율에 따른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