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점조절

Search Result 5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대학생의 촉진초점 및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 Bae, Byeong-Yun;Lee, Ju-H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95-199
    • /
    • 2018
  • OECD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청년실업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높은 청년실업문제는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출산, 범죄 등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창업은 단순히 청년들의 단기적 직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적자원을 개발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청년층인 대학생들의 창업을 북돋울 수 있는 방안과 연관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조절초점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강원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34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으며 실증연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가 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남녀 모두에 있어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촉진초점이 남녀 모두에 있어서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Drowsy Driving Prevention OOH Advertising Depending on Message Framing and Regulatory Focus (메시지 프레이밍과 조절 초점에 따른 졸음운전 예방 OOH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Yesolran Kim;Tae-eu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321-327
    • /
    • 2024
  • Out-of-home (Out-of-Home) advertising can be an effective means of delivering messages for preventing drowsy driving, given that it is exposed at locations and times where vehicle traffic occu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of drowsy driving prevention OOH advertising and regulatory focus on the intention to drowsy driving prevention behaviors by an experimental study targeting 200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framing and regulatory focus on the intention to drowsy driving prevention behavior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ntention to drowsy driving prevention behaviors based on regulatory focus for positively framed messages, for negatively framed messages, a higher intention was observed when the prevention focus group rather than promotion focus group. This study focuses on two key areas: how messages are crafted (message fram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receive them (regulatory focus). By exploring these aspects, it provides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Essentially, it opens doors for creating message strategies that are finely tailored to suit the preferences of the audience. This advancement is vita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s it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efforts.

To whom is social value coaching useful? The effects of social value coaching on meaning of work,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사회적 가치 코칭은 누구에게 유익한가? 사회적 가치 코칭이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Lee, Suran;Cho, Jeesun;Chung, Eun Kyoung
    • The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
    • v.5 no.2
    • /
    • pp.83-10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impact that social value coaching has on employees, specifically highlighting the role of regulatory focus. Based on a coaching model, we developed a social value coaching program and applied it to the employee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cial value coaching program would report higher levels of meaning of work, hedonic job satisfaction, eudaimonic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whether regulatory focus would function as a moderator. We only analyzed the moderating role of prevention focus as promotion focus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cial value coaching program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of the outcome variab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for meaning of work, hedonic job satisfaction, and eudaimonic job satisfaction,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was stronger for those with a higher level of prevention focus than those with a lower level of i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Focus Control for Multi-Focal Projection onto Nonplanar Surface (곡면 전초점 투사를 위한 멀티 프로젝터 초점제어)

  • Shim, Jae-Young;Park, Han-Hoon;Park, Jo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81-1086
    • /
    • 2006
  •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심도(depth of field)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이 곡면일 경우, 일부 영역에서는 초점이 맞지 않게(out-of-focus) 된다. 이런 out-of-focus 영역의 정보는 블러링(blurring)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 여러 대의 프로젝터를 이용할 경우, 각 프로젝터는 다른 in-focus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각 프로젝터 픽셀의 in-focus/out-of-focus 판별을 통해 in-focus 픽셀만을 투사함으로써, out-of-focus 픽셀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대의 프로젝터의 in-focus영역이 거의 일치할 경우, out-of-focus영역은 여전히 out-of-focus상태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각 프로젝터의 초점을 유연하게 조절하면서 동시에 여러 대의 프로젝터에 의한 in-focus 영역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프로젝터의 초점을 유동적으로 조절하면서 취득된 영상을 처리하여 in-focus 영역을 판별하고 각 프로젝터에 대한 in-focus 영역을 조합하여 전체in-focus 영역의 면적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프로젝터의 in-focus 영역을 적절한 컬러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현해주고 이 정보를 참조해 각 프로젝터의 초점을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전초점 영상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nalysis of Its' Effects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 Kim, Bumi
    • School Mathematics
    • /
    • v.18 no.2
    • /
    • pp.397-423
    • /
    • 2016
  •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is not only the primary goal of learning mathematics but also mediates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s learning. Nevertheless, the present learning environment is full of impeding factors which reduc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self-regulatory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various suggestions for program to enhance and forster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empirical findings and theories on motivation, self-regulatory learning, regulatory focus, reducing academic stress and math anxiety. The concrete and practical ideas are suggested in terms of mathematical self-regulatory efficacy,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task. The analysis of the effect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self-regulatory learning.

The Effects of Luxury Brand-Self Identification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 (명품브랜드-자아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 Ahn, Kwangho;Lee, Jieun;Jeon, Jooe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4
    • /
    • pp.1-33
    • /
    • 2009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brand-self identification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focusing on luxury bran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identifica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tment are moderated by consumers' regulatory foc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214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o test hypothesized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perceived luxury brand personality including excitement, competence, and sophistication influences brand-self identification positively, which in turn has a signifiant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ttachment. It is also found that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 to luxury brand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uxury brand commitment while the effect of the brand-self identification on the brand commitment is not signifiant. This finding strongly supports that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are distinct construct, which confirm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luxury brands relationships are moderated by consumers' regulatory focus. This finding explains that prevention-focused individuals who have interdependent self-view respond to the loss caused by relationship break more sensitively compared to the promotion-focused consumer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 반응 분석

  • Park, Sun-Gi;Lee, Chang-Geon;Kim, Jong-Hyeon;Lee, Byeong-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29-36
    • /
    • 2015
  • 최근 3차원 영상의 시각 피로를 줄이고 보다 자연스럽고 현장감을 줄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초다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주로 이용되는 다시점 기반의 3차원 디스플레이는 양안 시차만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장시간 시청시 시각 피로와 어지러움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 중의 하나로 초다시점 디스플레이가 제안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초점 조절 요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어 차세대 3차원 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박형 디스플레이 및 투사형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구현과 더불어 초다시점 영상의 관찰 환경에 따른 인체의 반응을 살펴보는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 반응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기업가적 리더십의 양면성: 구성원의 조절 초점 성향을 중심으로

  • 권상집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17-122
    • /
    • 2023
  • 벤처창업 연구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 및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핵심 고리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성원의 개별 성향과 복합적으로 고려했을때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절 초점 성향을 토대로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변수 간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 중소벤처기업에 재직 중인 구성원을 대상으로 점화 기법 기반 실험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실험연구를 통해 본 연구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에서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운영 프로세스에 관한 시사점과 함께 학문 및 실무적 관점에서도 의미 있는 기여도를 제공할 예정이다.

  • PDF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Donees' Facial Expression on Intention of Doing a Charitable Deed (기부자의 조절초점과 기부수혜자의 표정제시방식이 기부의도에 미치는영향)

  • Park, Kikyoung;O, Min-Jeong;park, jong chul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
    • v.28 no.2
    • /
    • pp.7-25
    • /
    • 2017
  •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prosocial behavior have been researched based on donors' personal traits and the effects of donees emotions. However, studies in identifying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s motivational traits and the emotions resulting from donees' expression on prosocial behaviors have not been researched as much thoroughly. Specifically, consumers with prevention-focus perceive fit as the goal attainability process by avoiding negative factor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intentions of doing a charitable deed greater will more increase when the donees look sad than when they look happy.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ith promotion-focus perceive fit as the consequential benefits of goal attainability when they are in the condition of a positive emotion. As a result, the intention of doing a charitable deed is expected to be increased greater when the donees have happier faces than sad fac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consumers with prevention focus more intended to do a charitable deed when the donees' expression was presented with a sad expression by mediating sadness. On the contrary, consumers with promotion focus show higher intention of doing a charitable deed when the donees looked happier by mediating happy feeling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meaningfulness in respect to expanding previous research concerning regulatory focus into donation contexts. Furthermore,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by presenting the donation strategies on information presentations of don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