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전도케이블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배전급 고온초전도 전력케이블 개발

  • 조전욱;김동욱
    • Superconductivity and Cryogenics
    • /
    • v.6 no.2
    • /
    • pp.4-9
    • /
    • 2004
  • 고온초전도 전력케이블은 기존 케이블의 구리 도체 대신 고온초전도 도체를 사용한 저손실ㆍ대용량 전력 수송이 가능한 전력케이블로서 대도시의 전력공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 개념의 전력케이블이다.(중략)

  • PDF

Thermal Protection Study on 22.9kV HTS Power Cable for Applying to Real Grid (이천 초전도시범사업관련 22.9kV 초전도 케이블 실계통 적용을 위한 열동계전기 검토)

  • Yang, B.M.;Kang, J.W.;Jang, T.I.;Park, J.W.;Jo, H.S.;Kim, T.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99-500
    • /
    • 2011
  • 국내전력수요의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전력산업의 대용량화, 고밀도화에 따른 친환경 고신뢰도의 전력계통 구성을 위하여 친환경 녹색기술의 초전도케이블이 실증시험을 통한 실계통 적용 사업이 이천변전소에서 정부지원으로 한전전력공사 주관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향후 초전도 케이블이 실계통에 연계한 계통이 운용되는 것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전력기기와 협조하여 운영되기 위해서는 계통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초전도케이블은 초전도성이라는 물리적인 특성 때문에 기존 계통해석과정과는 다른 계통 과도현상의 모델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전도케이블의 실계통 적용을 위해서 이천변전소에 시범 적용된 22.9kV 50MVA 500m 초전도케이블 계통을 대상으로 열적특성을 분석하고 안정적인 대규모 전력전송을 위해서 초전도 케이블을 열적특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열동계전기(Thermal Protection Relay)의 운영방법과 적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향후 대용량 초전도케이블의 실계통 적용 확대를 고려한 열동계전기의 운영방법과 적용방안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ielectric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22.9 kV HTS Power Cable System (22.9 kV 초전도케이블 시스템의 절연특성 평가)

  • Choi, H.O.;Sohn, S.H.;Lim, J.H.;Yang, H.S.;Kim, D.L.;Choi, Y.S.;Lee, B.S.;Jung, W.M.;Ryoo, H.S.;Ma, Y.H.;Ryu, K.W.;Hwang, S.D.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93-293
    • /
    • 2008
  • 초전도 케이블은 저손실 대용량 전력수송이 가능한 전력케이블로서 대도시의 전력 공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신개념의 전력케이블이다. 한전 전력연구원 고창전력시험센터에서는 2006년에 22.9 kV, 100 m, 50 MVA급 초전도케이블 시스템을 설치하여 초전도케이블 실용화를 위한 신뢰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전력케이블의 주요한 신뢰성 요인 중의 하나가 절연특성이며 초전도케이블의 절연특성은 운전온도가 액체질소 온도이므로 절연지에 수분이 고화하여 일반적인 전력케이블보다 좋은 절연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전도 케이블은 절연지와 액체질소에 의해 절연이 이루어지며 열적, 기계적, 전기적,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절연층에 이러한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void가 발생하게 되고 전계집중 현상에 의해 절연성능이 저하되며 과다한 열화의 발생시 절연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온 발표에서는 운전온도 66.4 K에서 1.5 $U_0$ (20 kV) 전압의 30일간 연속 인가 시험과 초전도 케이블의 절연열화 가속시험을 통하여 얻은 부분방전 및 정전용량의 변화 등의 절연특성 평가 결과에 대해 논의한다.

  • PDF

Study on Protection Coordination for applying Transmission level HTS Cable in real grid (송전급 초전도 케이블의 보호협조 기술 검토)

  • Yang, B.M.;Choi, J.K.;Jung, C.G.;Kim, J.;Lee, S.Y.;Hong, Jeong-U;Kang, J.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381_382
    • /
    • 2009
  • 전력계통시스템에서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 공급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면서 미래 전력계통시스템의 대안으로 초전도케이블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미 해외에서는 오래전부터 초전도케이블 연구개발을 수행하였으며 현재 실계통 적용 운전사례가 다수 있다. 국내에서도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초전도케이블에 대한 연구개발과 실증시험을 통하여 신뢰성 확보를 하였고 지금은 국내 실계통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배전급(22.9kV) 초전도케이블의 실계통 적용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과제가 KEPCO 주도로 LS전선이 참여하여 정부지원으로 착수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친환경 초전도케이블의 실계통 적용을 위한 보호협조의 기술적 검토와 더불어 실계통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 설계 개념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Long-term load cycle test of the HTS cable system (초전도케이블의 장기 부하변동시험 및 성능평가)

  • Lim, Ji-Hyun;Sohn, Song-Ho;Yim, Seong-Woo;Sung, Tae-Hyun;Hwang, Si-Dole;Choi, Ha-Ok;Yang, Hyung-Suk;Ma, Yong-Hu;Ryu, 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00-300
    • /
    • 2008
  • 우리나라의 전기에너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송배전 선로의 구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도심지의 전력구에는 더 이상의 지중선의 증설은 불가능하며 가공선 설치의 경우 환경 민원의 부담을 떠안게 된다. 그래서 기존 동도체의 회선당 송전 한계를 극복하고 대용량 송전 및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초전도 케이블의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력 전력연구원은 신 전력시스템으로서의 22.9 kV급 초전도케이블 시스템을 고창전력시험센터에 설치하고 운영 및 유지 보수 과정을 통하여 실제 계통 적용을 위한 최적 운전조건을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 부하 상황을 모의하기 위하여 초전도케이블의 장기 부하변동 시험에 따른 케이블 송전 능력 확인 및 냉각시스템의 반응성을 살펴보고 부하변동 시험 후 초전도케이블 도체 열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류 임계전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하변동 시험 전의 임계전류 값과의 변화율이 삼상 모두 ${\pm}1$% 내외로서 오차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건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AC Loss Evaluation Technique of a High-Tc Superconducting Model Cable (모델 고온초전도케이블의 교류손실 평가기술에 관한 연구)

  • Ma, Y.H.;Ryu, K.;Sohn, S.H.;Hwang, S.D.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231-1233
    • /
    • 2005
  • 다수본의 고온초전도테이프로 구성되는 전력케이블에서 발생되는 교류손실은 초전도전력케이블의 효율을 저하시킨 뿐만 아니라 냉동기비용 증가 및 시스템 사이즈의 증가를 초래하여 기존 케이블(구리도체)과의 가격경쟁에서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의 상용화에 앞서 교류손실에 대한 정확한 규명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수본으로 구성되는 초전도케이블의 교류손실은 상이한 임계전류, 상이한 전류분포 및 인접한 테이프에 흐르는 위상이 상이한 전류 및 전압리드의 형상 통의 영향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이와 같은 교류손실 평가와 관련된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해 실제 전력케이블을 모의한 단척 모델케이블을 제작하여 이에 대한 교류손실 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Power System Security Control Method for Quench Characteristic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Cable (초전도 케이블의 Quench 특성에 대한 계통안전성 제어방식)

  • Lee, Geun-Joon;Hwang, Si-D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6
    • /
    • pp.29-35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he basic quench protection idea for the HTS(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cable. In Korea power system, the transfer capability of transmission line is limited by the voltage stability, HTS cable could be one of the countermeasure to enhance the transfer limit with its higher current capacity and lower impedance[1]. However, the quench characteristic makes not only HTS cable to loss its superconductivity, but also change the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power system operating condition dramatically. This pheonominum threats HTS cable safety as well as power system security, therefore a proper protection scheme and security control counterplan have to be established before HTS cable implementation. In this paper, the quench characteristics of HTS cable for the fault current based on heat balance equation was established and a proper protection method regarding conventional protection system was suggested.

A Study of DC/AC Characteristics on 22.9 kV distribution class HTS-cable (22.9 kV 배전급 초전도케이블의 DC/AC 특성에 관한 연구)

  • Ma, Y.H.;Ryu, K.;Sohn, S.H.;Lim, J.H.;Hwang, S.D.;Cho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87-287
    • /
    • 2008
  • HTS-케이블은 구리도체 대신 고온초전도도체를 사용하여 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현상을 이용하여 대용량 전력수송이 가능한 전력케이블로서 대도시의 전력부하 집중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전력케이블이다. 최근 고온초전도선재의 고임계전류밀도화 및 장척화에 힘입어 HTS-케이블의 실용화를 목표로 경제성이 있는 전력케이블을 개발하려는 움직임뿐만 아니라 실증시험 등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초전도전력케이블에서 발생되는 교류손실은 케이블의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냉동기비용 증가로 인한 기존 케이블과의 가격경쟁에서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의 상용화에 앞서 교류손실에 대한 정확한 규명이 되어야 하며 또한 실계통 투입 시 중요한 선로임피던스에 대한 정확한 규명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한전 주관으로 고창시험장에 설치된 배전급 22.9 kV, 100 m, 50 MVA급 3 상 HTS-케이블에 대한 통전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HTS-케이블의 DC 통전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3상평형운전상태에서 AC 통전특성(인덕턴스 및 교류손실)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5m-케이블에서 측정된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The Simulated Cooling Capacity Overload Test of HTS Cable Cooling System for Power Facility (전력설비용 초전도케이블 냉각시스템의 냉각용량 과부하 모의시험)

  • Sohn, S.H.;Lim, J.H.;Choi, H.O.;Yang, H.S.;Cheon, J.H.;Kim, D.L.;Sung, T.S.;Hwang, S.D.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69-171
    • /
    • 2008
  • 초전도케이블의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계통 시험이 미국, 중국 및 일본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 대용량 송전 및 절연성능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초전도케이블이 실제계통에서 적용한 예가 지금까지 많지 않은 이유는 막대한 초기투자 비용과 함께 신기술 도입에 따른 기술적 신뢰성 확보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자체의 전기적 특성과 함께 냉각시스템의 신뢰성은 초전도케이블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며 냉각시스템의 고효율와 함께 장기운전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안정성 및 기기적 특징들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냉각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의 일환으로 전류와 냉각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히터를 이용하여 열부하를 동시에 인가, 냉각시스템의 냉각용량 과부하 상태를 모의하여 냉각시스템의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