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음파염색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yeing on PLA with Disperse Dyes (1) - Effect of Ultrasound (PLA섬유의 분산염료에 의한 염색 (1) - 초음파의 영향)

  • Jeong, Dong-Seok;Cheon, Tae-Il;Lee, Mun-Che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53-53
    • /
    • 2011
  • Poly(lactic acid)(이하 PLA라 칭함)는 1970-80년대의 초기 연구에서는 높은 제조비용과 희귀성에 의해 봉합사와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용도가 제한적이었으나 1980년대를 거쳐 1990년 이후 농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거쳐 옥수수의 다양한 측면의 이용의 하나로서 6-7년 전부터 양산화에 성공하여, 의류, 필름 및 플라스틱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PLA의 장점은 석유가 아닌 천연 원료에서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합성섬유와는 달리 일정한 조건하에서 미생물 등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90% 이상 분해되는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합성섬유에서 의류용으로 대부분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이하 PET라 칭함)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PLA섬유는 PET섬유와 유사한 분산염료로 염색할 수 있다. 따라서 PLA섬유는 분산염료에 의한 염색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PET 섬유의 융점이 $254^{\circ}C$부근인 반면, PLA섬유는 $160-170^{\circ}C$부근이다. 이로 인해 PLA를 섬유로 용도전개에 있어서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PLA섬유는 특유의 경량감과 새로운 촉감 등의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 여러 가지 용도전개가 되어지고 있다. 초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사람마다 한계값은 다르지만, 주파수 약 25kHz이상의 음파를 말하며,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기 때문에 강한 진동을 수반한다. 초음파의 이용 원리는 Cavitation이라는 현상으로 생성된 기포가 터지면서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것은 강력하여 사방으로 퍼져 물질표면이나 내부에 영향을 미친다. 섬유에서는 표면에 뭍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정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염색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에 의한 PLA섬유의 염색성을 조사하였다. PLA섬유를 정련하여 초음파작용의 유무에 따라 염색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초음파 작용에 따른 분산염료의 표면 색변화는 없었으며, 섬유 표면 색 농도의 차이는 초음파 작용에 의하여 저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만, 고온인 $80^{\circ}C$에서는 오히려 낮아졌다.

  • PDF

Application of Super Sonic Wave Technic to Textile Industry (섬유산업에 초음파 응용기술)

  • Seo, Mal Yong;Lee, Suk Young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8 no.4
    • /
    • pp.59-68
    • /
    • 1996
  • 섬유산업에 초음파의 이용은 극히 새로운 것이 아니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간단축과 공정개선 등에 관한 많은 문헌들도 있다. 게다가 세정과 기계분야, 안정된 분산용액의 제조에 두드러지게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며, 다른 새로운 분야로도 연구확대되고 있다. 주로 세정조에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발생자치는 세정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응용확대가 기대된다. 특별한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음화학반응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초음파는 이제 광범위한 습식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로 이해되고 있다. 이 자료는 이미 연구된 결과를 재조명하고 초음파를 이용하므로서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서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전해수 특성 및 전해수와 초음파를 이용한 PET의 가수분해

  • 최용철;홍영기;채경수;배기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4-148
    • /
    • 2003
  • 현재 섬유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섬유는 강도, 혼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반면, 염색성, 필링성, 흡습성, 대전성 등의 결점들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PET의 개질 방법 가운데 촉감개선을 위한 알칼리 감량 가공은 영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고, 1970년대 중반 이후 일본에서 공업화시켰으며 현재에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중략)

  • PDF

Improving Dyeability of Safflower Yellow Colorants on Cellulose Fibers (홍화 황색소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성 증진)

  • Shin, Youn-Sook;Cho, A-Rang;Yoo,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12
    • /
    • pp.1754-1760
    • /
    • 2007
  • To improve poor dye uptake of safflower yellow colorants, cellulose fibers were pretreated with chitosan. The effect of chitosan pretreatment on the dyeability of safflower yellow colorants to cotton, ramie, and ray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dye uptake, color, and colorfastness. Irrespective of fiber types, dye uptake increased continuously with increase in chitosan concentration. Chitosan pretreatment improved dye uptake up to 5.6 times for cotton, 7.2 times for ramie, and 3.7 times for rayon. For cotton and ramie, the shade of dyed fabric changed YR color to Y color with increase in chitosan concentration. Dyed rayon fabrics showed Y color irrespective of chitosan concentration. Shades got darker and deeper with increasing chitosan concentration. Shades of chitosan pretreated fabrics were shifted differently depending on dyeing temperature within same fabrics. In common, the color of all dyed fabrics changed to YR at 50 and $70^{\circ}C$ while Y color at 30 and $90^{\circ}C$. V and C value decreased with increase in dyeing temperature and resulted in darker and duller color, in general. Light fastness was fair while washing fastness was poor. It was confirmed that ultrasonic dyeing method enhanced dye uptake more than 30% for cotton and ramie fabric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utomatic machine dyeing method. However, no difference in dye uptake between two dyeing methods was found for rayon.

The development of dyeing process by ultrasonics wave for clean technology (초음파를 이용한 피혁의 친환경 염색공정 기술 개발)

  • Kim, W.J.;Kim, H.H.;Kim, S.C.;Park, K.S.
    • Clean Technology
    • /
    • v.10 no.1
    • /
    • pp.19-25
    • /
    • 2004
  • The leather was fixed with various colors through the dyeing process in leather manufacturing. During the dyeing process, the amount of 30~50% dyestuff which were not bonded with leather drained with waste water. These dyestuff raise lots of environmental problems, so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fixing effect, levelling effect and penentration effect with the use of small amount of dyestuff has been required. Also, insufficient color fastness level 2~3 grade for common natural leather needs to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use of ultrasound(us) in dyeing process has decreased the amount of dyestuff and obtained the smooth permeability effect. So, we could find that the reduction of amount of dyestuff in wastewater led to decrease in environmental trouble caused by leather waste water with severe contamination degree and improved fastness up to 0.5 gra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