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월론적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ritical Study on Mattheo Ricci's Accommodation and Naturalization Focusing on Changes in the Concepts of Di(Emperor Above) and Tian(Heaven)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적 보유론에 관한 비평적 고찰: 제(帝), 천(天)개념의 변천사를 중심으로)

  • Jin, Yong Xiong;Je, Hae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6
    • /
    • pp.400-412
    • /
    • 2022
  • The Accommodational missionary method adopted by the Jesuit missionaries who came to China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s called the Accommodation and Naturalization and is based on the Poetry. The terms they borrowed were 'Di(Emperor Above)' and 'Tian(The heaven)', the key terms of Confucianism. Although 'Di' was a new transcendent concept, its status was downgraded in the political upheaval, and 'Tian' was rather elevated. However, both of these concepts gradually transformed into philosophical concepts that directly affect real life. The two terms borrowed to express the priesthood could not contain the uniqueness of Christianity, and Christianity was interpreted as an extension line of Confucianism thinking, reduced to an adjunct of Confucianism, and was not indigenous to the depth of ideology. A rational philosophical inquiry could not have played a full role in guiding the Chinese into the true Christian 'faith' unless it is paired with the great teachings of revel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se results soberly to find problems and to try various studies to explore ways to open up new horizon for Christian missionary work.

Stimme aus der Seinsquelle Hölderlins Gedicht >Andeoken< und Philosophische Hermeneutik (존재원천의 소리 - 횔덜린의 시 '회상'과 철학적 해석학 -)

  • Lee, Kyeong-bae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223-247
    • /
    • 2011
  •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as Primat des Seins und die Ereignisontologie, denen der Diskurshorizont zwischen der Ontologie d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und der dichterischen $Repr{\ddot{a}}sentation$ der Seinsquelle in $H{\ddot{o}}lderlins$ spekulativem Gedicht, >Andenken<, das die spekulative Philsophie als eine Philosophie ${\ddot{u}}ber$ das Wissen um Ursein vor dem Denken darstellt, zugrunde liegt. $H{\ddot{o}}lderlins$ und Hermeneutische Ontologie nimmt erstens das Ursein, das die ontologische Voraussetzung des Denkens sei, als die nicht nur logische, sondern auch temporale Quelle auf Grund der Kritik an der reflexiven Struktur des modernen Denkens an. Zweitens suchen beide die $Gesinnungsm{\ddot{o}}glichkeit$ des Urseins, das niemals ein begreifbarer Gegenstand des Denkens war, deshalb immer schon ${\ddot{u}}ber$ das Denken ${\ddot{u}}bertrefflich$ ist, auf der ontologischen Seite aus der selbstnegierenden Bewegung des Seins, auf der erkenntnistheoretischen Seite aus dem sprachlichen Ausdruck des Seins: Insofern das reflexive Denken die analytische Unterscheidung zwn Prinzip hat, ist das Ursein deshalb der logische Ursprung des analytischen Denkens, weil das Unterschiedene aus dem Einen geteilt wird. Und das Ursein ist deshalb auch die geschichtsphilosophische Arsche, weil das Viele die geschichtliche Selbstentwicklung des Einen ist. Aus dessen Grund $l{\ddot{a}}sst$ das Sein, das allem vorausgeht, mit seiner geschichtlichen Selbsterscheinung als negativer $Selbstverkl{\ddot{a}}rung$ und darnit zugleich mit dem sprachlichen Ausdruck als der epischen Symbolisierung solcher Ereignissen sich selbst als etwas sein. Das Wort des Verstandes, das nur die Negationsbewegung der Analyse ist, kategorisch einbegrenzt ist, kann daher nicht das Verweilen bei dem Geschehen der $urspr{\ddot{u}}nglichen$ Seinsquelle sein. Das dichterische Wort, das der Stimme aus der Seinsquelle $zugeh{\ddot{o}}rig$ ist, ${\ddot{u}}bersetzt$ die Selbstbewegung des Urseins auf den hermeneutischen Sinnhorizont, in dessen Spielraum das Ursein sich selbst aussagt. $Schlie{\ss}lich$ hoffe ich damit, in dieser Arbeit davon ${\ddot{u}}berzeugend$ vorderseite zu legen, dass $H{\ddot{o}}lderlins$ Gedicht, >Andenken< nicht nur die poetische Gesinnung auf die Seinsquelle, sondern auch die hermeneutische Ontologie der Seinsquelle ist.

The Regional Festival Promotion Plan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Chungnam Region: With a Focus on Tojeong Lee Ji-Ham's Geolincheong (충남지역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 추진 방안 연구: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걸인청(乞人廳)을 중심으로)

  • Oh, Do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23-33
    • /
    • 2018
  • As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successful regional festivals acts as the promotion of regional brand images and as the driving force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changes in awareness that significantly accepts external promotion effects and the commercial value of regional festivals are greatly expanding. When seen from this perspective, the regional festival, which has Tojeong Lee Ji-Ham, a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16th century and Geolincheong as subject matter,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Chungnam Asan region's identity and to the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He is one of the all-time eccentrics and at the same time he is an intellectual who practiced innovative spirit of the times and a sense of economy for the relief and self-support of common people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 during his life. In this sense, the regional festival that is based on Lee Ji-Ham's Geolincheong has meaning and values as a cultural content from and device, which realizes and continue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thoughts that he pursued, in the modern context in time and spa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Kim, Kwi-Gon
    • Hwankyungkyoyuk
    • /
    • v.10 no.2
    • /
    • pp.369-376
    • /
    • 1997
  •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문제점에 대하여 자각하고 관심을 가지며 현존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과 새로운 문제점의 예방을 위하여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일할 지식, 기술, 태도, 동기 그리고 책임에 대하여 교육시켜 가는데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환경교육의 대상이 되는 개념으로서 경제사회발전과 환경보전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관심을 모으는 ESSD개념은 유엔이 국제환경보전운동의 지침으로 삼고있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속적 개발(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개념으로서 개발은 환경용량의 범위 내에서 추구되어야 하며 지속성의 관점에서 정부와 모든 국민들은 그들 자신의 복리는 물론, 그들의 후손을 위해 환경을 보전하는데 공동의 노력을 쏟아야 할 윤리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가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를 ESSD개년의 도입과 실천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할 것이며, ESSD개념에 입각하여 인관과 환경간의 관련성의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인식을 국민모두가 갖도록 하는 환경교육을 통하여 환경에 관한 가치가 개개인의 생활양식은 물론 기업 환경의식이나 정부의 의사결정 과정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ESSD개념은 환경교육에서 환경보전과 경제사회발전이 어떻게 양립될 수 있는가를 강조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환경교육이나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에서는 물론 정치적 관심이나 각 부처간의 이익을 초월하여 개발과 환경보전을 역동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도록 입법부나 행정부처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에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환경문제에 관련된 전문가를 교육하는 현행제도를 재평가하여 단지 단기적인 현실만이 아니라 ESSD개념에 바탕을 둔 장래 개발문제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환경전문가를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와 교육방법론의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환경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서는 의제 21, 지방의제 21 그리고 인간정주 의제서에 계속적으로 강조되어왔으며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차원에서의 대응이 준비되고 있으며 이에대한 많은 각별한 관심과 참여가 요구되어진다.

  • PDF

Using Thesaurus for Disambiguation and if's limit (동사의 애매성 해소를 위한 시소러스의 이용과 한계)

  • 송영빈;최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255-261
    • /
    • 2000
  • 동사의 애매성 해소는 언어학의 여러 부문 중에서도 가장 실체가 불명확한 의미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학뿐만 아니라 자연언어처리에 있어서도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중에 하나이다. 애매성은 언어학에서 말하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를 동시에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단일어를 대상으로 한 이와 같은 분류는 비교적 명확한 반면 두 개의 언어 이상의 다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기계번역용 사전과 같은 대역사전에 있어서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구별은 경계가 불명확하여 의미에 기반한 대역어의 작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 원인은 의미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실체], [개념], [표현]의 관점에서 [실체]와 [개념]은 어느 언어를 막론하고 보편적인 반면 [실체]와 [개념]을 최종적으로 실현하는 형태인 [표현]의 경우 각각의 언어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게 표출된다고 하는 사실 때문이다. [나무]라는 [실체]가 있다고 할 때 [나무]에 대한 [실체]와 [개념]은 언어를 초월해서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개념]을 표현하는 실체인 [표현]은 언어에 따라 [namu](한국어_, [ki](일본어),[tree](영어) 등과 같이 언어에 따라 자의적으로 [개념]을 표현하고 있다. [namu], [ki], [tree]가 같은 뜻을 나타낸다고 인식할 수 있는 것은 [개념]이 같기 때문이지 이들 각각의 [표현]이 의미적 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은 아니다. 지금까지 의미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이 결여됨으로 인해 의미의 다양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애매성 해소에 관한 연구도 부분적 시도에 그친 면이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다국어를 대상으로 한 대역사전의 구축에 있어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에 대한 종래의 분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애매성 해소의 한 방법론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시소러스의 분류체계의 한계를 지적한다. 나아가 이의 해결책을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역사전의 구축에서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제시한다.

  • PDF

Design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angeul (한글의 디자인 철학과 원리)

  • 한재준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2
    • /
    • pp.235-244
    • /
    • 2001
  • Hangout is already recognized as a world famous writing system. However, the typefaces that may show the excellence of Hangeul lack the systemic development, and their frequent change without independence rather causes an obstruction to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and informational systematization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I presume that the core of this obstruction is caused by a lack of successful inheritance of the cre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angeul. In order to prove this premise definitively, I saw Hangul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and suggested the base and objectivity to solve the problem by systematically define the excellence of Hangeul. In this paper, 1 confirmed that the cre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angeul had the design philosophy that was appropriate fo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at time, and went through rational design process. Therefore, as I mentioned earlier, the due for the problem with Hangeul typefaces can be found when it is handled based on the creation philosophy and principle. Furthermore, the creation of Hangeul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of rational and scientific letter as a method of easie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people and nations. Therefore, the study of the design method and principle used in the process of Hangul creation may provide the new base for the methodolog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it may be a core research subject to find the root of Korean design philosophy.

  • PDF

The Significance of Nature's silence in sijo (시조의 자연, 그 '말없음'의 의미론)

  • Ryoo Su-Yeoul
    • Sijohaknonchong
    • /
    • v.20
    • /
    • pp.5-27
    • /
    • 2004
  •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nature's silence in sijo by comparing with the works taking misunderstanding and lie as poetic materials. Sijo poets praise the silence of nature with correlating the false of the mundane language. This is the natural consequence in which they arrive by denying both 'mundane' and 'language'. In mundane world people struggle for their interest and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Therefore the silence of nature is not the principle of life but counter-pair of mundane politics. Sadaebu[사대부], the sijo poets praise the silence of nature to realize needs to rise above the boundary of right and wrong. Then they don't recognize the nature as pure scenary. As Confucianist, they recognize the nature in connection with mundane world. Because they have two persona, the scholar [사] and politician[대부]. In Confucianism the naturalization of moral and moralization of nature is pursued simultaneously.

  • PDF

Using Thesaurus for Disambiguation and it's limit (동사의 애매성 해소를 위한 시소러스의 이용과 한계)

  • Song, Young-Bi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255-261
    • /
    • 2000
  • 동사의 애매성 해소는 언어학의 여러 부문 중에서도 가장 실체가 불명확한 의미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학뿐만 아니라 자연언어처리에 있어서도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중에 하나이다. 애매성은 언어학에서 말하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를 동시에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단일어를 대상으로 한 이와 같은 분류는 비교적 명확한 반면 두 개의 언어 이상의 다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기계번역용 사전과 같은 대역사전에 있어서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구변은 경계가 불명확하여 의미에 기반한 대역어의 작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 원인은 의미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실체], [개념], [표현]의 관점에서 [실체]와 [개념]은 어느 언어를 막론하고 보편적인 반면 [실체]와 [개념]을 최종적으로 실현하는 형대인 [표현]의 경우 각각의 언어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게 표출된다고 하는 사실 때문이다. [나무]라는 [실체]가 있다고 할 때 [나무]에 대한 [실체]와 [개념]은 언어를 초월해서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개념]을 표현하는 실체인 [표현]은 언어에 따라 [namu](한국어), [ki](일본어), [tree](영어) 등과 같이 언어에 따라 자의적으로 [개념]을 표현하고 있다. [namu], [ki], [tree]가 같은 뜻을 나타낸다고 인식할 수 있는 것은 [개념]이 같기 때문이지 이들 각각의 [표현]이 의미적 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은 아니다. 지금까지 의미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이 결여됨으로 인해 의미의 다양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애매성 해소에 관한 연구도 부분적 시도에 그친 면이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다국어를 대상으로 한 대역사전의 구축에 있어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에 대한 종래의 분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애매성 해소의 한 방법론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시소러스의 분류체계의 한계를 지적한다. 나아가 이의 해결책을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역사전의 구축에서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제시한다.

  • PDF

Animal Liberation and Respect for Man (II) : P. Singer's Concept on Man and its weak Point (동물해방과 인간에 대한 존중(II) : 피터 싱어의 인간 개념과 문제점)

  • Moon, Sung-ha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3
    • /
    • pp.87-118
    • /
    • 2017
  • In this paper, I will show several theoretical nonconformities which can be found in P. Singer's concept of human beings. As we know, P. Singer is a well-known animal liberalist. On the one hand, Singer regards man as a subordinate being to nature and on the other, as a transcendent being. This is the first inconsistency of Singer's concept of man. His second inconsistency is related to his position on the power of reason. He believes that it is the product of 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is a power to resist the blindness of evolution. Thirdly, he also exposes the contradictory attitude in evaluation on man's moral ability. Considering these three contradictions, it becomes clear that Singer has failed to prove his claim that there is no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Despite the popularity of his theory, I belie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inger's animal liberation theory is rather weak. The reason for revealing the weakness of Singer's theory is not to return to the practice of mercilessly handling animals but to show that it is wrong to undermine human dignity under the guise of animal welfare.

A Study on the Existential Reflection -A Study on the Yi Ji-yeop Sijo- (우울증 시조치료 방법론 모색 -이지엽 시조를 중심으로-)

  • kim, mung h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51-60
    • /
    • 2022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istence reflection and transcendence to overcome depression in terms of the perspective and the hick of the treatment.,The suicide rate in Korea is the number one OECD country (2006-2019), and depression is spreading more recently.,Depression is a civilized disease connected to the abolition of materialism in the competition of a rapid industrial society, and there is a limit to overcoming depression by medication alon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depression as a personal history and to recognize depression as a part of literature therapy and to explore ways to overcome it.,This study is an attempt to use the 'self-narrative' of Korean literature therapy and to reexamine the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etic therapy, which is to draw the suppressed feelings into the human being through the medium of the poetic work.,This is meaningful in integrating the divided self and freeing from the suppressed emotions to live a fre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