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 컴퓨터교육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What is the rationale for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은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가?)

  • Baek, Young-Ky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3-10
    • /
    • 2009
  • 7차 개정 교육과정은 컴퓨터교육에 있어서 기존의 컴퓨터 활용 중심의 교육을 넘어서 컴퓨터과학과 더불어 정보통신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초등교육과정의 틀 내에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는 또 다른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정체성에 대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컴퓨터교육에 관한 정체성의 혼란은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도 컴퓨터교육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 편제와 운영 등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내적.외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컴퓨터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점에 대하여 탐색하고 나아가 컴퓨터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어떻게 정착되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 PDF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with the Focus on Case Study Using LOGO Programming Language and Fractal Geometry Theory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랙탈 기하이론을 이용한 초등학교 컴퓨터교육 활용 연구)

  • Ko, Yeong-Hae;An, Jae-Ho;Park, Nam-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41-14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로 다루고 있는 창의성이라는 주제와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쉽게 접목시킬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LOGO 프로그래밍과 프랙탈 기하이론을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향후 컴퓨터교육과정은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이 포함될 예정이며, 이러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교육에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필수적이며 이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LOGO 프로그래밍과 프랙탈을 함께 지도함으로서 규칙성, 반복성, 유사성, 닮음 등 수학적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할 도형, 측정, 규칙성과 문제 해결 영역과 연계하여 지도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Mi-Hyun;Mo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1084-1088
    • /
    • 2005
  • 현재 우리는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컴퓨터는 이제 우리가 배워야 할 필수 요건이 되고 있다.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해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컴퓨터 교육이 실시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정보화 교육을 위한 컴퓨터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역사, 현 컴퓨터 교육과정의 특징,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 과정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컴퓨터 교육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컴퓨터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컴퓨터 전담제로 제시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전담제를 실시하고 있는 한 학교와 그렇지 못한 환경의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 PDF

The Classification and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Computer Terms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의 분류 및 정의)

  • Choi, Eun-Hee;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548-555
    • /
    • 2004
  • ICT 교육의 소양교육과정 부분에서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교육은 ICT 소양교육의 바탕이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의 컴퓨터 용어 사전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게 분류하고 정의한다. 초등학교 컴퓨터 용언의 분류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정의하는 ICT 단계와 영역에 맞게 한다.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의 정의는 초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성의 원리, 경험성의 원리, 현실성의 원리, 동기유발의 원리에 맞게 한다. 이에 따른 분류와 정의를 통해 몇 가지 용어를 예시적으로 정의한다. 이상과 같은 분류와 정의에 의해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는 초등학생들이 쉽게 이해하여 ICT 소양교육의 질은 저절로 높아질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Education Using Advance Organizer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Lee, Dagyeom;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19-221
    • /
    • 2022
  • 초등학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교육은 학교급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놀이 및 체험 활동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수요 및 AI 리터러시 연구에서 AI 개념의 지도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초등학생에게 어렵고 생소한 AI 개념을 교육하기 위해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선행조직자는 개념 지도 시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중 하나로 이미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재 분석 결과 선행조직자는 학생별 경험과 양육환경의 차이로 인해 선행조직자로서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선행조직자를 초등 교육과정에서 추출하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AI 교육 내용 기준에서 AI 개념 요소를 추출하여 초등학교 1~4학년 교과 교육과정에서 선행조직자를 선정하였고 4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AI 개념을 학습과 AI 리터러시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외국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 Choi, Mi-Seon;Jeong, In-K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61-68
    • /
    • 2005
  • 지금까지 컴퓨터 교육은 많은 발전이 있어왔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매주 1시간씩 정보통신 기술교육을 함으로써 교과로서의 컴퓨터교육으로 한걸음 나가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소양 및 ICT 활용교육에 치중하는 등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현행 교육의 실태와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파악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을 본질적인 과학으로서 접근한 ACM 교육과정과 인도, 미국 등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며, 외국의 교육과정과 우리나라의 초등 컴퓨터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improvement Plan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or Analysis of ict literacy elementary education and ict application elementary education (정보 소양 교육과 정보 활용 교육의 활용 검증과 컴퓨터 교육의 개선 방안)

  • Kwon, Ki-Joe;Han, Su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11-219
    • /
    • 2005
  •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한 학교 현장의 파행적 운영과 컴퓨터를 타 교과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도구로만 인식하는 활용 위주의 컴퓨터 교육은 정보 소양을 등한시 하는 결과를 낳았다.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등 교육 선진국은 활용을 위한 컴퓨터교육 뿐 아니라 체계적인 정보 소양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현재 많은 현장의 초등 교사들도 정보 소양 교육의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컴퓨터 교육 내용을 원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초등학생에 맞는 교육 내용의 구성은 컴퓨터의 바른 인식과 그 과정에서 얻어질 논리적인 사고력의 자연적 학습이 가능 할 것이며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간 형성에 기여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정보화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동들에게 초등 컴퓨터 교육의 올바른 방향은 정보 소양 중심의 컴퓨터 교육 과정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교과로서의 독립적인 운영과 초등 수준에 맞는 교육 내용의 구성이다.

  • PDF

The Improvement Sought Through A Study on the Stat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과학 교육 실태 조사를 통한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안)

  • Lee, Sung-Rae;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7-44
    • /
    • 2010
  • 현대 사회는 미래의 지식과 정보의 시대에 대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컴퓨터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간 34시간 이상 컴퓨터를 교육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가장 기초적이라 할 수 있는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교사들에 의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윤리 개정 지침안에 대한 교사 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하며, 컴퓨터과학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기능 연수가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교재 교사용 지도서가 전문화, 체계화 되어야 한다. 셋째, 컴퓨터과학 교육을 수업 현장에서 쉽게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 과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mputer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Bae, Young-Kwon;Lim, Jin-Sook;Lee, Tae-Wu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3
    • /
    • pp.29-42
    • /
    • 2005
  • In this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t cannot be too much to accentuat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mputer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nly focuses on computer application and utilization. It is not satisfactory to the needs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o improve mechanic office operation and/or to provide simple utilization of educational software through learning the application software functions. Therefore, based on creative and logical thought, it is necessary at this era to prepare computer education as the essence of science to create new values and to embody knowledge by understanding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at is continuously in change and development.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of change based on problems of computer education, and investigates field teacher's opinion on the direction of change in elementary computer curriculum in this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lso, this study presents a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our current elementary computer curriculum and that of North Carolina and of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 PDF

Seeing the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을 통해서 초등 교육 바라보기)

  • Ko, Young-Nam;Kim, J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34-1537
    • /
    • 2011
  • 컴퓨터 사용이 우리의 일상 생활이 되면서 컴퓨터 과학은 이미 우리 사회 여러 영역을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컴퓨터 과학자처럼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인 Computational Thinking은 앞으로의 사회에서 나타날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 방법이 될 것이고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 능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Thinking의 정확한 개념을 살펴보고 초등교육에서는 어떤 부분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을 찾아볼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