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영어 교과서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Structure design of e-textbook based on e-Pub standard (e-Pub 표준 기반 e-교과서의 구조 설계)

  • Kim, So-Young;Nam, Dong-Sun;Sohn, Won-Sung;Lee, Kyung-Ho;Lim, Soo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41-244
    • /
    • 2010
  •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디지털교과서를 위해 제안되었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플래시 기반으로 구성되거나, 전용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야 하는 등 교과서의 본질에 충실하지 못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의 본질에 충실하고, 학교에서는 물론이고 집에서도 사용 가능한 e-교과서 구현을 위해 전자책 표준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 중인 e-Pub 표준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XML 기반의 e-Pub 표준 적용을 위해 초등학교 국어, 영어,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과목 별로 상이한 구조 표현을 위해 최소한의 요소(element)를 정의함으로써, 저자 별, 과목 별 구조적 특성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n mathematic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needs, and challenges (수학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 초등학교 교사가 바라본 인식, 요구사항, 그리고 도전)

  • Kim, Somin;Lee, GiMa;Kim, Hee-jeo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7 no.3
    • /
    • pp.199-226
    • /
    • 2024
  • In response to the era of transformation necessitating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igital technologies, educational innovation is undertaken with the implementa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n Mathematics, English, and Information subjects by 2025 in Korea.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mathematics AI digital textbook.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November 2023, involving 1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low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and need for mathematics AI digital textbooks. However, some recognized the potential for personalized learning and effective teaching support. Furthermore, among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AI digital textbook, teachers highly valued the necessity of learning diagnostics and teacher reconfiguration functions and had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usefulness in math lessons, while their perception of interactivity was relatively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changing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provision to ensure the successful adoption and use of mathematics AI digital textbooks. Specifically, providing concrete and practical ways to use the AI digital textbook, exploring alternatives to digital overload, and continu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n core technologies.

The Study of Using Web 2.0 Tool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Web 2.0 도구를 활용한 초등 영어교과의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Cho, Eun-A;Hong, Myung-Hu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59-167
    • /
    • 2009
  • Web 2.0 환경은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기존의 체제에서 벗어나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강화하여 다양한 교육적 지원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특히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공유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Web 2.0 환경을 교육적으로 적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는 가운데 본 논문은 여러 교과 가운데서도 영어교과에 활용하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영어교과와 Web 2.0 환경이 부합하는 면을 살펴보고 기존의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의 장단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Web 2.0 활용 영어교육 지도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영어교과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Web 2.0 도구들을 분류하여 이용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발음 및 청취 교육

  • 정인교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248-248
    • /
    • 1997
  • 오늘날 영어교육은 교과과정령에 엄연히 명시된 네 가지 기능(four skills) 즉 듣기, 말하기, 원기, 쓰기라는 정당하고도 보편 타당성 있는 명분 하에 어떻게 가르쳐 왔는가 를 반문해 보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간 6년간의 중등과정, 심지어는 대학에서 환 두해까지 영어를 이수한 사람틀 중에는 문자를 통해서는 상당한 수준, 그것도 영어 토박이들조차 놀랄 정도의 영어를 이해하지만, 소리를 통해 들을 때는 ---말하는 것은 두말 할 것도 없고---아주 간단한 내용의 영어조차 알아듣기 힘든 경험을 한 사람이 많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즉, 문자를 대할 때는 시각적 자극의 형태가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가공할 문법적 지식---와 일치하기 때문에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는 반면, 소리를 들을 때는 청각적 자극의 형태가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극히 불완전한 발음사전, 또는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의한 영어발음--- 와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말소리를 매체로 하는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영어의 본토박이 발음을 정확히, 아니면 적어도 매우 근접하게 나마 터득하여(습관화하여)두뇌에 저장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영어교사는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대한 정확하고도 상세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영어의 음운체계와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linguistically significant)' 대초분석의 방법으로 발음을 지도한다면 보다 나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국어의 발음이 외국어의 발음에 간섭을 유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분절음체계가 서로 다를 때 2. 한 언어의 음소가 다른 언어의 이음(allophone)일 때 3. 유사한 음의 조음장소와 방법 이 다를 때 4. 분절음의 분포 또는 배열이 다를 때 5. 음운현상이 다를 때 6. 언어의 리듬이 다를 때 위의 여섯 가지 경우를 중심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발음특성을 대조하여 '낯선 말투(foreign accent)' 또는 발음오류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 영어교사의 일차적인 목표이다.

  • PDF

A Case Study On Digital Education Design In Foreign Countries By Analysis Education Condition (선진학교 교육현황 분석을 통한 디지털 교육매체 디자인 국외 사례 연구)

  • Kim, Jung-He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0
    • /
    • pp.201-219
    • /
    • 2013
  •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n education field at America, UK, Japan etc bring big progress on digital device if education. Japan bring huge progress on digital education by nationally. UK use huge a national budget at digital education development and Sweden which is advanced country of education and a welfare state. Especially UK and Sweden's digital education markets are full now aspect more high quality design. Korea which is advanced country of IT adopted digital text book 2007 with mathematics, through science and English digital text book through the state. Korea's digital text book is in a transition period. that needs case study of advanced country of education for setting design guide and educational effect to digital education media and device plan. All researches are based on LG europe design center at London. Analysis by using KJ method, survey of questionnaire, heuristic method at 4 schools in UK and Sweden.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want to more reality simulation at digital education, and high quality contents with digital socialization. co-work with analog, can get any where, anytime user want without any difficulty. Also interactive GUI design of digital education device to easy to access for user. When plan Digital text book content and design needs methodical design guide for target who students and environment an in-depth study of the appraisal and meth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introduce the design plan as a basic research and giving useful design plan to make digital educational media in Korea industrial aspect.

Science Curricula from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1895) to 1910 and People in Charge of Science Education at Public Schools (학제제정(1895)부터 1910년까지의 과학교육과정과 관.공립학교에 있어서의 과학교육담당자)

  • Song, M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8 no.4
    • /
    • pp.493-502
    • /
    • 1998
  • Science curricula of public and government institution schools from 1895 to 1910 in Korea were studied And through tracing people in charge of science education actual status was research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physics, chemistry, nature' in the regular course for normal schools and 'department of science' in the short course were used for in the curriculum. Subject of nature were educated by SaitoKinji. 'Science' was educated by MatsumotoSoji in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t Foreign Language School and 'science of nature' by Hase in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Nature' and 'physics and chemistry' were taught by ShideharaTahira at Hansung Middle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1899. MoriTamejo was in charge of subject of nature at Hansung High School which was a new name since 1906. It was also revealed that'physics and chemistry'were taught at Industrial Professional Institute. In short during the era of Taihan (Korea) Empire science education at public and government institution schools were entirely performed by Japanese. Furthermore the first time when professionals majored in natural science began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science education was during late part of Taihan Empire and before that time tradition of science education was maintained by'non-professionals'like ShideharaTahi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