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과학영재교육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natural aptitude and role of teacher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 Kim, Gwang-Ch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63-271
    • /
    • 2004
  • 교육은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질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내재된 능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함을 물론 나아가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발전에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며, 이러한 교육은 우수한 잠재적 능력을 가진 영재에게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미미한 실정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실제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재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 그 싹을 피워가기 시작한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정의과학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Disadvantage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3-63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정보영재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가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1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데이터 수집 및 표현, 모델 선택, 훈련, 평가, 실생활 사례 제작, 예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모형은 이재호와 홍창의(2009)의 문제 중심형 e-PBL 학습 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에 적용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외계층 초등정보 영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비주얼 베이직을 이용한 초등 정보과학영재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내용 탐색

  • 강성원;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9-219
    • /
    • 2003
  • 초등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핵심이 되는 프로그래밍교육은 창의적 사고와 수준 높은 문제 해결력을 동원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해내는 정보 교육의 중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여 프로그래밍 교육내용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선정기준을 통해 비주얼, 베이직을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선정한 후 프로그래밍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a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을 위한 초등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Ae-Jung;Lee,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1
    • /
    • pp.89-96
    • /
    • 2005
  • This paper focused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dealt the contents of the scientific school attached to universities for gifted children. Second, this paper abstracted educational elements for the gifted children from the research of the information science course in current education. Third, for applying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o practical education efficiently, the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many steps. Fourth, this paper developed the annua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 PDF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Education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 Bae, Gi-Taek;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1-16
    • /
    • 2009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재교육의 교육내용 역시 세분화되고 있다. 그러나 영재교육이 지나치게 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면서 영재 아동의 사회성과 인간관계가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영재교육의 인지적 영역만 아니라 사회 정의적 영역 모두 중요 시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내용 중 하나가 리더십 교육이다. 영재교육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를 길러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그 자료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을 위한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초등정보과학영재용 리더십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 PDF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한 정보통신윤리교육 방안

  • 류근성;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1-237
    • /
    • 2003
  •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지만,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시대정신은 갖추지 못하여 이로 인한 부정적인 현상은 점점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최근 교육기관과 사회 공공 기관에서 역기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하기는 하지만,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정보 통신윤리교육은 거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정보사회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재인 정보과학영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없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교육은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재들에게는 그들에게 맞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의 개념을 살펴보고, 정보통신 윤리의 개념과 성격, 정보통신 교육의 기본원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분석해본 후 초등 정보과학 영재들을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election-Method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 연구)

  • Hwang, Kuk-Hw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321-330
    • /
    • 2004
  • 21세기는 지식정보사회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정보과학영재와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에 대한 연구는 꼭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의하고, 수학, 과학 영재아의 판별사례를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정보과학 영재아의 영재판별을 위해 초등 컴퓨터교과의 단계 및 영역을 바탕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판별의 원칙, 절차, 검사방법을 에 대한 판별방법을 살펴보았다.

  • PDF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사의 자질에 대한 고찰

  • 김광찬;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4.11a
    • /
    • pp.166-178
    • /
    • 2004
  • 21세기는 지식 정보사회이며, 이 지식 정보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말 그대로 정보이다. 정보를 수집ㆍ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만 21세기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정보사회에서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지만 타 영역의 영재에 비해 정보과학영재의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은 실제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채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Jeju Area (제주지역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 Kim Jong-Hoon;Byeon S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8
    • /
    • pp.144-156
    • /
    • 2006
  • In order to secur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s frontier knowledge-based information and globalized society, Korea also needs programs to pick out advanced human resources early and educate them systematically. Therefore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the information science area is very important, in response to the highly developed Information society, nationally,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s attached to colleges and several institutions for gifted education have selected and educated th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survey loc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carried out in jeju by the Education Center for Scienc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ot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the region and thereby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