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 면적

Search Result 6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 Ice Initial Conditions for a Global Ocean and Sea Ice Prediction System, the NEMO-CICE/NEMOVAR over the Arctic Region (전지구 해양·해빙예측시스템 NEMO-CICE/NEMOVAR의 북극 영역 해빙초기조건 특성 분석)

  • Ahn, Joong-Bae;Lee, Su-B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82-89
    • /
    • 2015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ea ice initial conditions generated from a global ocean and sea ice prediction system, the Nucleus for European Modeling of the Ocean (NEMO) - Los Alamos Sea Ice Model (CICE)/NEMOVAR were analyzed for the period June 2013 to May 2014 over the Arctic region. For the purpose, the observed and reanalyzed data were used to compare with the sea ice initial condi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variability of the monthly sea ice extent and thickness in model initial conditions were well represented as compared to the observation, while it was found that the extent and thickness of Arctic sea ice in initial data were narrower and thinner than those in reanalysis and observation for the period. The reason for the narrower sea ice extent in model initial condition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initial sea ice concentration at the boundary area of sea ice was about 20 percent less than the reanalysis data. Also, the reason for the thinner sea-ice thickness in the Arctic region is due to the underestimation of Arctic sea ice thickness (about 60 cm) of the model initial conditions in the Arctic Ocean area adjacent to Greenland and Arctic archipelago where thick sea ice appears all the year round.

Nutrient and Water Uptake of Cucumber Plant by Growth Stage in Closed Perlite Culture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생육단계에 따른 오이의 양수분 흡수 특성)

  • 김형준;김진한;우영회;남윤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73-74
    • /
    • 2001
  • 순환식 펄라이트 재배에서 오이의 양액흡수는 일사량 변화와 관계없이 단위 일사량당 흡수량이 80-100mgㆍMJ$^{-1}$까지 증가 후 일정하게 유지되어 양액흡수 지표는 전체 양액흡수량보다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이 더 적합하였다(Fig. 1). 오이의 엽장$\times$엽폭 수치와 실측 엽면적과의 관계는 Y=-16.87+0.987x+5E-5x$^2$의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으며 $r^2$=0.89의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NO$_3$$^{-}$ -N의 흡수량은 초기에 3mgㆍMJ$^{-1}$에서 후기 16mgㆍMJ$^{-1}$로 상승하였고 Ca는 초기에 3mgㆍMJ$^{-1}$에서 후기에 14mgㆍMJ$^{-1}$로, Mg는 초기에 1mgㆍMJ$^{-1}$에서 후기에 5mgㆍMJ$^{-1}$로 증가되었으나, 정식 후 62일 이후의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K는 초기에 5.0mgㆍMJ$^{-1}$에서 후기 18mgㆍMJ$^{-1}$로 증가되었으나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오이의 하엽 제거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P는 초기에 0.5mgㆍMJ$^{-1}$에서 후기에 3.2mgㆍMJ$^{-1}$로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S는 초기에 0.5mgㆍMJ$^{-1}$에서 중기에 6.5mgㆍMJ$^{-1}$까지 증가되다가 후기에 2.7mgㆍMJ$^{-1}$로 감소되었다(Fig. 2). 오이의 각각의 무기이온 흡수량과 가장 상관이 높았던 요소는 정식일수와 엽면적이었으며 이 두 요소와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과는 $r^2$=0.92, 0.97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Table 1).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각각의 무기이온 흡수량 회귀식은 $r^2$=0.8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실용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Fig. 3).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bilizing Effect of Anchors against Sliding (사면에 설치된 앵커의 활동억지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Song, Young-Suk;Hong, Won-Py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3C
    • /
    • pp.171-180
    • /
    • 2006
  • To investigate the stabilizing effect of anchors against sliding, a series of the model test was carried out. An apparatus was developed to perform the model test of the slope reinforced by anchors. An instrumentation system has been applied on the anchors to measure the axial force during slope failure. The maximum stabilizing effect is revealed about 0.5% of the area ratio. The initial loss of anchor force is represented about 24% of initial jacking force. This result is equaled to the proposed range(10%~25%) of the field test result(Yun, 1997). The effective jacking force corresponds to 70% of the initial jacking force. Therefore, the initial jacking force should be determined more than 30% of the design jacking force. As the initial jacking force becomes increase, the reinforced slope is transferred to brittle failure behavior due to increasing the density of slope soils.

비대칭 전극 구조를 갖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의 방전 특성과 전력 소비 모드 전이에 관한 연구

  • Lee, Su-Jin;Lee, Hyo-Chang;Bang, Jin-Yeo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2-222
    • /
    • 2011
  •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널리 쓰이기 때문에 그 방전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유사한 면적을 갖는 전극 구조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전극의 면적 차이가 매우 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 방전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전력 소비 모드 전이와 플라즈마 밀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가 전력 또는 방전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플라즈마에 전달된 전력은 초기에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점차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방전 저항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의 전이를 보였다. 전달 전력과 방전 저항의 변화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 초기에는 대부분의 전력이 플라즈마 내의 전자에 의해 소비되다가 점차 쉬스 내의 이온의 가속 에너지로 소비되는 전력 소비 모드 전이에 의한 것이며, 이로 인해 플라즈마 밀도는 처음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다가 그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방전 특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아르곤 압력 범위에서 인가 전력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실험하였으며, 스퍼터, 에칭 등 산업용 플라즈마 공정에서 최적의 방전 조건 형성을 위해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 PDF

방제포커스 - 외래 잡초 발생 및 방제전략(12) - 토끼풀 -

  • Lee, In-Yong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1
    • /
    • pp.42-43
    • /
    • 2009
  • 줄기가 땅 위를 기면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특히 운동장이나 골프장 등의 잔디에서는 문제가 심각하다. 발생초기에는 호미 등 손으로 제거하여도 되나 발생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제초제로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Calculation Method for Nominal Area of Rock Core Specimen During Direct Shear Test (암석코어시편의 절리면 직접전단시험을 위한 겉보기 면적 계산방법)

  • Kang, Hoon;Park, Jung-Wook;Park, Chan;Oh, Tae-Min;Cho, Jung-Wo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30 no.6
    • /
    • pp.551-558
    • /
    • 2020
  • This note presents the calculation of nominal area for rock core specimen under direct shear testing condition. The initial nominal area was assumed as ellipsoid, and the equations for calculating the nominal area are derived. The normalized shear displacement and normalized nominal area have an identical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ellipsoid shape. New testing constants and the generalized method were suggested to calculate the decrease of the nominal area. The method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direct shear testing data and the changes of result were discussed.

A Study on Relation between the Fuel Mass Flux and the Oxidizer Mass Flux with the Initial Port Diameter in Hybrid Rocket (하이브리드 로켓에서의 초기 포트직경을 고려한 산화제 유속과 고체연료 유속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Lee, Jung-Pyo;Cho, Sung-Bong;Yoon, Sang-Kyu;Park, Su-Hayng;Song, Na-Young;Kim, Gi-Hun;Cho, Jung-Tae;Sung, Hong-Gye;Moon, Hee-Jang;Kim, Jin-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43-247
    • /
    • 2007
  • Fuel mass flux was experienced with a function of the oxidizer mass flux using initial port area of solid fuel, in stead of regression rate correlation which shows combustion characteristic in hybrid propulsion. The burning rate could be easily obtained by using the oxidizer mass flux of initial port area without iteration, and fuel configuration could be designed simply. In this experiments PE was used as fuel, COX was used as oxidizer. A variation of mass flux of solid fuel with port area is considered by changing the burning time. In the case of approximate 0.5 for an exponent of oxidizer mass flux, using the fuel mass flux correlation is more suitable than regression rate correlation in hybrid propulsion.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of flooded area in rural watershed using runoff characteristics and inundation DB (농촌유역에 대한 SWMM모형의 유출특성과 침수DB를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Sung-Hwan;Chun, Soo-Bin;Choi, Ji-Hy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는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면적 예측을 위하여 1차원 유출모형의 유출특성을 이용하여 침수면적 예측방법의 최적화이다. 2017년 강우의 초기강우와 첨두강우 특성을 적용한 경우에 정확한 침수면적 추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한 바가 있다. 이러한, 결과에 추가적으로 SWMM 모형의 유출결과 자료의 특성인자를 이용하여 침수DB를 선택한 경우에 침수면적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유출결과의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SWMM 모형의 노드별 유출결과의 특성인자 변화를 분석하여 침수DB에서 실제 침수면적 선정방법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방법을 이용하여 유출결과 자료 특성인자를 이용한 최적의 침수DB 선정방법을 돌출하였다. 강우 특성 인자에서 침수DB를 선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강우유출모형의 모의결과를 이용한 경우에 약 6,000여개 노드를 기준으로 5~10분의 모의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실시간 침수 DB 선정에는 어렵지만, 준실시간 실제 유출량을 고려한 침수DB 선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강우특성 도출에 따라 1차적으로 침수DB를 선정하고, 강우유출모형의 유출 특성에 따라서 2차적으로 침수DB를 선정한다면, 예경보 시스템에서 대응시간 확보와 예측 정확도 유지에 긍정적인 방안으로 도입될 수 있을 것이다. 침수DB 구축은 많은 침수면적 산정연구에 이용하였던 TUFLOW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DB를 구축하였다. SWMM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을 모의하고, 침수면적을 TUFLOW를 이용하여 구축한 다양한 호우사상에 대한 침수DB를 이용하여 준실시간 침수면적 예측하는 방법은 향후, 예경보 시스템 구축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DF

The Effect of Initial pH and Dose of $TiO_2$ on Chloroform Removal in Photocatalytic Process using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Reactor System (CPCs를 이용한 $TiO_2$ 광촉매반응공정에서 초기 pH와 촉매농도가 클로로포름 분해에 미치는 영향)

  • Cho, Sang-Hyun;Cui, Mingcan;Nam, Sang-Geon;Jung, Hee-Suk;Khim, Jee-H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12
    • /
    • pp.1147-1153
    • /
    • 2010
  • To evaluate the solar photocatalytic degradation efficiency of chloroform in a real solar-light driven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s (CPCs) system, $TiO_2$ was irradiated with a metalhalide lamp (1000 W), which has a similar wavelength to sunlight. The results were applied to a pilot scale reactor system by converting the data to a standardized illumination time. In addition, the effects of initial pH and the $TiO_2$ dose o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oform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pecific surface area (S.S.A) and particle size of $TiO_2$, which changed according to the pH,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S.A, particle size and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oform.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pH 4~7 using 0.1, 0.2, 0.4 g/L of $TiO_2$. The particle size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iO_2$ were measu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However, pH affect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iO_2$. Inaddition, the activation of a photocatalyst did not show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iO_2$ i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oform.

Ellipse Fitting Algorithm using Improved fuzzy C-means Method (개선된 퍼지 C-means 기법을 이용한 타원추출 알고리즘)

  • 이중재;김계영;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98-600
    • /
    • 2002
  • 영상에서 타원을 추출하는 것은 얼굴 인식, 홍채 인식과 같은 컴퓨터 비전분야에서 인식할 영역을 찾는 방법으로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퍼지 C-means 기법이 초기의 클러스터 개수와 중심 값에 따라서 결과가 민감하다는 단점을 보완한 개선된 퍼지 C-means 기법을 타원 추출에 적용한다. 이것은 영상 분할(Segmentation)로부터 후보 초기 클러스터 개수 및 초기 클러스터 중심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이 기법으로 영상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타원 영역 추출에 필요한 타원 후보 영역의 최소 인접 사각형(Minimum Enclosed Rectangle)을 찾아낸다. 이렇게 찾아진 최소 인접 사각형에 대해서 면적에 맞는 초기 타원들을 영역 내에 설정한 뒤 적합도(fittness)검사를 기반으로 한 타원 검증을 실시하고 적합도가 높은 영역을 타원 영역으로 추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