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trient and Water Uptake of Cucumber Plant by Growth Stage in Closed Perlite Culture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생육단계에 따른 오이의 양수분 흡수 특성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순환식 펄라이트 재배에서 오이의 양액흡수는 일사량 변화와 관계없이 단위 일사량당 흡수량이 80-100mgㆍMJ$^{-1}$까지 증가 후 일정하게 유지되어 양액흡수 지표는 전체 양액흡수량보다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이 더 적합하였다(Fig. 1). 오이의 엽장$\times$엽폭 수치와 실측 엽면적과의 관계는 Y=-16.87+0.987x+5E-5x$^2$의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으며 $r^2$=0.89의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NO$_3$$^{-}$ -N의 흡수량은 초기에 3mgㆍMJ$^{-1}$에서 후기 16mgㆍMJ$^{-1}$로 상승하였고 Ca는 초기에 3mgㆍMJ$^{-1}$에서 후기에 14mgㆍMJ$^{-1}$로, Mg는 초기에 1mgㆍMJ$^{-1}$에서 후기에 5mgㆍMJ$^{-1}$로 증가되었으나, 정식 후 62일 이후의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K는 초기에 5.0mgㆍMJ$^{-1}$에서 후기 18mgㆍMJ$^{-1}$로 증가되었으나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오이의 하엽 제거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P는 초기에 0.5mgㆍMJ$^{-1}$에서 후기에 3.2mgㆍMJ$^{-1}$로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S는 초기에 0.5mgㆍMJ$^{-1}$에서 중기에 6.5mgㆍMJ$^{-1}$까지 증가되다가 후기에 2.7mgㆍMJ$^{-1}$로 감소되었다(Fig. 2). 오이의 각각의 무기이온 흡수량과 가장 상관이 높았던 요소는 정식일수와 엽면적이었으며 이 두 요소와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과는 $r^2$=0.92, 0.97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Table 1).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각각의 무기이온 흡수량 회귀식은 $r^2$=0.8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실용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Fig. 3).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