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화재성상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Typical Live Fire Load in Large Bookstore (대형서점 적재가연물의 초기 연소발열성상)

  • Nam, Dong-G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2
    • /
    • pp.88-94
    • /
    • 2011
  •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live fire load are an important parameter for performance oriented fire safety design of a building. While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fire load and its burning behavior in office,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and so on, little effort has been paid for the rational treatment of fire load in bookstore. In this report, burning behavior of typical combustible objects in bookstore are studied by measuring heat release rates of bookshelf with book. Based on the results, it has reviewed fire safety when a fire accident occurs on the large bookstore and suggested peak heat release rate per burning surface, fire growth rate, etc of the live fire load required for fire safety design in bookstore.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Fire Propaga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of building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 확대 모델 조사)

  • Lee, Rang;Kim, Dong-Eun;Lee, Jae-Won;Hong, Hae-Ri;Kim, Dong-J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61-66
    • /
    • 2011
  • 본 연구는 건축구조물의 내장재 및 실내장식물 등의 연소 성상 DB를 바탕으로 화재 성상을 예측할 수 있는 기존 모델인 칼슨모델(B.Karlsson) 및 퀸티어리모델(J.G.Quintiere)을 비교, 분석하여 그 절차 및 차이점 등을 분석한 후 국내 가연물 연소성상 DB를 토대로 개구조건 및 건물구조 등을 고려한 화재성상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자료이다. 조사 결과 칼슨모델과 퀸티어리모델의 차이점은 우선 초기 착화영역과 착화의 판단 및 연소면적 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향후 이를 기초로 실험 결과와 대비를 통한 분석을 수행 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Remote Controlled Fire Monitor for Plant-Only Smart Fire Monitoring (플랜트 전용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연동 방수총에 관한 연구)

  • Choi, Doo-Chan;Yang, Min-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79-8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풍량, 풍향, 보관물질, 시설물의 위치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 플랜트 시설물의 상황별 화재 성상을 분석하여 화재진압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이를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구현을 위한 아키텍처 시스템을 설계하여 화재 초기상황에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을 통해 방수총을 빠르게 동작시킬 수 있다. 플랜트 시설 화재 시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과 연동된 방수총의 동작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며 화재 취약지점에 거점타격방식으로 방수하고자 한다

  • PDF

A Full-scale Fire Test of a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실물화재 실험)

  • Kim, Myung-Bae;Han, Yong-Shik;Choi, Byung-Il;Do, Kyu-Hyung;Lee, Yu-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415-422
    • /
    • 2009
  • 국내 저층 공동주택 화재시의 화재 전파 경로와 상층으로의 화재 전파를 살펴보기 위하여 4층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실물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재는 3층 주택에서 발화하는 것으로 하였고, 초기 화원은 주방에서 과열된 식용유에 발화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하였다. 주택 내부 가연물은 일반 가정의 필수 가연물을 모두 포함 하였다. 내부 화재 성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시화, 주요부의 온도측정, 산소농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화원의 발화 시간, 화재 층 내부 각 구획으로의 전파시간, 전역화재 발생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상층으로의 연소확대 경로를 파악하였다.

  • PDF

퇴적 목분의 훈소성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 염민선;강민호;정국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9-114
    • /
    • 1997
  • 훈소 또는 무염연소는 출화까지의 화재 초기의 성상을 특정지울 뿐만 아니라, 화재의 성장기에서도 일어나는데, 이에 따라 다량의 연기와 함께 고체 가연물의 낮은 온도에서 표면반응이 계속되므로, 유기질 고분자 분체의 다량의 가연성분 및 유독성을 갖게 되어 인적ㆍ물적 피해를 초래 할 수 있다. (중략)

  • PDF

A Prediction study on the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 for Fire Safety Assesment of PBD(1) (성능적인 화재안전성평가를 위한 주요가연물의 화재성장율 예측에 관한 연구(1))

  • Seo, Dong-Goo;Kim, Dong-Eun;Kim, Bong-Cha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9-132
    • /
    • 2012
  • 본 연구는 건축물의 초기화재성상의 주요인자인 화재성장율 예측을 위하여, 일본 송산(松山)모델을 사용하여 예측값을 도출한 결과, 화재성장율은 $0.0144t^2$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실규모실험(ISO-9705)와 FDS 해석값과 비교한 결과, $Q_{peak}$을 고려한다면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지만 약100초 이상의 결과에서는 환기인자 등에 관한 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Forecast Study on the Fire Growth Rate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for Fire Safety Design in Building (건축물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주요가연물조사 및 화재성장율 예측에 관한 연구)

  • Seo, Dong-Goo;Kim, Dong-Eun;Kim, Bong-Cha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3-135
    • /
    • 2012
  • The Fire growth rate(kW/s2) is significant impact on initial fire behavior in fire safety design of buildings. As a result of domestic existing combustibles, this study analyzed considering matters in techniques for calculating caloric values, and then made an investigation sheet. By utilizing written combustion sheets, the study could suggest a standard model at common houses and dense ones after getting caloric value information in dense ones. As a result, fire growth rate is experiment 1(0.01), experiment 2(0.0048), FDS(0.0072), MATSUYAMA equation(0.0144).

  • PDF

Relation Between Explosive Spalling and Pore Stucture of High-Strength Concrete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성상과 공극구조와의 관계)

  • Kim, Dong-Joon;Lee, Jae-Young;Harada, Kazunori;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89-93
    • /
    • 2011
  • 본 연구는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성상과 공극구조와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변수는 양생방법, 압축강도, 공극구조로 설정하였으며, ISO834 화재온도이력곡선을 15분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초기 폭렬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50 MPa급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체의 경우, 가열 이후에도 $0.05{\mu}m$ 이하의 공극이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열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는 고강도화될수록 공극이 세공화 되어 탈수 현상이 지연되는 것을 도출 할 수 있었다.

  • PDF

The Real Scale Fire Test for Unit Space in Apratment housing (공동주택의 단위공간 실물화재실험)

  • Yoo, Yong-Ho;Kweon, Oh-Sang;Kim, Heu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346-3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단위공간별 화재 성상을 예측하기 위한 실물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성된 실물화재모델은 비교적 가연물량이 많은 침실과 화재 발생 위험도가 높은 주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모델에 구성된 단위품목은 일반주택의 가연물을 선조사 한 후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침실의 경우 점화 후 약 5분이 경과되었을 때 플래쉬오버 상태에 이르게 되어 매우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며, 최대 열방출율 약 7433.3 kW, 최대 일산화탄소 578.6 ppm, 최대 이산화탄소 1.25ppm, 내부 최대온도 1350$^{\circ}$로 측정 되었다. 특히, 화재 발생 초기에 가연 공간에서 화재의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약 3분 내에 인체에 급격한 피해를 줄 수 있는 한계온도 이상으로 화재가 성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물화 재실험에서 얻어낸 결과는 향후 화재확대 예측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각 용도별 공간에서의 화재 확산 예측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Full-scale Fire Test of a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실물화재 실험)

  • Kim, Myung-Bae;Han, Yong-Shik;Choi, Byung-Il;Do, Kyu-Hy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4
    • /
    • pp.104-111
    • /
    • 2009
  • To research about the fire spread in Korean apartment house, a full-scale fire test in a four-story apartment was executed. The fire started at the third floor, and originated from overheated cooking oil in the kitchen. The apartment included all combustibles in general house. Through 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nd observing, we investigated the fire spread inside the apartment house. As a result, we got the data of the time needed for the initiation of fire, the time for fire to spread into each area in the house, and the time required until flash-over was seen. Also we grasped the understanding of the fire spread to the upper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