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우수 처리

Search Result 475,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the Effect of Stormwater Treatment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Reservoir (초기우수처리에 따른 소규모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 수치모의)

  • Ye, Lyeong;Liu, Huan;Lee, Heung-Soo;Kim, Yu-Kyu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64-2068
    • /
    • 2007
  • 합류식 하수도는 오수와 우수를 동시에 배제하는 하수관거 시스템으로 시공이 쉽고 건설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강우시 차집되지 않고 월류되는 유출량으로 인해 수체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관거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는 강우 초기에 유역에서 집중적으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과 하수 및 관거내 오염물질 등을 동반하여 수질 개선을 어렵게 하고 수질 악화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역에 설치된 합류식 하수관거를 분류식으로 개선하고 강우시 초기 세척에 의해 유입하는 비점오염원을 삭감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M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를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저수지의 수질예측은 횡방향 평균 2차원 저수지 수리 및 수질모델인 CE-QUAL-W2를 사용하였다. 저수지 유입량은 군산기상대에서 관측한 일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댐 방류량 자료는 M저수지의 2006년 일별 관측수위를 이용하여 유입량과 수위-체적 곡선으로부터 산정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05년 5월과 8월에 측정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저수지의 관측값과 모의결과는 저수지 중앙부 대표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델은 관측값을 잘 반영하였다. 모의 결과 M 저수지의 연평균 BOD농도는 합류식(1.25 mg/L)에 비해 분류식 하수 관거(0.91 mg/L)를 도입할 경우 27.2% 개선되었으며, 초기우수 처리시설(0.84 mg/L)을 추가 할 경우 32.8%까지 개선효과가 상승하였다. 기존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연간 유출부하량은 7,713 kg/yr이었으며, 분류식으로 전환할 경우 2,256 kg/yr, 초기우수처리시설을 추가할 경우 902 kg/yr로 삭감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분류식하수관거와 초기우수처리를 모두 이행할 경우, BOD와 COD 기준이 호수 수질 기준 II등급 이내로 유지되며, T-P 농도는 0.02mg/L 이하로 유지되어 6월 이후 여름철에 저수지내 조류성장 억제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통해 M 저수지는 기존의 농업용 저수지의 목표수질뿐만 아니라, 친수공간으로써 적합한 II등급 수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ssessment of impact on Pollution load in First-flush Overflows in Jungnangcheon (초기우수월류가 중랑천 오염부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 Shin, Jea Whan;Jang, Suk Hwan;Jo, Jun Won;Park, Se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4-334
    • /
    • 2020
  • 우리나라는 서울지역과 수도권 위성도시의 인구분포가 집중되어있으며, 도시지역에 대한 관거 우선 확충에 따라 하수처리구역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초기우수월류에 의한 오염은 비점오염원의 경우로, 발생 및 배출경로가 다양하고 불특정하게 발생한다. 비점 오염원의 유출 농도는 강우 초기에 높게 나타나고, 점차 농도가 낮아지는데, 이러한 강우 특성을 고려하여 오염발생량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랑천 의정부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부하를 하수도법 관리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대상 강우량을 산정하고 강우분포형 및 토지이용도 현황별로 초기월류유량 및 부하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WMM(Strom Water Management Moder)모형을 적용하여, 매년 홍수기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강우분포를 고려하여 대상유역의 토지용도별 합류식 처리구역에 대하여 SWMM 모형의 검·보정 절차를 통해 예측값과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의정부 지역의 초기우수월류 오염부하량의 토지용도에 따른 경향성과, 강우량 및 강우분포, 배수면적에 따른 경향성을 비교하였다.

  • PDF

Design Technique of First Flush Treatment System Using Waterside Land (제외지 지하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설계기술)

  • Seo, Dongil;Koo, Young Min;Kim, Jaeyoung;Kim, Byung R.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2-652
    • /
    • 2015
  • 도시유역의 소하천은 불투수 면적의 증가 및 우수관거의 설치로 인해 오염물질 및 강우의 유달률이 증가한 반면 침투 및 저류 기능의 감소로 인해 지하수위가 저하되어 비강우시에 현저하게 유량이 감소되어 하천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유역에 저영향개발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은 과다한 면적을 필요로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시유역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의 유량과 수질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하천 제외지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초기 우수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도시유역에서 강우에 의해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소위 초기세척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침전시스템을 설치하고 및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형 여과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여과 시스템에서 섬유필터를 이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침전 및 여과시스템에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시 소하천의 유량에 따라 방류를 조절함으로써 도시 하천의 건천화 감소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적용 결과와 자동모니터링 스시템을 활용하는 종합설계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범 유역에 SWMM을 구축하고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 및 SWMM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연구대상 지역에서 처리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초기우수유출량의 적정량은 초기강우 4시간 또는 6 mm의 누적강우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현장의 지형여건에 따라 시스템의 설계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Filter Box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Filter Box 개발 및 효과분석)

  • Moon, Young-Il;Kang, Dong-Ho;Yoon, Sun-Kwon;Park, Gu-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5-305
    • /
    • 2011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 또는 계절간 배출량의 변화가 커서 예측의 정량화가 어려워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도시유역의 경우 인구증가와 도시개발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우기시에 오염물질이 빗물과 더불어 하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에 대한 하천 수생태계 보호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우수와 더불어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저감을 위하여 도로 집수구에 차집된 우수를 여러 개의 사층을 통과시켜 여과, 흡착 하는 방법으로 침투 배출시키는 Filter Box를 개발하였고 초기강우와 지속강우에 대한 여과실험을 통하여 배수에 따른 여과 처리 및 비점오염 처리효율을 분석하였다. Filter Box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 분석결과 BOD, T-N, T-P, 중금속 등이 약 70~90%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우수 발생유량 7mm 기준 30분 이내에 여과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Filter Box 시공에 따른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제거와 더불어 도심지역 지하수위 증가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tormwater Retention and Treatment in Waterside Land for Urban Stream Environment (도시 하천 환경 관리를 위한 제외지 초기 강우 처리 및 저류 시설 종합 관리 시스템 개발)

  • Yin, Zhenhao;Koo, Youngmin;Lee, Eunh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2
    • /
    • pp.126-135
    • /
    • 2015
  • Increase of delivery effect of pollutant loads and surface runoff due to urbanization of catchment area results in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receiving urban strea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grated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to assist efficient urban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control using information from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real time water level and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or automatic treatment facility control system. Based on field observations in the study site, most of the pollutant loads are flushed within 4 hours of the rainfall event. SWMM simulation results indicates that the treatment system can store up to 6 mm of cumulative rainfall in the study catchment area, and this means any type of normal rainfall situation can be treated using the system.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mount and fill time were developed for various rainfall duration for operation of stormwater treatment system in this study. This study can further provide inputs of river water quality model and thus can effectively assist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urban catchment and streams.

Improving PET Bottle Image Classification Model Performance via Preprocessing (전처리를 통한 페트병 이미지 분류모델 성능 개선)

  • Dong-hy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473-474
    • /
    • 2023
  • 잘못된 분리수거는 다른 재활용 폐기물의 재활용을 제한한다.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분리수거를 위해 페트병 라벨 유무 분류 모델을 구현했다. 초기 모델의 낮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줄이는 편집을 거치고 데이터 증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 개선 작업을 진행하여 과적합을 피하면서 더 나은 성능을 도출했다. 최종 모델은 초기 모델보다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실제 활용 면에서는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이는 학습 데이터의 질과 데이터양의 부족에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First flush modeling of the radial type surface runoff and a placement strategy for stormwater inle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 flush treatment in a small impervious catchment (방사형 강우 유출의 초기세척 모의 및 소규모 불투수 배수구역에서의 초기우수 처리효과 상승을 위한 집수시설 배치 방안)

  • Kang, Joo-Hyon;Lee, Dong Hoon;Kim, Jin Hwi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375-382
    • /
    • 2017
  • In this study, general characteristics of dynamic behavior of stormwater runoff from a small impervious catchment was investigated from a series of simulations for a radial type surface runoff.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a better placement strategy for stormwater inlets to improve performance of a struc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was suggested. The degree of pollutant first flush from an ideal radial type impervious catchment was simulated using a 1-D diffusion wave equation coupled with a pollutant transport eq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flush of the chemical oxygen demand was the strongest when the catchment length ranged 30-50m at a bed slope of 0.02.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required degree of the first flush can be intentionally obtained by just changing the locations and numbers of stormwater inlets, and thereby adjusting the catchment length. Particularly,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structural BMP in reducing pollutant load can be improved by placing the stormwater inlets at locations for obtaining a required first flush strength.

Date Mining for eCRM using Mixture Initialization of Genetic Algorithm (유전자알고리즘의 혼합 초기화법을 이용한 eCRM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 Kang, Rae-Goo;Lim, Hee-Kyoung;Jung, Chai-Ye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05-308
    • /
    • 2006
  • 고객관리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면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고객의 다양한 Pattern을 발견하고 예측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CRM과 eCRM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고 Data Mining 기법이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ata Mining을 적용함에 있어서 Genetic Algorithm의 무작위 초기화법과 유도된 초기화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새로운 집단 초기화 방법을 적용하여 A할인점의 2004년도와 2005년도 우수고객을 예측하였고 실제 고객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집단 초기화 방법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Effect of Nonwoven Fabrics Materia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Korea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보온부직포 재료가 참외의 생육 및 수량이 미치는 영향)

  • Shin, Yong-Seub;Lee, Ji-Eun;Yeon, Il-Kweon;Cheung, Jong-Do;Choi, Seong-Yong;Lee, Ki-D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8 no.2
    • /
    • pp.101-106
    • /
    • 2009
  • To study the effect of nonwoven fabric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korea melon, Medium denier nonwoven fabrics (MDNF), Polyster nonwoven fabrics (PENF) and 12 ounce nonwoven fabric (control) were used. Mean temperature at night was 13.1$^{\circ}C$ at control, 14.7$^{\circ}C$ at MDNF and 13.3$^{\circ}C$ at PENF from Feb. 6${\sim}$7, 2009. Because of higher temperature, early growth of korea melon of MDNF was better than control at 30 days after transplanting. Days required to harvesting (DRH) of control was 89, those of PENF and MDNF were 88, 78, respectively. First harvesting of MDNF was 11 days earlier than control. Harvested fruit of MDNF had higher weight, soluble solid and marketable fruit ratio than control. Yield ratio of control and PENF was 4:3:3 (early:middle:late harvesting season), but MDNF was 5:3:2. Using of MDNF provided earlier harvesting. Total yield of PENF was similar to control, 1,844kg per lOa, MDNF was increased by 9%.

Minimizing Initial Latency in Video Storage Servers (비디오 저장 서버의 초기 대기시간 감소 방법)

  • 조창식;마평수;진윤숙;신규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623-625
    • /
    • 1999
  • 초기 대기시간의 감소는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수의 최대화와 함께 비디오 저장 서버가 상용 서비스에 사용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 디스크의 부하가 균형을 이루고, 새로운 사용자의 디스크 읽기 요구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 초기 대기시간이 일정 시간을 넘지 않도록 하는 디스크 배치 방법과 스케쥴링 방법을 제안하고,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변수들의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우수한 성능 향상이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