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과침투량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nhancement of runoff estimation module in SWAT (SWAT 모형의 유출성분 계산 모듈의 개선 및 효과분석)

  • Kim, Nam-W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50-1354
    • /
    • 2010
  • SWAT 모형에서는 토양수량을 고려하여 유출곡선지수법에 따라 지표유출량과 침투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침투량이 토양수대가 받을 수 있는 최대용량인 토양수 최대보수용량(soil water capacity)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을 강제적으로 토양수량에 더해지도록 처리하고 있다. 즉, 초과침투량이 연직 아래로만 유입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경사가 매우 완만한 경우에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국내 유역에서와 같이 비교적 유역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지표유출량이 작게 계산될 수 있으며 특히 집중호우시 강우에 대한 유출 응답이 둔감하게 모의되어 홍수기 큰 강우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하는 유출량을 잘 모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 큰 강우에 대해서 유출량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초과침투량 재분배 모듈($\underline{R}$edistributing $\underline{EX}$cessive $\underline{INF}$iltration module, 이하 SWAT-REXINF)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토양층의 보수능을 초과하는 침투량 처리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지표유출의 집중시간과 토양수의 침루 유하시간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초과침투량을 분배하여 지표유출량과 침투량에 할당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개발 모듈 SWAT-REXINF을 기 개발한 시간가중평균 유출곡선지수법에 의한 지표유출계산법과 접합-분리 방식의 토양층 구조화 기법 등의 유출계산 개선 기법과 접목하여 그 효과를 충주댐 유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간가중평균 유출곡선지수법에 의한 지표유출계산법과 접합-분리 방식의 토양층 구조화 기법 등 다른 유출 개선 기법과 혼용하여 적용할 경우에는 지표유출량이 약 2배 증가, 첨두유량은 20~50% 증가하는 등 개선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모형 개선으로 인해서 강우량에 대한 유출량의 응답 민감도를 증가시켜 유출수문곡선의 증감을 보다 용이하게 모의할 수 있고 정확도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Offer of a Procedure Calculating Hourly Rainfall Excess by Use of Horton Infiltration Model in a Basin (유역 단위 Horton 침투모형을 적용한 시간단위 초과우량 산출 절차 제시)

  • Yoo, Ju-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6
    • /
    • pp.533-541
    • /
    • 2010
  • It is basic for a flood prediction to calculate direct runoff from rainfall in a basin by the rainfall-runoff model. The direct runoff is calculated from rainfall excess or effective rainfall based on a rainfall-runoff model. The total rainfall minus rainfall loss equals rainfall excess with time. This loss can be treated equal to an infiltration los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filtration is a major one among the losses in the rainfall-runoff model. Practically obtaining the infiltration loss $\Phi$ index method, W index method or modified ones of these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e loss of rainfall in a basin be a well-known Horton infiltration mechanism. And in case that the parameter set is given in the Horton infiltration model a procedure and assumption for calculating hourly infiltration loss and rainfall excess are offered and the results of its application are compared with those of $\Phi$ index method. By this study it is well shown the value of Horton infiltration function is exponentially decay with time as the Horton infiltration mechanism.

Green-Ampt 방법에 의한 강우침투모형

  • Jeong, Seong-Won;Kim,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1.07a
    • /
    • pp.144-15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유출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유역의 제반특성을 고려하여 시간에 따라 강우강도가 변화하는 부정강우사상(unsteady rainfall)에 대한 침투량과 초과우량을 산정하는 강우침투모형을 유출모형의 부프로그램으로서 개발하였다. 과거에 제안되었던 침투량 산정방법을 조사하여 강우침투모형을 구축하는데 적합한 침투량 산정 방법으로서 Chu가 제안한 단층균질토양의 유역에서 부정강우사상에 대한 침투량을 산정하는 Green-Ampt 변형방법을 선정하였다. Green-Ampt 방정식의 매개변수인 토양수분부족량의 추정에 필요한 토양수분함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단순선행토양수분모형을 응용하여 토양수분의 변화를 추정하였으며 지표면에서의 담수 유무에 따라서 침투량과 초과우량을 산정하고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적용대상유역의 강우자료와 Green-Amp 방정식의 매개변수 추정치를 사용하여 계산된 유출량과 실측유출량을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PDF

A Presentation of a Procedure Calculating Rainfall Excess in Discrete Time by Use of Horton Infiltration Model in a Basin (유역 단위에 Horton 침투모형에 의한 이산시간 단위 초과우량 산출 절차의 소개)

  • Yoo, Ju-Hwan;Yoon, Ye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89-89
    • /
    • 2011
  • 한 유역에서 유출 모형의 성공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강수 손실량(precipitation loss)을 결정하는 것이다. 손실량은 홍수 예측이나 수자원 평가를 위한 유출 모형의 주요 입력 자료가 된다. 만족할 만한 유출 모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손실량의 정확한 평가가 요구된다(Najafi, 2003). 총 강우량 중에서 손실량을 뺀 초과 강우량 또는 유효 강우량은 치수적 측면이든 이수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직접 유출량(direct runoffs)에 상당하는 규모로서 유출 모형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제까지 많은 경우에 직접 유출되는 유효 강수량은 총강수량에서 주요 손실량 성분인 침투량을 감하여 산출하여 왔다. 이 때 침투량은 호우사상별로 적게는 유출량의 30%에서 많게는 100%까지 차지할 만큼 주요한 손실 성분으로 취급되었다(Chow, 1964 ; Singh, 1989). 침투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존 모형내 포함되는 매개변수 값은 실용적으로 잘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출 모형에 실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침투량 산정 모형 중에 Horton 모형은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모형 중 하나이다(Horton, 1939 ; 1940). 후속 성과(Blake et al., 1968; Rawls et al., 1976)은 있었지만 모형내 매개변수 값을 결정해야 하는 실용상의 어려운 점이 있다(Singh, 1989). 그리고 국내 초과 강수량 산출 모형에 관한 연구사례가 다수(조홍제,1986; 남선우와 최은호, 1990; 정성원과 김승, 1991; 안태진 등, 2000; 박햇님과 조원철, 2002; 유주환, 2006) 있었지만 시간적으로 연속함수를 갖는 Horton 침투 모형을 실무적으로 이산화 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절차 및 원칙이 제시되지 않아 유출 모형에 직접 적용하기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한 유역에서 Horton 매개변수를 결정한 기존 연구(2006, 유주환)의 성과를 적용한 Horton 침투모형을 강수사상별 이산화한 시간별로 적용하는 절차와 적용 원칙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Modification of Surface Flow Analysis Algorithm in SWAT (SWAT 모형의 지표유출해석 알고리즘 개선)

  • Lee, Jeongwoo;Kim, Nam Won;Lee, Jeong 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3
    • /
    • pp.417-426
    • /
    • 2016
  • SWAT model usually underestimates daily peak discharges. To re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the algorithm related with the surface flow simulation was modified by partitioning excessive infiltration based on the relative length between overland flow time of concentration and percolation travel time in soil water zone and by computing time of concentration varying with the amount of surface flow. The modified SWAT was applied to the Chungju dam watershed to assess the increasing effects of daily peak discharges. The daily peaks simulated by the modified SWAT were on average 10% higher than those by original SWAT for the peaks above $5,000m^3/s$. The modified SWAT was found to be able to more accurately reproduce daily peaks, particularly showing increase rates of 9.9%, 18.6% and 12.6%, respectively, for top three peaks that occurred in the years of 1990, 2002, and 2006.

Study on the Water Penetration in Mortar by Water Pressure (수압에 따른 모르타르내 수분침투에 관한 연구)

  • Yoo, Jo-Hyeong;Lee, Han-Seung;Cho, Hy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505-508
    • /
    • 2008
  • Concrete is a type of porous materials and is physically and chemically damaged due to exposure to various environments from the placing to the service life. These reactions affect the corrosionof steel bars applied in concrete and that decreases the durability life and strength of such steel bar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insert rust inhibitors into steel bars in the case of a deterioration element that exceeds the critical amount of corrosion in the location of steel bar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guarantee corrosion resistance at the location of steel bars using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applies corrosion inhibitors only on the surface of concrete.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ethod that penetrates corrosion inhibitors up to the location of steel bars and investigate the penetration depth of corrosion inhibitors by verifying moisture migration in concrete under an applied pressure.

  • PDF

산지유역의 초과우량 추정 모형

  • 남선우;최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0.07a
    • /
    • pp.49-52
    • /
    • 1990
  • 강우강도가 큰 집중호우가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강우량중 상당 부분이 수문학적 손실성분인 침수, 증발산, 차단 및 저류등으로 시간에 따라 분포된다. 이 가운데 지표면에 분포된 식생계 및 낙엽등에 의한 차단(canopy interception effect)과, 지표가 포화시의 증발산(wetted environmental evapotranspiration) 및 각종 저류, 즉 지표면 저류(depression storage), 지표토양층에의 저류(retention storage) 성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각 손실성분은 직접유출로 나타나는 초과우량의 발생시간을 지체시켜 주는 역할을 하나 차단성분 및 저류성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결국은 증발산 또는 침투성분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침투성분은 초과우량 추정에 매우 큰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지표면 아래의 흙의 변형을 야기시키며, 중간유출 및 지하수유출에 기여 한다. 대부분의 호우사상은 강우초기에 강우강도가 지표 흙의 침수계수(hydraulic conductivity)보다 작기 때문에 모두 각 손실성분에 의해 손실되며, 강우강도가 점차 커져 침수능을 초과하면 지표면에 순간적으로 물이 고이게 되는데 이것을 지표심수(surface ponding)라하고, 강우시작부터 이 때까지가 침수시간(ponding time)이 된다. 이 지표침수가 나타나는 순간이 곧 직접유출 시작 시간으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침수시간은 지표면의 물수지면에서 볼 때 초기손실량 및 침수율 결정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손실 성분별로 유역의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구한 매개변수로부터 시간에 대한 손실율을 결정하여 산지 하천유역에 발생하는 부정강우사상(unsteady rainfall)의 초과우량을 추정하는 모델을 유도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현재 건설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제수문개발계획(IHP) 대표시험유역 가운데 평창강 수계내의 장평유역으로서, 본 유역은 자기 우량계 및 자기 수위계가 운용되고 있고, 인접 대관령 측후소로부터 기상자료를 획득, 이용할 수 있는 비교적 분석에 양호한 조건을 지닌 유역이다. 모델의 유도 과정은 대상유역 식생계로 피복된 산지유역임으로, 식생차단 저류효과를 고려해서 지표면의 흙에 도달되는 순강우주상도를 얻고 이로부터 침수시간 및 침투율을 결정해서 초과우량을 산정하는 모델을 유도하였다. 강우 지속시간내 즉, 유역이 완전 포화시의 증발산율의 결정은 Morton 모델로부터, 침수시간 및 침투율 결정은 Green-Ampt 방정식을 부정강우사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된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호우는 1986 ~ 1987년도 발생된 호우사상 가운데 강우강도 및 총 강우량이 비교적 큰 7개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각 호우사상별로 손실율울 지표면에서 물수지개념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산술지상에 구성시킨 결과는 다음 그림과 같다. 이 그림에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B. L. R)은 각 손실을 곡선을 시간축에 따라 산술평균한 대표손실율곡선이다. 이 대표손실율곡선은 역지수함수형으로서 곡선식의 유도는 회기분석을 이용하였다. 초과우량 주상도를 얻기 위하여 이 대표손실을 곡선을 관측 강우주상도에 적용시켜 본 결과 식생계에 의한 차단 저류율은 약 6mm/hr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침수시간 지체효과는 1~3시간 정도로서 비교적 그 영향이 큼을 알았다. 또한 각 호우사상별 침수시간 계산 결과 그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기 강우강도에 민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낟. 한편 유역 포화시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

  • PDF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 Kim, Tae-Gyun;Yoon, K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49-453
    • /
    • 2007
  • Has been being operated since 1974, recently, th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s applied in almost all the rivers in Korea, and the Storage Function Method(SFM) is used for flood routing. The SFM which was presented by Toshimitsu Kimura(1961) routes floods in channels and basins with the storage function as the basic equation. A watershed is devided into two zone, runoff and percolation area and Runoff is occured when cumulated rainfall is not exceed saturation rainfall, but exceed, runoff is occured from percolation area, too. Runoff area is given and not changed, runoff ratio is constant. In routing process, runoff from runoff and percolation area is routed seperately with nonlinear cenceptual reservior having same characteristics and it is unreasonable assumption. Modified SFM is proposed with storage function and continuity Equation which has no assumption for routing process and effective rainfall is calculated by SCS Method. For Wi Stream, comparision of Kimura and Modified SFM is conducted and It could be seen that Modified SFM is more improvemental and easily applicable method.

  • PDF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 Kim, Tae-Gyun;Yoon, Ka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7
    • /
    • pp.523-532
    • /
    • 2007
  • It has been operated since 1974, recently, th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s applied in almost all the rivers in Korea, and the Storage Function Method (SFM) is used for flood routing. The SFM which was presented by Toshimitsu Kimura (1961) routes floods in channels and basins with the storage function as the basic equation. A watershed is divided into two zone, runoff and percolation area and runoff from runoff area is occurred when cumulated rainfall is not exceed saturation point, but exceed runoff is occurred from percolation area, too. Runoff area is given and not changed, runoff ratio is constant. In routing Process, runoff from runoff and percolation area is routed seperately with nonlinear conceptual reservoir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it is unreasonable assumption. A modified SFM is proposed with storage function and continuity equation which has no assumption for routing process and effective rainfall is calculated by SCS Method. For Wi-stream, comparison of Kimura and the modified SFM is conducted, and it could be seen that the modified SFM is more improvable and applicable method easily by reducing the parameters.

Design of Optimal Wet-Season Injection Well for Augmenting Groundwater Resources in Coastal Areas (해안지역 지하수자원 확충을 위한 우기 인공주입정의 최적설계)

  • Park, Nam-Sik;Shi, Lei;Cui, Lei;Lee, Chan-Jong;Mun, Yu-R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5
    • /
    • pp.415-424
    • /
    • 2009
  • Artificial injection of surplus surface water during wet seasons and recovery is one of possible solutions for conjunctive uses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The methodology is especially attractive for regions of monsoon type weather. In this work a simulation-optimization model is developed to identify an optimal injection system to sustain an over-exploiting freshwater pumping well. The injection well is to be operated during wet seasons only while the pumping well is to be operated throughout an entire year. The objective function is the minimization of injected volume of freshwater. Saltwater intrusion and dry wells are considered as constraints. An example application is made on a small hypothetical island with poor hydrogeologic conditions. The optimization model is successful in determining optimal injection locations and rates for various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