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고강도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3초

Liquid Metal Fiber를 이용한 초고성능콘크리트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the Development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Liquid Metal Fiber)

  • 고관호;곽민석;안정현;김화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41-242
    • /
    • 2009
  • 본 연구에서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높은 연성을 얻기 위하여 Steel Fiber을 혼입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Steel Fiber 와 Liquid Metal Fiber를 혼합한 초고강도 모르타르 시험체를 휨강도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비교 검토 하였다. ASTM C 1018 방법, JSCE- SF4방법으로 인성지수 평가를 통해 Liquid Metal Fiber은 기존의 Bundrex Steel Fiber 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80℃ 온수양생을 이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Using 80℃ Warm Water Method)

  • 여상길;하정수;명로언;김학영;공민호;정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3-94
    • /
    • 2012
  • In this study, prediction of later-age compressive strength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based on the accelerated strength of concrete cured in 80℃ warm water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nature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showed a rapid early strength enhancement, compressive strength using warm water method of 80℃ at 2days is same compressive at 28days using standard curing.

  • PDF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성능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High-Ductile Cementless Composite)

  • 최정일;박세언;이방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69-75
    • /
    • 2017
  •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는 높은 압축강도 및 높은 연성 등 재료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유망한 건설재료로 분류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거동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밀도, 압축강도, 일축인장실험 등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지만, 인장하중 하에서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페이스트에 폴리에틸렌섬유를 보강하여 7.89 %에 달하는 높은 인장변형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한 분절형 U거더 및 합성 U거더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Segmental U-Girder and Composite U-Girder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이승재;타샤;김성태;한상묵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90-297
    • /
    • 2017
  • 압축강도 160MPa와 길이 15.4m를 가진 분절형 U거더와 합성 U거더의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로는 강섬유 혼입률과 U거더 상부의 슬래브이다. U거더의 복부와 하부플랜지에 종방향 철근을 배근하였다. 상부플랜지에 2개의 15.2mm 강연선을 포함한 2개의 프리스트레싱 텐던 그리고 하부플랜지에 7개의 15.2mm 강연선을 포함한 2개의 프리스트레싱 텐던이 배치되고 U거더 접합 시 한차례 긴장 작업을 하였다. 초고강도 콘크리트 강도로 인해 U거더에 도입한 충분히 강한 프리스트레싱 긴장력은 U거더 시공단계에서 자중과 고정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U거더의 취성적 거동에 비해 합성 U거더는 안정적이고 연성적인 하중처짐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U거더 상부에 슬래브를 시공한 후, U거더 접합 시 도입했던 프리스트레싱 긴장력에 의한 합성 U거더의 휨하중 내하력은 마지막 하중 단계에서 설계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로 인한 간단한 프리스트레싱 방법은 시공단계와 공사비 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간격이 작은 전단키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U거더와 고강도 콘크리트슬래브간의 완전한 합성관계를 가져와 파괴하중 직전까지 슬립현상이나, 벌어짐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전기로 산화 슬래그 잔골재 사용에 의한 강도 증진 기구 (Mechanism of Strength Development in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the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s Fine Aggregate)

  • 이승헌;임두섭;이승훈;이주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9
    • /
    • 2013
  • 초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잔골재로 세척사 대신에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사용했을 경우, 재령 91일 압축강도가 약 15 MPa 정도 향상되었다. 압축강도가 향상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잔골재의 Ca 성분 용출 특성을 고찰하였고, 잔골재와 페이스트 계면에서의 미세조직, 기공율, 미소경도 및 Ca/Si 몰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잔골재 형상에 의한 강도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잔골재의 표면 거칠기를 AFM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초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전기로 산화 슬래그 잔골재 사용에 의한 강도 증진 기구는 화학적 기구와 물리적 기구로 구분할 수 있다. 화학적 기구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에서 함유되어 있는 가용성 Ca 성분이 용출되어 잔골재와 페이스트 사이에 반응생성물을 형성시켜 조직을 치밀화 시킴으로 잔골재-페이스트간의 부착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리적 기구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 잔골재는 세척사에 비해 표면의 굴곡도가 2배 정도 커서, 잔골재와 페이스트 간의 interlocking strength를 증가시킴으로서 압축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잔골재 종류 및 혼합방법 변화에 따른 100 MPa 급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100 MPa depending on Fine Aggregate Kinds and Mixing Methods)

  • 한민철;이홍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36-544
    • /
    • 2016
  • 최근 초고층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구조내력 확보를 위해 80~100 MPa 수준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 구성 재료 중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골재는 종류나 특성에 따라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성능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0 MPa 급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잔골재 영향을 고찰하고자, 석회암잔골재(LFA), 전기로 산화 슬래그 잔골재(EFA), 세척사(SFA) 및 화강암 부순 잔골재(GFA)의 4종과 이들을 상호 혼합한 4종의 혼합골재를 선정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W/B 20%에서 보통포틀랜드시멘트:플라이애시:실리카흄의 비율을 7:2:1로 조합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LFA 사용 배합이 양호한 잔골재의 입형 및 입도 등 입자특성에 기인하여 동일 고성능 감수제 사용량에서 가장 높은 슬럼프 플로 및 높은 충전성을 확보하며, 혼합골재 사용 배합에 비해 전반적인 유동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압축강도 및 자기 수축 저감 성능은 EFA 및 LFA 사용 배합이 여타 골재 종류 및 혼합조합에 비해 골재 자체의 양호한 탄성계수 및 강도 그리고 EFA의 free-CaO에 기인하여 보다 양호한 성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섬유 조합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Combination of Fibers)

  • 최정일;고경택;이방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9-56
    • /
    • 2015
  •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와 유동성을 갖는 우수한 재료 특성을 나타내는 콘크리트이다. 그러나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비하여 낮은 연성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마이크로섬유의 조합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현무암섬유 조합에 따라 4가지 초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였고, 인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접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제조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기포를 생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밀도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인장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현무암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균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의도하지 않은 기포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초고압발생 및 측정

  • 조연옥
    • 전기의세계
    • /
    • 제37권7호
    • /
    • pp.4-11
    • /
    • 1988
  • 본고에서는 초고압기술 중 전기응력에 대해서 주로 논하고자 한다. 절연체의 전기강도는 여러가지의 환경적인 요소들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절연체의 전기강도를 수량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요소들의 영향을 충분히 알아야 할 것이다. 이들 요소 중 전기응력에 관련된 것들은 전압의 크기 및 파형이므로 초고압계통에서 사용되는 절연체가 그 초고압ㅇ 잘 견딜 수 있는 지를 알기 위해서는 그 초고압계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응력에 관한 한 초고압에서 중요한 문제는, 초고압계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파형을 해석하고, 그 파형을 어떻게 실험실에서 모의 하여 발생하고, 발생된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이라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현재 전력계통 분야의 세계각국의 초고압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한 후 초고압 발생 및 측정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