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표면 변화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성문암 세기조절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선량변화 평가 (Evaluation of Dose Change by Using the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IR) on the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with Glottis Cancer)

  • 김우철;민철기;이석;최상현;조광환;정재홍;김은석;여승구;권수일;이길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5권3호
    • /
    • pp.167-175
    • /
    • 2014
  • 본 연구는 IMRT가 적용된 성문암 환자에 대하여 CBCT영상과 변형영상 정합기법을 이용하여 치료기간 동안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는 선량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B-spline 알고리즘을 사용한 변형영상정합 시스템을 통해 치료 중 1주 간격으로 얻은 CBCT를 재구성하고 치료계획을 재계산하여 종양과 결정장기의 선량 분포를 비교하였다. 체중에 따른 체적변화는 3~5 주부터 평균 1.38~2.04 kg로 증가하였으며 체표면의 변화는 평균 2.1 mm로 감소하였다. 또한, 3주 이후의 경동맥에 전달된 선량은 계획되었던 값보다 최대 8.76%로 증가하였고, 갑상선샘은 26.4%로 감소하였다. 종양의 물리적의 평가인자인 PITV, TCI, rDHI, mDHI 그리고, CN은 치료 계획된 값보다 각각 평균 4.32%, 5.78%, 44.54%, 12.32% 그리고, 7.11%로 감소하였다. PTV에 대한 $D_{max}$는 평균 2.99% 증가하였고, $D_{mean}$, $V_{67.50}$, $D_{95}$는 각각 평균 1.52%, 5.78%, 11.94%로 감소하였다. 체중변화에 따른 체적의 변화가 없더라도 체형변화는 발생하였고, 좁은 여유마진을 가지는 IMRT는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성문암에 대한 IMRT 적용 시 환자의 체중변화를 관찰과 함께 변화를 기록하고 치료 중 변형영상정합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량분포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최종적으로 치료 중 실제 전달되는 선량평가는 적응형치료계획을 통하여 확인하고 정확한 선량전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온열과 냉의 국소적용에 의한 체표면 온도와 근전도 활동의 변화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and Electromyography Activities by Local Heat and Cold)

  • 최석주;임상완;김수현;문달주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1-72
    • /
    • 2007
  • INTRODUCTION: Local heat and cold application has been frequently used as means of muscle relaxation and blood circulation or reinforcing muscle strength, relaxing muscle tension in clinical situation. In particular, it has been known that long-term heat and cold application for relaxing muscle tension inhibits muscle spasticity or tension. But, it has been rarely reported that what influences of heat and cold application on activation of muscle action potenti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rface temperature and electromyograph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heat and cold application. METHOD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0 normal men and women (5 men, 5 women). Hot pack and cold pack was applied to vastus medialis muscle of thigh and rectus femoris muscle for 20 min. Surface temperature of vastus medialis muscle and rectus femoris muscle was measured, knee joint of subjects was in $45^{\circ}$ flexion, sitting on a chair,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was induced,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signals were collected and root mean square (RMS) and median frequency (MOF) were analyzed. Al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experiment, 10 min., 20 min. and 30 min. after experiment.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comparison of changes in superficial temperature and sEMG signals through repeated measurement was conducted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ignificance level $\alpha$ was 0.05. RESULTS: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of vastus medialis muscle according to cold application were radically decreased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but it was recovered after 30 min. of application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4. 36=72.216, P<0.001). Surface temperature of rectus femoris also showed radical decrease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but it was recovered after 30 min. of applica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4. 36=88.930, P<0.001).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of vastus medialis muscle according to heat application were radical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but it was recovered after 30 min. of application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4. 36=27.267, P<0.001). Surface temperature of rectus femoris also showed radical decrease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but it was recovered after 30 min. of applica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4. 36=19.774, P<0.001). Changes of sEMG by heat and cold application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Surface temperature of skeletal muscle after heat and cold applica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 for 30 min., but it was found that increase or decrease of surface temperature had not great influence on sEMG activities.

  • PDF

성인(成人) 남자(男子)의 경부(頸部) 동작시(動作時) 밀착형(密着形) 칼라 적합성(適合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경부(頸部) 체표면(體表面) 변화(變化)를 중심(中心)으로 - (Neck-Collar Fitness According to the Neck Movement of Adult Males - Centered on Neck Surface Changes -)

  • 심부자;이소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2호
    • /
    • pp.49-65
    • /
    • 2001
  •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unsatisfactory unfitting factors in the tight collars of adult males' dress shirt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neck-collar fitness. For this study, nine adult males were chosen as the subjects. When the subjects erected their necks upright,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the direct anthropometrical measuring method and the gypsum method by turns, in order to understand neck shapes by way of right-neck lateral flection, left-neck lateral flection, neck flection, neck extension, right neck rotation, and left neck rotation. And then, the propriety of allowances from body surface alteration was verified by analyses through the measurement of wearing comfortableness and clothing pressure in two sorts of ready-made dress shirts, which had different allowances.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length alteration to movement, a decrease was found in the opposite (and an increase in the identical) directions of right-neck lateral flection, left-neck lateral flection, and neck flection movements. Also, when the subjects shook their heads, an increase was seen by 0.42$\sim$0.63cm in neck girth, 0.31$\sim$1.12cm in 3cm-above-the-neck base girth, and 1.16cm in neck extension of 3cm-above-the-neck base girth. 2. As a result of the drafts of surface measurement, the alteration ratios of dimensions and vertical length dropped in the identical directions of the movement, but grew in the opposite directions. A reverse change was shown in horizontal length. The rough widening gaps for making drafts were 0.7cm in front left and right, and 0.2cm in back left and right of 3cm-above-the-neck base girth. On the whole, the space was about 1.8cm,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the upright stationary test and the movement test. 3.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inds of ready-made dress shirts (Type A: 1cm allowance in neck girth; Type B: 2cm allowance) in clothing pressure and wearing comfortableness. That is, Type A had higher pressure and more uncomfortable sense of wearing. In other words, as clothing pressure and wearing comfortableness are negatively related to each other, Type A's greater clothing pressure led to worse wearing comfortableness.

  • PDF

경흉교감신경절부의 전기자극의 체표면 체열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Body Surface)

  • 황태연;박래준;김태일;김용남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121-13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CTSG; stellate ganglion) u the sympathetic ton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imulation was given to both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ICS: AMF 100Hz) group consisting of 10 person(males 8, females 2) and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TENS: 100 Hz) group of 10(males 7, females 3) in the right side of the trachea with probe electrodes. Then. the temperature changes on the surfaces of the forehead. cheek, neck and internal ear of cephalocervix, which is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and the palm. which is the end of the upper limbs.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lter. 10 minutes after and 20 minutes after experi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mergence of remarkable Horner's symptoms which appear due to the changes of the tone of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was not seen. However, in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there were two felt the sense of warmth in the facial region and one person who felt it in the upper limbs, and in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there was each one person who felt the sense of warmth in the facial region and in the upper limbs, respectively. Both groups have each one person who felt the sense of oppression in the eyelids. Three persons of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and two persons of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have the sense of hoarse voice or numbness in the neck. These are the symptoms that appeared during stimul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em to be considered as the direct effects of the changes of the tone of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2. The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between the right, which is the experimental side, and the left, which is the non-experimental side. Significance between the right, which is the experimental side, and the left, which is the non-experimental side.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in the necks of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and in the cheeks and internal ears of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immediately after experiment(P<.05). And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showed a very high significance in the cheeks immediately after experiment and in the necks ten minutes after experiment(p<.01).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had an influencing on the changes of body temperature of the cephalocervix. 3. In both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and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the forecheads, checks and necks of the cephalocervix in the experimental side(right) rather than the non-experimental side(left) had most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 in temperature immediately after experiment. The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change of on the surface of the body with the lapse of time; before, immediately after, ten minutes after and tewenty minutes after experiment.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from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 PDF

동작(動作)에 따른 체표면변화부위(體表面變化部位)의 모색(摸索)에 관한 인간공학적(人間工學的) 연구(硏究) - 하반신(下半身)을 중심(中心)으로 - (An Ergonomic Study on the Search of Body Surface Area Changed by Movements -In the Lower Trunk and Leg-)

  • 조성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08-621
    • /
    • 199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to find the body surface total line and segment line significantly(${\alpha}$=0.05) changed by the leg movement including all movement direction of hip joint, knee joint and ankle joint for the more functional clothing. 2)to classify them into 3 types-expansion type, contraction type, expansion & contraction type, and 3)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urface length changes. 10 Crosswise and 5 lengthwise body surface total lines and 48 crosswise & 39 lengthwise body surface segment lines of 26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from 18 to 24 years were measured directly on the body surface and were analyzed by ANOVA & Multiple Comparison Test (Tuke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Body surface total lines significantly changed were all the body surface total lines except abdoman girth, 1/2thigh girth of lower leg and ankle girth, and thes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 Center front leg line belonged to expansion & contraction type, whereas lateral leg line, legscye girth, and total crotch length belonged to contraction type. The rest belonged to expansion type. Knee girth showed maximum expansion, whereas center front leg line showed maximum contraction. Body surface total lines have shown large expansion crosswise whereas lengthwise they have mainly shown contraction. At least more than one component segment line of each body surface total lines except abdoman girth and ankle girth have shown significant change. Top segment of inner leg line showed maximum expansion. whereas just below top segment of center front leg line showed maximum contraction. Crosswise all the body surface segment lines have shown expansion except inner back segments of thigh girth and 1/2thigh girth of upper leg which have shown contraction. Lengthwise they have shown both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front or back, and below or upper 1/2thigh girth line except the component segment lines of lateral leg line, which has shown contraction only.(cf. figure 2. figure 3. and table 2-2).

  • PDF

표준더미 개발을 위한 착의량에 따른 인체의 흡음특성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absorption characteristic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othing worn for developing standard test dummy)

  • 김용희;이성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4-260
    • /
    • 2017
  • 본 연구는 만석 객석의자 등의 흡음특성 시 활용될 수 있는 표준더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착의량에 따른 인체의 흡음특성을 잔향실법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방법은 기존 연구(Conti et al., 2004)에 따라 잔향실 중앙에 1인의 피험자가 서 있는 조건에서, 다양한 소재의 의복착용에 따른 주파수 대역별 흡음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겉옷을 제외한 상하의를 착용하였을 때 전주파수대역 평균 흡음면적은 피험자에 따라 $0.25m^2-0.48m^2$의 분포를 보였고, 외투 착용에 따라 $0.38m^2-0.98m^2$의 분포를 보였다. 섬유소재에 따라 폴리에스터 류의 겉옷은 800 Hz - 1 kHz 대역에서 피크 특성을 보였고, 모나 면 소재의 겉옷은 고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흡음면적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착의량에 따른 흡음면적의 변화는 착용한 의복의 열저항(clo)과 체표면적당 무게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Hypopharynx Cancer의 VMAT 치료 시 Neck 3D Bolus 적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The Application of 3D Bolus with Neck in the Treatment of Hypopharynx Cancer in VMAT)

  • 안예찬;김진만;김찬양;김종식;박용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2권
    • /
    • pp.41-52
    • /
    • 2020
  • 목 적: Hypopharynx Cancer의 VMAT 치료 시 Neck 부분에 Commercial Bolus(이하 CB)와 3D Printing 기술로 제작한 3D Bolus를 각각 적용한 두 치료 계획을 비교함으로써 3D Bolus 적용의 선량학적 유용성, setup 재현성 및 효율성을 알아보고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CB를 적용한 RANDO phantom의 CT image를 바탕으로 3D Bolus를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였다. 3D Bolus는 OMG SLA 660 Printer, MaterialiseMagics software를 이용하여 SLA기법을 통해 밀도 1.2 g/㎤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출력하였다. CB와 3D Bolus를 적용한 두 CT image를 바탕으로 Hypopharynx Cancer의 VMAT 치료를 가정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수립한 두 치료 계획을 각각 18회에 걸쳐 CBCT image를 획득하였고, 매 회 setup time을 측정하여 치료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획득한 CBCT image를 바탕으로 전산화 치료계획 시스템 Pinnacle을 통해 Adaptive Plan을 진행함으로써 Target, 정상 장기 선량 평가와 Bolus Volume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 과: 각 치료 계획에 대한 setup time은 CB 적용 치료 계획에 비해 3D Bolus 적용 치료 계획에서 평균 28 sec 감소하였다. 치료 전 기간 내 Bolus Volume 변화는 CB Initial Plan 83.9㎤에서 86.1±2.70㎤, 3D Bolus Initial Plan 92.2㎤에서 99.8±0.46㎤로 나타났다. CTV Min Value의 변화는 CB Initial Plan 191.6cGy에서 167.4±19.38cGy, 3D Bolus Initial Plan 167.3cGy에서 149.5±18.27cGy로 나타났다. CTV Mean Value의 변화는 CB Initial Plan 227.1cGy에서 228.3±0.38cGy, 3D Bolus Initial Plan 225.9cGy에서 227.7±0.30cGy로 나타났다. PTV Min Value의 변화는 CB Initial Plan 128.5cGy에서 74.9±19.47cGy, 3D Bolus Initial Plan 139.9cGy에서 83.2±12.92cGy로 나타났다. PTV Mean Value의 변화는 CB Initial Plan 225.4cGy에서 226.2±0.83cGy, 3D Bolus Initial Plan 224.1cGy에서 225.8±0.33cGy로 나타났다. 정상 장기 Spinal Cord에 대한 Max Value는 매 회 평균 135.6cGy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 론: 본 논문의 실험 결과를 통해 불균등한 체표면에 대한 3D Bolus의 적용이 Commercial Bolus 적용에 비해 선량학적으로 유용하고 setup 재현성 및 효율성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3D Printing 재료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추가적인 사례 연구가 진행된다면 방사선 치료 분야에서 3D Bolus의 적용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Recommended Methods for Surface Counting to Determine Sites of Red Cell Destruction - A Report by the Panel on Diagnostic Applications of Radioisotopes in Haematology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in Hematology

  • 대한핵의학회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57-62
    • /
    • 1974
  • 이 논문(論文)은 1973년(年) ICSH주최로 열린 panel에서 적혈구파괴(赤血球破壞) 장소(場所)를 결정(決定)하기 위한 생체(生體) 체표계측법(醫表計測法)의 표준화(標準化)에 관(關)한 토론(討論) 결과(結果)를 초록(抄錄)한 것이다. 체표계측(體表計測)은 체외(體外)에서 계측기(計測器)를 이용(利用)하여 각(各) 장기(臟器)에서의 방사표지물질(放射標識物質)의 분포(分布) 및 시간경과(時間經過)에 따른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는 것으로서 $^{51}Cr$를 사용(使用)하여 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을 측정(測定)할 때 간(肝), 비(脾), 심장(心臟)의 방사능(放射能)을 계측(計測)한다. 이 방법(方法)은 각(各) 장기(臟器)에서의 적혈구파괴(赤血球破壞)의 정도(程度)를 예측할 수 있다. 특(特)히 용혈성(溶血性) 빈혈환자(貧血患者)에서 비장적출(脾臟摘出) 여부를 결정(決定)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panel에서는 주(主)로 오차(誤差)의 원인(原因)이 되는 여러가지 요인(要因)에 대(對)하여 토론(討論)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에 의견(意見)의 일치(一致)를 보았다. 즉(卽) 비장(脾臟)의 위치(位置)는 $^{99m}Tc$로 비주사(脾走査)를 실시하여 결정(決定)하는것이 좋고, $^{51}Cr$은 체중(體重) 1kg당 $1.5{\mu}Ci$를 사용하여, 계측기(計測器)는 NaI crystal(직경이 5cm이상, 두께가 3.75cm이상)의 scintillation doctor를 사용하고, 계측(計測)은 $^{51}Cr$로 표지(標識)된 적혈구(赤血球) 주입후(注入後) 15분(分) 이후(以後)에 하고 다음날 계측(計測)한 후(後) 2주(週) 동안에 적어도 6번 계측(計測)한다. Data 처리는 excess count법(法)과 비(脾)와 간(肝)의 비(比)로서하는 것이 좋다.定値)에 차이(差異)가 있어 그 결과(結果)의 해석(解釋) 및 비교(比較) 검토(檢討)에 적지않은 난점(難點)이 생겨 표준화(標準化)된 공통적(共通的)인 방법(方法)의 사용(使用)이 중요(重要)하다는 사실(事實)이 인식(認識)되게 되었다. 1966년(年) 호주(濠洲)의 Sydney에서 개최(開催)되었든 제11차(第11次) 국제혈액학회(國際血學會)때 열린 제4차(第4次) International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in Haematology(ICSH)에서 Diagnostic Applications of Radioisotopes in Haematology에 관(關)한 expert panel을 갖을것을 의결(議決)하여 다음과 같은 12명(名)의 위원(委員)이 결정(決定)되었으며 위원회(委員會)의 의장(議長)에 Dr. Szur, 총무(總務)에 Dr. Glass가 각각(各各) 선임(選任)되었다. 그간(間) 1967년(年) 영경(英京) London에서 첫 회합(會合)이 있은후(後) New York, Vienna(IAEA후원(後援)) Brthesda(NIH후원(後援))에서 전문위원회(專門委員會)를 갖고 적혈구수명측정법(赤血球壽命測定法)에 관(關)한 의견(意見)의 일치(一致)를 보았다. ICSH와 국제혈액학회(國際血學會)에서는 이번에 결정(決定)된 적혈구수명측정법(赤血球壽命測定法)을 널리 소개(紹介)하며, 측정법(測定法)과 얻어진 결과(結果)의 해석(解釋)에 표준화(標準化)를 기(期)할 목적(目的)으로 이에 연관성(聯關性)있는 전문지(專門誌)에 게재(揭載)할 것을 요청(要請) 받었기에 이에 전문(全文)을 소개(紹介)하는 바이다. 이들은 방사성(放射性) chromium 법(法)의 모든 세부적(細部的)인 면(面)을 표준화(標準化)하고 있으며 그간(間) 가장 논란(論難)의 대상(對象)이 되었던, $^{51}Cr$-표지방법(標識方法)에 있어서의 세가지 변법(變法),

  • PDF

참장어(뱀장어) Anguilla japonica 양어장(養魚場)에서의 아질산(亞窒酸) 중독(中毒)에 의한 Methemoglobin증(症)과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변성(變性) (On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Methemoglobinemia to Nitrite Toxicity in the Culture Farms of Eel, Anguilla japonica)

  • 양한춘;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1991
  • 가온(加溫) 양어장(養魚場)에서 자란 참장어(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변화(變化)와 Methemoglobin증(症)에 대(對)해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양어장(養魚場)의 수질(水質)은 수온(水溫) $22.0{\sim}29.0^{\circ}C$, DO 4.33~7.33ppm, pH 6.1~8.2, $NO_2$ - N 0.03~10.1ppm의 범위(範圍)였다. 2. 조사(調査) 대상(對象)인 참상어는 외관상(外觀狀)으로는 활력(活力)이나 체색(體色) 및 혈액(血液)에 이상(異常)이 없었고, pH 6.0 정도(程度)로 낮은 양어장(養魚場)이 참상어는 체표면(體表面)에 점액질(粘液質)이 많았으며 점착력(粘着力)이 컸었다. 3. Methemoglobin양(量)은 12월(月)에 총(總) 적혈구(赤血球)의 1.03~9.86%, 6월(月)에 5.05~25.69%였으며, 변형적혈구(變形赤血球)의 양(量)은 12월(月)에 5.83~30.17%, 6월(月)에 8.67~74.45%로서 Methemoglobin이나 변형적혈구(變形赤血球)의 출현량(出現量)이 다 같이 하계(夏季)에 많은 증가(增加)를 보인 것은 양어장(養魚場)의 물 관리(管理)가 겨울철에도 좋지 못했지만 여름철에 더 좋지못했다는 결과(結果)인 것 같다. 4. 아가미, 간(肝) 및 신장(腎臟) 조직(組織)은 조사(調査)한 양어장(養魚場) 전체(全體)에서 중급(中級) 이상(以上)의 부종증상(浮腫症狀)을 보였고, 3월(月)과 6월(月)에 아가미는 2차새변 상피세포(上皮細胞)(호흡세포((呼吸細胞))의 박리(剝離)가 일어나는 심(甚)한 변성(變性)을 보인 양어장(養魚場)에 많아졌으며 간장(肝臟)은 핵농축(核濃縮)이나 동공화(洞空化)된 세포(細胞)가 많아졌고 신장(腎臟)은 대다수(大多數)의 양어장(養魚場)에서 혈철증(血鐵症)이 생겼다. 5. 아질산(亞窒酸) 농도(濃度)가 높은 양어장(養魚場)에서 Methemoglobin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은 있었으나 반드시 일치(一致)하지는 않았고, pH가 6.0 정도(程度)로 낮은 양어지(養魚池)에서는 아질산(亞窒酸)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Methemoglobin과 변형적혈구(變形赤血球)의 출현량(出現量)이 대체(大體)로 증가(增加)했으며 아가미, 간(肝) 및 신장(腎臟) 조직(組織)의 퇴행성(退行性) 변성(變性)이 심(甚)했다.

  • PDF

두경부(Head & Neck)종양에서 Forward IMRT 유용성에 관한 고찰 (The usefulness of Forward IMRT for Head and Neck Cancer)

  • 백금문;김대섭;박광호;김정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1-52
    • /
    • 2003
  • I. 목적 방사선 치료계획에 있어서 정상조직의 선량과 치료부위 선량의 분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치료부위의 균일한 선량분포를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두경부(Head & Neck) 종양의 방사선 치료 시 체표 윤곽의 변화가 심하여 이에 따른 선량 불균일 보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치료방법으로는 parotid gland 와 spinal cord 의 tolerance dose 이하를 유지하면서 planning target volume(PTV)에 충분한 치료 선량을 전달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Forward IMRT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의 유용성 및 실용적인 정도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II.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두경부(Head & Neck) 종양 비인두암(nasophrygeal cancer)의 방사선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2차원적인 치료계획과 dynamic Mulit-Leaf Collimator(dMLC)를 이용하여 partial block technique(PBT)방법을 적용한 Forward IMRT를 위한 치료계획을 dose volume histogram(DVH)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정도관리(quality assurance, QA)를 위하여 필름과 pinpoint chamber를 이용하여 정확한 선량 평가를 실시하였다. III. 결과 2차원적인 치료계획과 Forward IMRT를 적용한 치료계획의 DVH를 비교 분석한 결과 Forward IMRT를 적용한 치료계획이 Rt, Lt parotid gland와 spinal cord에 들어가는 선량을 좀더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Forward IMRT의 시도로 조사면의 방사선 세기가 정상조직의 보호를 개선시키고 치료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었다. Inverse IMRT에 비해 기존의 3차원적 치료계획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비교적 단순한 방사선 세기 패턴이므로 정도관리가 용이하였다. IV. 결론 Forward IMRT는 2차원적인 치료법에 비하여 PTV에는 균일한 선량분포를 이루면서 정상조직에는 tolerance dose 이하로 선량을 전달 할 수 있는 치료기법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