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질량

검색결과 839건 처리시간 0.024초

방사선치료 시 체질량지수와 직장암 환자의 자세 오차 분석 (Analysis of Body Mass Index on Set Up Errors Rectal Cancer in Radiotherapy)

  • 심재구;정홍량;서정민;박병석;장준영;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12-418
    • /
    • 2013
  • 직장암 환자 방사선 치료 시 체질량지수와 belly board 사용 유 무에 따른 자세 오차 연구를 위해 2012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11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8세(29-83세), 평균 체질량 지수는 $23.35kg/m^2(16.55-31.15kg/m^2)$, belly board를 사용한 환자는 31명, 사용하지 않은 환자는 83명이었으며, 치료 확인 촬영 영상 AP&LAT(전, 후측) 총 527장의 X, Y, Z축에 대한 각각의 평균 및 표준 편차는 $1.66{\pm}1.55mm$, $1.64{\pm}1.56mm$, $1.99{\pm}1.75mm$의 값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24이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24미만일 경우보다 Z축에서 2mm이상의 오차 발생 위험도가 4.8배 높게 나타났고(p<0.001), belly boar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체질량 지수가 24이상인 경우 Z축에서 2mm이상의 오차 발생 위험도가 3.6배 높게 나타났다(p<0.011).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장루를 착용한 경우에만 Belly Board사용 뿐 만 아니라 체질량 지수가 높은 환자에게도 적용한다면 자세 오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폐경 후 비만 여성에서 골밀도 및 혈청지질 양상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Postmenopausal Women)

  • 김은영;승정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25-125
    • /
    • 2003
  • 비만인구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우리나라도 비만인구의 증가와 함께 인구 전반의 체질량지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경우 폐경을 맞이하면서 호르몬의 변화 등으로 비만 발생율이 높아지는데, 폐경 후 비만은 만성퇴행성질환 등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골밀도에 있어서는 체질량지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결과와, 어느 수준 이상의 체질량지수 증가는 골밀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는 상반된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중략)

  • PDF

체질량지수와 디지털유방촬영술상의 유방밀도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Breast Density Using Digital Mammography)

  • 김미영;김화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4호
    • /
    • pp.267-272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무증상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여부에 따라 체질량지수에 따른 유방밀도의 분포양상을 분석하여 선별유방검사방법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49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술을 시행하여 유방밀도를 분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0대 이하의 젊은 여성의 경우 치밀유방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방밀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유방밀도 분포는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방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여부에 따라 유방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관련 요인을 알아 본 결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폐경 전 여성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방암 선별검사 선택 시 젊은 여성의 유방암의 발생비율과 치밀유방의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인 검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젊고 마른 여성의 경우 유방초음파를 병행한다면 검사의 민감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비만 중년 남성의 비만 유형별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by Obesity Type in Obese Middle-Aged Men)

  • 신경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55-162
    • /
    • 2020
  • 이 연구는 비만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비만 중년 남성 7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비만 동반군은 327명, 복부비만을 동반하지 않은군은 470명이며, 두 군간에 공복혈당(p<0.001), HbA1c(p=0.003), 인슐린(p<0.001), HOMA-IR(p<0.001)은 차이가 있었다. 체질량지수는 복부비만 동반 유무와 관계없이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복부비만 동반 유무와 관계없이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저하의 질환 발병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중년 비만 남성의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수행 및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체질량지수의 지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체형 불만족도와 식이행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Body Mass Index, Body Shape Dissatisfaction, Eating Behavior)

  • 신미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98-103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체형 불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로, 수면시간,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로 제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BMI에 따른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 정도의 평균차이는 ANOVA((post-hoc test: Scheff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학생이 293명으로 대상자의 76.5%이었고 체질량지수는 정상군(58.2%), 저체중(14.9%), 2단계 비만(11.2%)순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 체형 불만족도가 나이와, 하루 수면시간과 음의 상관관계(r=-.142, p=.028; r=-.163, p=.001)를, 식이행동과 체질량지수가 양의 상관관계(r=.587, p=.000; r=.174, p=.001)를 보였다. 체질량지수 수준에 따라 식이행동은 1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F=2.993, p=.019)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이 높았다. 체형 불만족도에서는 정상군과 1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보다(F=2.993, p=.019), 2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과 정상군보다 (F=2.993, p=.109) 평균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가 과체중 이상인 학생은 체형 만족도가 낮으므로 체중 관리에 대한 올바른 식이 운동 요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저체중군에 있어서도 저체중을 유지 하기 위한 절제된 식이행동이 아닌 정상 식이 행동을 보일 수 있도록 중재해야 할 것임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8체질로 분류한 한국 여성의 영양소 섭취 수준과 혈중 지질 농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of Korean Female Subjects Classified by Eight Constitution Medicine)

  • 조병제;김미정;김미정;송영옥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3-152
    • /
    • 2013
  • 한국 여성 20세부터 70세 사이 214명의 체질을 분석한 결과 목양(Hepatonia) 16.8%, 목음(Cholecystonia) 2.3%, 토양(Pancreotonia) 58.9%, 금양(Pulmotonia) 5.1%, 그리고 금음체질(colonotonia)은 16.8% 이었으며 토음(Gastrotonia), 수양(Renotonia) 및 수음 (Vesicotonia) 체질을 지닌 피험자는 없었다. 체질별 신체적 특성은 목체질군 (목양, 목음)이 금체질군 (금양, 금음)에 비해 체중과 BMI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토양체질은 목체질과 금체질의 중간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에너지 섭취수준은 체질별 차이가 없었으며 지방 섭취량은 체질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데 목음 체질이 가장 높았고, 금양 체질이 가장 낮았다(p<0.05). 이들 영양소 섭취량을 에너지 섭취수준에 대한 비율로 산출하였을 때 탄수화물 및 지방 섭취 비율이 체질 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공복 혈당 및 인슐린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금양체질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혈중 지질 농도를 비교해 보면 목음 체질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C 농도는 금양 체질에 비해 각각 153.44%, 126.87%, 그리고 131.99%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결과로부터 영양소 섭취 수준과 건강상태를 살펴보았을 때, 칼로리 섭취량, 단백질 및 지방섭취량이 높은 목음 체질은 BMI 및 혈중 지질 농도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총 칼로리 섭취수준 대비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높고 지방 섭취비율이 낮은 금양체질은 혈중 지질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으나, 공복혈당 및 인슐린 농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체질 군 중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체질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이 다르고, 그 결과 체중, 혈중 지질, 혈당 등의 건강지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8체질 의학에서 주장하는 인간은 타고난 장부의 강약에 따라 건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기 위해 섭생 및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론을 확인하였다.

노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는 따로 있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2권3호통권352호
    • /
    • pp.26-27
    • /
    • 2008
  • 노년기에 들어서더라도 신체가 요구하는 기본적인 영양소는 변하지 않지만 열량 요구는 감소된다. 이는 젊었을 때보다 활동량이 적어지는 노년기의 환경적 원인과 함께 체질량 감소 및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지방세포 때문이다. 지방세포는 비지방세포와 비교해 늦게 대사되며 칼로리도 신속히 소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노인일수록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되 열량은 줄이는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 PDF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진단에 있어서 생체 전기저항 분석법의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Obesity on Elementary Students)

  • 최기철;안영준;양은석;박상기;박종;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107-114
    • /
    • 1998
  • 목 적: 소아 비만의 평가에 이용되는 측정방법들 간의 상관관계와 생체 전기저항 분석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7월까지 광주시내 초등학교 남.여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장, 체중, 허리둘레, 둔부둘레, 피지두께를 계측한 후, 생체전기저항 법에 신체조성을 측정하여 각 측정방법들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피지 두께치로 계산한 체지방률과 생체전기저항 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남아에서 비만 측정방법들 간의 상관 관계; 상완 배측부 피지두께는 체질량 지수(r=0.74)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음으로 체지방률(r=0.59)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체중, 뢸러지수, 체지방량 순서로 비교적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허리/둔부의 둘레 비, 신장, 체지방체중과는 낮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01). 견갑골하부 피지두께는 체질량 지수(r=0.64)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뢸러 지수, 체중, 체지방률, 체지방량 순서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01), 허리/둔부의 둘레비, 신장, 체지방체중 등과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생체전기저항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은 체질량지수(r=0.62)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상완 배측부 피지두께, 뢸러 지수, 체지방량, 견갑골하부 피지 두께, 체중의 순서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제지방체중, 신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2) 여아에서 비만 측정방법들 간의 상관관계; 상완 배측부 피지두께는 체질량 지수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r=0.70), 다음으로 체중, 제지방체중, 신장, 체지방률 순서로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01). 그러나 뢸러 지수, 허리/둔부의 둘레 비, 체지방량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5). 견갑골하부 피지두께는 체질량 지수, 체중, 제지방체중의 순서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뢸러 지수, 신장과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그러나 체지방률, 허리/둔부 둘레 비, 체지방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생체전기저항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은 체질량지수, 뢸러지수, 상완 배측부 피지두께와의 순서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1), 체지방량, 체중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견갑골 하부 피지두께, 신장, 제 지방체중, 허리/둔부의 둘레 비와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생체전기저항 법과 피하지방 두께치에 의한 체지방률; 피지두께로 계산한 체지방률과 생체 전기저항 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p<0.01), 특히 여아보다 남아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피지두께치 및 생체전기저항 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을 소아의 비만 판정 및 추적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CT에서 측정된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ffecting Factors on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Measured using 64-slice MDCT)

  • 강영한;김경욱;조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50-257
    • /
    • 2010
  • 64 절편 MDCT를 이용하여 측정된 좌심실 구혈률에 성별과 연령, 체질량지수, 혈압, 심박동수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164명(남자 84명, 여자 80명)을 대상으로 혈압, 체질량지수, 심박동수를 측정하였고, 심장 CT 검사를 실시하여 좌심실 구혈률을 구하였다. 체질량지수 25kg/$m^2$ 미만 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은 52.00${\pm}$118.95%, 25 kg/$m^2$이상 군에서 59.50${\pm}$16.05%였다(p<0.05). 정상 혈압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이 57.26${\pm}$17.84%, 고혈압군에서는 49.95${\pm}$17.63%로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분당 심박동수 60회 미만 군에서는 60.76${\pm}$17.26%, 60-70회군에서 54.14${\pm}$16.56%, 70회 이상 군에서 50.83${\pm}$20.56%였다(p<0.05). 좌심실 구혈률과 연령(r=-0.283), 심박동수(r=-0.231)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체질량지수(r=0.228)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심박동수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연령, 체질량지수와 혈압, 심박동수에 따라서 구혈률이 차이가 나므로 이를 확인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한국 중년의 대중교통 만족도에 따른 체질량지수에 대한 걷기 일수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Transportation Satisfaction on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Walking days in Korea middle aged)

  • 김명관;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93-499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40~59세 중년의 대중교통 만족도에 따른 체질량지수(BMI)에 대한 걷기 일수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일상적인 걷기활동 지원 및 증진을 위한 근린환경의 제공, 걷기활동 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데이터의 228,558명 중 사용변수에 대해 결측값을 제거하고 40~59세 중년 85,344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체질량지수(BMI)로 대중교통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걷기 일수가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자료의 분석은 R 3.4.1로 시행하였다.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대중교통 만족도가 증가하면 걷기 일수는 B=.010(p=.010)만큼 증가하였고, 대중교통 만족도가 증가하면 체질량지수는 B=-.052(p=.021)만큼, 걷기 일수는 B=-.038(p=.001) 감소하였다. 이에 따른 대중교통 만족도와 체질량지수에 대한 걷기 일수의 매개효과는 Sobel z=2.300(p=.021)로 대중교통 만족도가 증가하면 걷기 일수가 증가하고, 그로 인해 체질량지수가 감소하는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교통 만족도를 높여 대중교통 이용을 증가시킴으로서 걷기 일수를 증가시키고 체질량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고찰에서 언급했던 대중교통 만족도 중 대중교통 요금의 적절성과 접근편리성을 지금 수준보다 더욱 향상시켜야 한다. 아직까지는 수도권이나 대도시를 벗어나 중소도시로 가게 되면 대중교통으로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이 불편한 경향이 나타나므로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