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장-체중 관계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이석을 이용한 참조기(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의 연령사정과 성장식 추정 (Age Determination and Estimation of Growth Parameters Using Otolith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in Korean Waters)

  • 이만우;장창익;이장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22-233
    • /
    • 2000
  • 지금까지의 한국 연근해산 참조기의 연령사정은 전부가 비늘에 의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참조기의 이석을 연령형질로 사용하여 가장 적절한 연령사정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참조기의 이석은 외관상으로는 윤문이 보이지 않으므로 얇게 절단하여 판독하는 방법(thin section method)이 적절하며, 성장 초점을 기준으로 가로, 세로, 대각선 세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여 윤문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나는 방향을 알아본 결과 세로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가 윤문의 판독이 가장 용이하였다. 체장-체중 관계식과 성장식의 추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성장에 관한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오차구조를 밝혀 매개변수의 추정에 정확성을 기하였다. 체장-체중 관계에서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오차도 증가하는 곱의 오차구조를 가지며 관계식은 W=$0.0049L^{3.2153}$으로 나타났다. 성장식에서는 오차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며 비선형 회귀분석에 의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37.11(1-e$\^$-0.20+1.88/)로 나타났다.

  • PDF

남빙양 새우의 생태학적 특성 (Some Ecological Aspect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Antarctic Ocean)

  • 이장욱;권정노;김태익;양원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92
    • /
    • 1994
  • 대서양 남빙양 새우의 주된 분포역은 South George Island, Laurie/Coronation Islands와 Livingston/King George Islands 지역으로 공간적인 구분을 뚜렷이 하였다. 어획 수심은 층에서 150 m층까지 달했고, 10 m층으로 구분한 단위노력당어획량의 수직 분포는 층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심이 깊어 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과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관계로 부터 남빙양 새우는 주로 $0.8{\sim}l.0^{\circ}C$ 범위에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남빙양 새우의 암수별 체장 조성은 큰 차이를 보여 숫컷의 비율은 작은 체장에서, 암컷의 비율은 큰 체장에서 각각 높았다. 두흉갑장과 체장관계, 체장과 체중관계가 암수별로 추정되었다. 암수별 성비조성은 숫컷이 $60.3\%$, 암컷이 $39.7\%$로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울릉도와 독도에 출현하는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과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Günther, 1877))의 생물역학적 관계와 계절적 비만도지수의 첫 보고 (First Biometric Relationship and Seasonal Condition Factors of 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 and 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 Inhabiting the Waters of Ulleung-do and Dokdo)

  • 박주면;노현수;이희갑;명세훈;;이재호;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0-56
    • /
    • 2023
  • 본 연구는 울릉도와 독도 해역에 서식하는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과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의 체장-체중 관계 (LWR)와 계절적 비만도지수 (K) 정보를 국내 최초로 보고하였다. 두 종의 체장-체중 관계는 모든 계절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r2>0.959), LWR 회귀 기울기는 두 종 모두 저수온기와 고수온기 사이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두 종의 비만도지수는 저수온기에 고수온기보다 현저히 높아 산란기와 관련된 비만도 증가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띠볼락과 말쥐치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두 어종에 대한 보존 및 관리 계획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암모니아의 영향 (Effects of Ammina on Survival and Growth of the Flounder Larva, Paralichthys olivaceus)

  • 김형수;김흥윤;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8-495
    • /
    • 1997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자어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암모니아의 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을 단기 독성시험법에 준하여 생물검정시험을 실시하고 자어의 성장단계별 암모니아 내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농도를 산출하였다. $96hr-LC_{50}$ 부화후 7일이 경과한 자어가 $0.300mg\;NH_3/\ell$, 21일된 것은 $0.572mg\;NH_3/\ell$로 증가하다가 부화후 23일째에는 $1023mg\;NH_3/\ell로 증가하여 넘치 자어는 성장단계의 초기에 암모니아의 독성에 민감하고 성장하면서 강한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화후 경과일수와 비이온성 암모니아의 농도(X)에 대한 $96hr-LC_{50}(Y)$과의 관계식은 $Y=0.0516+0.034{\cdot}X(r=0.854)$였다. 부화 후 1, 3, 5일째의 자어에서 $24hr-LC_{50}$은 부화후 경과일수가 길어질수록 높았으나, 노출시간이 지속되이도 $LC_{50}$은 매우 완만하게 감소하여 threshold $LC_{50}$ 각각 $0.293mg\;NH_3/\ell,\;0.248mg\;NH_3/\ell$ 이었다. 부화 후 16일째의 자어를 암모니아 농도별로 7일간 노출시킨 후의 생존율은 대조구의 경우 $96.7\%,\;0.341mg\;NH_3/\ell$에서는 $83.3\%$였으며, 자어의 체장과 체중은 암모니아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체장에 대한 NOEC와 LOEC는 각각 0.102 및 0.151mg $NH_3/\ell$, 체중에 있어서는 각각 0.151 및 $0.198mg\;NH_3/\ell$으로 체장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어의 체장측정치에 대한 변동계수 (CV, coefficient of variation)는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서 고농도일수록 체장성장은 느리고 개체간 체장변이가 많았다.

  • PDF

한국 남해안 부어류의 음향반사강도에 관한 연구 I. 멸치 (Engraulis japonica)의 in situ 반사강도 측정 (Acoustic Target Strength of the Pelagic Fish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 In situ Measurement of Target Strength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 윤갑동;김장근;최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7-114
    • /
    • 1996
  •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주요 어업대상어종의 자원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남해동부연안에 분포하는 멸치어군을 대상으로 Split beam 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in situ TS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에서 어획물의 $95\%$가 멸치였으며, 그 체장빈도 분포는 체장범위 $13.6\~15.4cm$, 평균체장 14.4cm이었고, 체중빈도 분포는 체중범위 $16\~28g$ 평균체중 21.9 g이었다. 2. 멸치의 반사강도는 수심 $10\~30m$ 에서 $-40.7\~-69.2dB,\;30\~50m$, 수층에서 $-42.2\~-67.7dB,\;10\~50m$ 수층에서 $-42.2\~-67.7dB$의 범위였고, 그 빈도분포에는 2개의 mode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나타났다. 3. 멸치의 평균반사강도는 -49.7 dB/fish 및 -33.1 dB/kg 이었으며, $90\%$ 신뢰구간은 1 dB 이하였다. 또한, 멸치의 반사강도 (TS)와 체장 (cm)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TS=20 log L-72.9.

  • PDF

한국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3. 동지나해산 덕대의 연령과 성장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3. Age and Growth of Korean Pomfret, Pampsu echinogaster, from the East China Sea)

  • 강용주;이동우;홍병규;김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81-290
    • /
    • 1989
  • 1987년 $1\~2$월에 걸쳐 동지나해에서 대형기저쌍끌이어업에 의해 어획된 덕대를 대상으로 연령,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연령사정은 추체로 하였으며, 추체경에 대한 연역지수에 의한 윤문의 형성은 $9\~10$월에 걸쳐 연1회 형성되었다. 추체경(R)에 대한 체장(FL)과의 관계는 암컷 : $FL=8.8262R^{0.7709}$ 수컷 ; $FL=8.9676R^{0.7976}$ 전체 ; $FL=8.7883R^{0.7681}$과 같다. 체장(FL)에 대한 체중(BW)과의 관계는 암컷 : $BW=0.0093FL^{3.3795}$ 수컷 ; $BW=0.0081FL^{3.4153}$ 전체 : $BW=0.0084FL^{3.4125}$와 같다. 연령(t)에 대한 체장($L_t$)의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 $$L_t=29.17(1-e xp(-0.3213(t+0.7601)))$$ 수컷 ; $$L_t= 28.21(1-e xp(-0.3L69(t+0.8284)))$$ 전체 : $$L_t=29.00(1-e xp(-0.3228(t+0.7361)))$$와 같다. 연령(t)에 대한 체중($W_t$)의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W_t=829.4(1-e xp(-0.3213(t+0.7601)))^{3.3795}$$ 수컷; $$W_t=747.6(1-e xp(-0.3169(t+0.8284)))^{3.4154}$$ 전체 : $$W_t=816.8(1-e xp(-0.3228(t+ 0.7361)))^{3.4125}$$와 같다. 월별 연령별 평균체장($L_t$)에 대한 주기변동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 $$L_t=29.2(1-e xp(-0.3458(t+0.8182)+(0.3458/2\pi) sin2\pi(t+0.027)))$$ 수컷 : $$L_t=28.2(1-e xp(-0.2789(t+1.5193)+(0.2789/2\pi) sin2\pi(t-0.1062)))$$와 같다.

  • PDF

탁수에 의한 금강모치(Kumgang fat minnow; Rhynchocypris kumgangensis) 개체군의 생태적 영향 (Ecological Effects of Kumgang fat minnow(Rhynchocypris kumgangensis) on Turbid Water)

  • 이재용;최재석;김재구;장영수;이광열;김범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4-191
    • /
    • 2008
  • 어류개체군에 대한 탁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탁수하천(대기, 자운천)과 비탁수하천(봉산천, 계방천)에 분포하는 금강모치 개체군의 체장-체중 관계와 비만도지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탁수하천과 비탁수하천간의 금강모치 평균전장을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강에서 체장-체중 관계에 따른 회귀계수 b값은 봉산천에서 3.21, 그리고 대기천에서 3.07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북한강에 위치한 탁수하천의 회귀계수 b값은 비탁수하천의 값보다 약간 높았다. 그 값은 계방천에서 3.20, 자운천에서 3.23으로 각각 나타났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금강모치 개체군 단계에서 만성 탁수의 영향이 적음을 보여준다.

동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산란기 및 성장패턴(allometric growth pattern)과 비만도(body condition)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pawning Season, and Factors Influencing Allometric Growth Pattern and Body Condition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Middle East Sea, Korea)

  • 이충일;한문희;정해근;박현제;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1-149
    • /
    • 2019
  • 본 연구는 동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산란기, 체장-체중 관계(weight-length relationships, WLRs), 비만도(condition factor)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숙도지수(gonadosomatic index, GSI))의 월변화를 통하여 추정한 명태의 산란기는 12월에서 3월이었다. 전반적인 체장-체중 관계식의 지수값 b는 2.806이었고, 2.778 (암컷)에서 2.980 (미성숙 그룹)의 범위를 나타냈다. b값은 암수 사이에서 유사하였으나, 미성숙 그룹과 비산란기 동안 성숙 그룹 또는 산란기 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만도는 미성숙 그룹에서 성숙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산란기와 비산란기, 암컷과 수컷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국 남해안 개서대 Cynoglossus robust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Robust Tonguefish, Cynoglossus robus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서영일;김주일;오택윤;이선길;김성태;주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4-331
    • /
    • 2007
  • 본 연구는 남해안 여수인근 해역의 주요 어종의 하나인 개서대의 비늘을 이용하여 개서대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개서대는 2004년 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여수 인근해역에서 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어획물 중 무작위로 표본 채집하였으며, 총 402미를 조사하였고 그 중 353미를 정밀측정 및 비늘을 적출하여 연령사정에 사용하였다. 체장의 범위는 암컷이 전장 20.2~39.3 cm였으며, 수컷의 전장은 20.8~35.0 cm로 나타났다. 개서대의 체중(BW)과 체장(TL)의 관계는 $BW=0.0013TL^{3.399}$ ($R^2=0.916$)이었고, 암 수별로 체장에 대한 체중의 차이가 있었다(P<0.05). 개서대의 연령에 대한 체장자료의 오 차구조를 확인한 결과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서대의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된 개서대의 성장식 $L_t=43.77(1-e^{-0.186(t+2.295)})$ ($R^2=0.976$)이었다. 암 수간의 연령에 대한 체장의 상대성장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치어의 이석 일륜을 이용한 성장 및 산란시기 추정 (Estimation of Early Growth and Spawning Period of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ater off Namhae of Korea as Indicated from Daily Growth Increments in Otoliths)

  • 주형운;곽우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1호
    • /
    • pp.35-40
    • /
    • 2014
  •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경남 남해군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에 채집된 문치가자미 치어 이석을 관찰 분석하여 부화시기와 초기성장을 추정하였다. 문치가자미 치어는 2011년 2월에서 5월까지 총 175개체가 채집되었며, 체장-체중 관계식은 $W=9.76^*10^{-8}L^{4.39}$ ($r^2=0.93$)를, 체장-이석경 관계식은 L=0.0795R+0.2249 ($r^2=0.92$)로 추정되었다. 체장 성장은 $L_t=135{\exp}\{-{\exp}[0.0103(t-116)]\}$ ($r^2=0.83$)로 Gompertz 성장식이 가장 유의하게 회귀되었다. 이석 일령으로부터 추정한 주 산란시기는 12월에서 1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