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위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quatting in Childbirth; A New Look at an Old Transition (전통적 분만자세에 대한 새로운 조명: 쪼그리고 ?는 자세)

  • Romand Jain Leemis;Baker Irene Taylor
    • The Korean Nurse
    • /
    • v.26 no.1 s.139
    • /
    • pp.43-48
    • /
    • 1987
  • 분만진행에 수직체위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연구하는 연구자는 이러한 체위가 자궁수축력을 강화하고 분만시간을 단축하여 분만시 동통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파악했다. 분만과 출산 시 쪼그리고 앉는 방법이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적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여러가지 분만방법의 장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임상 경험에 의해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보다 효과적임을 알면서도 여러가지 위험을 우려하여 적용을 기피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앞으로 이러한 체위의 가치를 확인하고 특별히 다른 체위와 비교하여 쪼그리고 앉는 행위가 경관열상의 빈도, 분만 1,2기의 시간, 분만 중이나 분만 후의 뇨정체의 유무, 제대탈출의 빈도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쪼그리고 앉는 체위에 대한 가장 좋은 잇점을 얻기 위해 조산자는 이러한 체위를 언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또한 융통성있고 창조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의학적수행과 분만시 사정을 용이하게 하고 산부와 의료요원이 보다 편안하도록 하여야 한다. 조산교육자나 조산자는 분만시 그들의 체위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여 쪼그리고 앉은 방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임부에게 안전, 편안함, 분만의 효과적인 진행, 모든 선택 가능한 체위들을 교육하고 그러한 체위 중 쪼그리고 앉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 PD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with the Non-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체위성 폐쇄성수면무호흡 환자와 비체위성 폐쇄성수면무호흡환자의 임상적 특징 고찰)

  • Kang, Hyeon-Hui;Kang, Ji-Young;Lee, Sang-Haak;Moon, Hwa-Sik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19 no.1
    • /
    • pp.22-26
    • /
    • 2012
  • Objectives: The percentage of positional sleep apnea in obstructive sleep apnea (OSA) varies in different reports from 9% to 60%. If there is a positional dependency in patients with OSA, positional therapy alone could be successful in treating about 50% of all OSA cases.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compare anthropomorphic and polysomnographic data between the positional sleep apnea group and non-positional sleep apnea group with OSA whose conditions were diagnosed in our sleep clinic.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anthropomorphic and polysomnographic data of patients with OSA who was performed a nocturnal polysomnography. Positional sleep apnea was defined as having a supine apnea-hypopnea index (AHI) of twice or more compared to the AHI in the non-supine positio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 the positional sleep apnea group and the non-positional sleep apnea group. Results: In 101 patients with OSA, 81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49.2{\pm}11.9$ years. Seventy-six (75.2%) were diagnosed as the positional sleep apnea. Waist to hip ratio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n-positional sleep apnea group. The frequency of severe OS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is group. In the positional sleep apnea group, nocturnal sleep quality was better preserved, and consequently these patients were less sleepy during daytime. AHI was significantly lower and minimal arterial oxygen saturation during slee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is group. Conclusion: The percentage of positional sleep apnea in OSA was 75.2%. AHI, BMI, and waist to hip ratio were lower in the positional sleep apnea group. These patients have less severe breathing abnormalities than the non-positional sleep apnea group in polysomnography.

The Differences of Anthropometric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체위 의존성 및 체위 비의존성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신체계측인자 및 수면구조의 차이)

  • Park, Hye-Jung;Shin, Kyeong-Cheol;Lee, Choong-Kee;Chung, Jin-Hong;Lee, Kwan-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8 no.6
    • /
    • pp.956-963
    • /
    • 2000
  • Backgrounds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 can divided into two groups, positional(PP) and non-positional(NPP)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ccording to the body position while sleep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ifferences of anthropometric data and polysomnographic recordings between the two types of sleep apnea syndrome. Materials : Fifty patients with OSA were divided two groups by Cartwright's criteria. The supin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was at least two times higher than the lateral RDI in the PP group, and the supine RDI was less than twice the lateral RDI in the NPP group. This patients underwent standardized polysomnographic recordings. The anthropometric data and polysomnographic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 Of all 50 patients, 30% were found to be positional OSA. BM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P group(p<0.05). Total sleep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PP group (350.6$\pm$28.2min, 333.3$\pm$46.0min, (p<0.05). Sleep efficiency was high in the PP group(89.6$\pm$6.4%, 85.6$\pm$9.9%, p<0.05). Deep sleep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light sleep was lower in the PP group than in the NPP group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REM sleep between the two groups. Apnea index(AI) and RDI were significantly lower( 17.0$\pm$10.6, 28.5$\pm$13.3, p<0.05) and mean arterial oxygen saturation was higher in the PP group(92.7$\pm$1.8%. p<0.05) than in the NPP group. Conclusion : Body position during sleep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breathing abnormalities in OSA patients. A polysomnographic evaluation for suspected OSA patients must include monitoring of the body position. Breathing function in OSA patients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ir obesity and through postural therapy.

  • PDF

국민표준체위조사 표본설계를 위한 제안

  • 최종후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3 no.1
    • /
    • pp.111-120
    • /
    • 1996
  • 1992년 국민인체측정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도시규모, 거주권역에 따른 체위차이유무를 검증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자의 경우 청소년층에서 거주권역별 체위차이가 나타났으며, 반면 여자의 경우 장년층에서 그 차이를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경제적인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표본설계를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body position sensor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training (자세 교정훈련을 위한 체위 변환 감지 센서 디바이스의 개발)

  • Choi, Jung-Hyeon;Park, Jun-Ho;Seo, Jae-Yong;Kim, Soo-Ch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1 no.2
    • /
    • pp.80-85
    • /
    • 2020
  • Recently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students and office workers is increasing, and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correct posture and corrective training is required, but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In the previous study, a membran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was placed on the seat cushion to see the deviation of the body weight, or a sensor that restrained the user was attached to measure the position change. In this study, a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 position change in consideration of wearing comfort was developed, and the measured angle was verified through an analysis app. A sensor device consisting of an IMU sensor is attached to the cervical spine and vertebra spine to measure the position transformation in the sitting position. The change value of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two sensors was converted into an angle, and the angle value is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analysis app.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real-time chang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ition, the convenience of wearing, and the tendency of angle measurement were proved. Future research should proceed with more precise angle calculation and correction of motion noise.

우리나라 어린이 건강 및 영양상태의 현황과 문제점

  • Yun, Deok-J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12 no.2
    • /
    • pp.1-13
    • /
    • 1979
  • 성장발육하는 시기에 영양과 성장하는 아동들의 체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또한 영양부족과 그로 말미암아 자라나는 이학적 소견과도 불가분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부분적, 단편적으로 연구 발표된 문헌을 중심으로 그를 검토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아동들이 출생후 6개월까지는 주로 모유에 의존하고, 약간이 인공영양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 시기에는 다른 선진제국의 어린이들의 성장발육과의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인 $6{\sim}30$개월 사이에는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이유에 대한 지식이 빈약하고 이들 음식물을 그대로 아기들에게 적용하기 힘든 이유등으로 아이들에게 보급해서 주는 음식물이 빈약함으로 말미암아 다른 선진제국 아이들에 비해서 이 시기에 체위가 많이 떨어지고 빈혈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고양군에서 농민의 아동들에 대해서 시행한 영양조사 내용을 보면, 전체 칼로리도 부족되고 특히 단백질, 철분, 칼슘, 비타민 A, B복합제가 전반적으로 부족되는 것을 알았다. 이는 어머니들의 육아와 이유식에 대한 지식의 결집도 중요한 역할을 했겠거니와 더욱더 중요한것은 우리나라 어른들의 식습관이, 민족적 전통적으로 짜고, 매웁고, 딱딱해서 이를 아기들에게 그대로 적응해서 먹이기가 힘든 것도 더 중요한 이유가 된다. 어른들을 위한 음식물에도 맵지 않고, 짜지 않으며, 아기들도 즐겨 먹을 수 있는 유동식 혹은 반유동식으로 된 영양가치가 좋은 음식물을 발전시켜 애용하도록 하는 것이 민족적인 긴급한 과제라고 하겠다. 그렇지 않으면 선진제국 모양으로 이유기에 있는 아이들을 위해서 아이들이 즐겨 먹을 수 있는 이유식을 크게 발전시켜서 이유기의 아이들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생산공장과 제도의 마련이 긴급하다고 하겠다. 우리 민족의 체위를 향상 시키는데 영양학자와 영양사들에게 기대 하는 바가 크다. 육아하는 어머니의 교육정도와경제적인 면이 아기 체위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교육정도가 높고, 경제적으로 좋은 위치에 있는 엄마가, 교육정도가 낮고 경제적으로 가난한 위치에 있는 어머니보다 아이들 체위에 훨씬 좋게 기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이유기에 들어간 6개월 이후에 체위 격차가 심한 것을 볼 때 보충해 주는 음식물의 적절한 보급이 얼마나 필요한가를 말해 주는 것이며 이에는 어머니의 교양과 열의와 경제적 뒷받침이 얼마나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지역별로 서울에서 부유층 가정과 학교 아동, 농촌 지역 가정과 학교아동, 강원도 산간지역 가정과 학교 아등으로 나누어서 자라나는 아동들의 체위와 이학적 소친을 연구 조사한 바로는 서울 부유층이 제일 좋고 그 다음이 서울 빈한층, 강원도 산간지역 아동의 순으로 좋았으며 농촌지역 아종은 체위가 가장 떨어졌다. 구각증, 구내염등은 강원도 산간지역 아동에 제일 많고, 다음이 농촌지역, 서울 판자촌지역의 순으로 많으며 서울부유충지역이 가장 적어서 이는 산간일수록 또 는 빈한할수록 등물성단백질이 부족되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다. 지역별 혈색소치는 109gm/100ml 이하인 경우가 서울 빈한층가정 아동에 제일 많아서 51.7%나 되며 다음이 산간지역가정, 농촌지역가정의 순으로 많으며 서울부유층가정 아동은 2.2%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아등의 체위와 일본아동의 체위를 비교해 본 바로는 출생 후 약 12개월까지는 별차가 없지만 그후로는 점차로 그 격차가 심해져서 $12{\sim}15$세 사이에 평균체중면에서 5kg정도, 신장면에서 5cm정도의 큰 격차를 나타냈다. 그러나 그후로 성인이 되어감에 따라서 그 격차는 좁아졌다. 이는 일본국이 경제적으로 우리보다 우위에 있음에 따라서 아이들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적기에 적당하게 공급해 주었기 때문이며 우리는 많은아이들이 가만하기 때문에 그 나이에 맞는 영양분 보급을 적당히 하지 못한 결과로 생각할 수 밖에 없다. 한국 아동의 발육표준치를 1965년초에 측정한 것과 1975년도에 측정한 것을 비교해 본 결과 1975년 치는 1965년도치에 비해 체중과 신장 면에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는 우리라라 경제상태가 좋아지면서 굶는 아이들이 적어지거나 없어졌을 뿐만 아니라 식품 내용이 개선된 때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민족의 체위가 개선되고 향상되려면 제일 먼저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국가의 경제력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빈부의 격차가 적어져서 우리나라에 생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굶는 자가 없이 균형 있는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 할 수 있는기회를 갖도록 되어야 하겠다. 영양학자와 식품관리자들은 우러나라 아이들이 타고난 체위의 잠재성을 충분히 키우기 위해서 어떠한 음식물이 얼마나 필요한지 계산하여 이를 작물로 충분히 충당할 수 있도륵 계획해서 농수산물을 생산하도록 해야겠다. 영양학자들은 우리 민족의 음식물을 개선해서 아기들이 즐겨 먹을 수 있는 어른들의 음식물, 영양식을 발전시켜 이유기에 받는 우리 어린아기들의 수난을 조속히 극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양에 대한 교육을 국민학교, 중학교 교과과정에 많이 넣어서 교육하고 영양에 대한 교육과 보급을 조직적으로, 신문, 라디오, 텔레비젼등을 통해서 성인교육을 강화해서 모든 국민들이 적은 돈을 가지고도 보다 나은 영양물을 구해서 섭취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지도록 해야겠다. 국민학교 재학중 및 졸업시기를 전후딘서 체위가 많이 떨어지며 그 영향이 일생동안 간다는 것을 감안할 때 국민학교에서 점심 한끼라도 영양식을 보급해서 우리 국민체위 향상을 위해서 나라에서 직접적으로 공헌하는 바가 있었으면 한다.

  • PDF

한국동물학회 1976년도 춘계 연구발표: 식생활이 농아자들의 체위향상과 Hb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이금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19 no.2
    • /
    • pp.95-98
    • /
    • 1976
  • 집단 수용되고 있는 농아자들의 식생활이 이들의 체위 향상과 Hb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혈액형의 분포율에 일반 가정아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 양군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b 양은 일반가정아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상태이어서 9.2gr/dl에 불과했고, 혈액형도 정상아의 분포와는 달리 A형 30.7%, B형 23.6%, AB형 15.0%, O형 30.7%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between Group I in Which Non-Supine Apnea-Hypopnea Index ≥5 and Group II in Which Non-Supine Apnea-Hypopnea Index<5 in Patients with Positional Sleep Apnea (체위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앙와위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이상과 5 미만인 집단간의 비교)

  • Park, Won Il;Jung, Hye Won;Joo, Joon Bum;Cho, Ju Eun;Kim, Jong Ya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0 no.1
    • /
    • pp.31-34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positional dependent sleep apnea according to their non-supine apnea-hypopnea index (AHI, ${\geq}5$ vs. <5). Methods: 92 patients with positional sleep apnea were evaluat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I was non-supine AHI having ${\geq}5$ ; group II was non-supine AHI having less than 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Results: In 92 patients, the number of group I patients was 11 (12%) and the number of group II patients was 81 (88%). In the severe AHI group, percentage of group I was dominated (70%) an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mild and moderate AHI groups (p<.05). In the severe body mass index (BMI) group, percentage of group I was dominated (54.5%) an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of the mild and moderate BMI groups (p<.05). The percentage of group 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II (p<.05) in the AHI, supine AHI, non-supine AHI and snore time.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positional sleep apnea, severe OSA and high BMI are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non-supine AHI${\geq}5$ than non-supine AHI<5.

Development of a Shooting Training System using an Accelerometer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개발)

  • Joo, Hyo-Sung;Woo, Min-Jung;Woo, Ji-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7
    • /
    • pp.263-271
    • /
    • 2021
  • Optoelectronic shooting training systems are used in shooting training sites to improve the accuracy of shooting by tracking the trajectories of gun movements. However, optoelectronic-based system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cost, complexity of installation, and the risk that electronic targets may be broke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verified a shooting training system that measures postural tremors using a low-cost accelerometer.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was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air cylinder of a gun. Postural tremors were evaluated based on amplitude, frequency, and spatial pattern index, which were computed using acceleration data. The postural tremor indices between the accelerometer and optoelectronic-based system were highly correlated (left-right and up-down directions: r = 0.76 and r = 0.70, respectively). We validated the developed shooting training system using an independent two-sample t-test, which identifi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in the calculated postural tremor index according to the athlete's shooting score (i.e., best and worst shots).

Evaluation of measuring accuracy of body position sensor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자세교정을 위한 체위변환 감지 센서 디바이스의 정확성 평가)

  • Choi, Jung-Hyeon;Park, Jun-Ho;Kang, Min-Ho;Seo, Jae-Yong;Kim, Soo-Ch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2 no.3
    • /
    • pp.128-133
    • /
    • 2021
  • Recently Recently, the incidence of spinal diseases due to poor posture among students and office workers is increasing,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help maintain correct posture. In previous studies, a membran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was placed on the seat cushion to see the weight bias, or a sensor that restrained the user was attached to measure the position change. In our previous study, we developed a sensor device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body with an adhesive gel sheet and that measures and outputs the user's posture and body position in real time, but it has a limitation in the accuracy of the sensor valu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osition conversion sensor device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angle conversion measurement value, and a high accuracy with 2.53% of error rate was confirmed. In future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targeting actual users is needed by diversifying posture correction training contents with multimedia elements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