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s of Anthropometric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체위 의존성 및 체위 비의존성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신체계측인자 및 수면구조의 차이

  • Park, Hy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K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Choong-K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박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충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진홍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Backgrounds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 can divided into two groups, positional(PP) and non-positional(NPP)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ccording to the body position while sleep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ifferences of anthropometric data and polysomnographic recordings between the two types of sleep apnea syndrome. Materials : Fifty patients with OSA were divided two groups by Cartwright's criteria. The supin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was at least two times higher than the lateral RDI in the PP group, and the supine RDI was less than twice the lateral RDI in the NPP group. This patients underwent standardized polysomnographic recordings. The anthropometric data and polysomnographic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 Of all 50 patients, 30% were found to be positional OSA. BM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P group(p<0.05). Total sleep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PP group (350.6$\pm$28.2min, 333.3$\pm$46.0min, (p<0.05). Sleep efficiency was high in the PP group(89.6$\pm$6.4%, 85.6$\pm$9.9%, p<0.05). Deep sleep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light sleep was lower in the PP group than in the NPP group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REM sleep between the two groups. Apnea index(AI) and RDI were significantly lower( 17.0$\pm$10.6, 28.5$\pm$13.3, p<0.05) and mean arterial oxygen saturation was higher in the PP group(92.7$\pm$1.8%. p<0.05) than in the NPP group. Conclusion : Body position during sleep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breathing abnormalities in OSA patients. A polysomnographic evaluation for suspected OSA patients must include monitoring of the body position. Breathing function in OSA patients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ir obesity and through postural therapy.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 중 수평와위보다 측와위에서 호흡장애의 정도가 호전되는 체위성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신체계측인자와 수면단계 및 수면구조의 특성, 그리고 동맥혈산소포화도의 차이를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수면장애로 영남대학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20세 이상으로 체질량지수(BMI) 20 이상, 호흡장애지수(RDI) 10 이상, 수평와위와 측와위로 각각 30분 이상 수면을 취했던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artwright 등의 기준에 따라 체위성, 비체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구분하였다. 수면 다원 검사와 동맥혈 산소포도를 측정하였고 자동 체위감지 장치와 전문검사자의 관찰로 환자의 체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체위성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전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30%를 차지하였다. 이들의 신체 계측의 특징은 비체위성 무호흡증 환자와 비교할 때 몸무게는 낮은 경향이 있었고(p>0.05), 체질량지수는 낮았다(p<0.05). 체위성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수면효율이 높고(p<0.05), 총 수면시간과 깊은 수면을 나타내는 3, 4 단계의 수면지속 시간은 길었으며(p<0.05), 무호흡지수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한 수면 중 평균저산소포화도 및 평균산소 포화도, 그리고 최저산소포화도는 각각 87.7%, 92.7%, 78.3%로 비체위성 무호흡증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동맥혈 산소 불포화도 지수는 체위성 무호흡증 환자가 훨씬 낮았다(p<0.05). 결과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체위에 따라 수면 중 발생하는 호흡장애정도나 무호흡 빈도의 차이가 크고, 체질량지수는 이러한 체위에 따른 호흡양상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호흡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체위치료법과 비만도 조절이 중요하며,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할때 체위변동 관찰과 체위변동에 따른 수면구조의 변화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