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외성숙-수정-배양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1초

항산화제와 Growth Factors 첨가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tioxidants and Growth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최영진;박춘근;정희태;김정익;박동헌;장현용;양부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3-151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의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생산된 체외수정란을 NCSU23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NAC, ebselen 및 glutathione)와 성장인자(EGF와 PDGF)의 첨가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NAC을 0, 0.5, 1.0 및 2.0mM 첨가하여 체외배양한 결과,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성적은 1.0mM과 2.0mM 첨가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체외발육성적을 나타냈다. 한편, ebselen을 0, 5, 10 및 25$\mu$M을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상실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은 각각 17.9, 22.5, 36.9 및 10.8%로서 ebselen 10$\mu$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다소 높은 체외발육성적을 얻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또한 glutathione을 0, 50, 100 및 200$\mu$M 첨가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성적은 각각 21.8, 17.4, 28.3 및 15.8%로서 100$\mu$M 처리구가 여타구보다 다소 높은 체외발육성적을 얻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시 체외배양액에 growth factor의 첨가배양이 돼지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NCSU 23배양액에 EGF를 0, 10, 50 및 100ng/$m\ell$ 첨가시 상실배기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 성적은 각각 19.7, 29.0, 26.6 및 40.4%로서 EGF 100ng1m1 처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체외발육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PDGF를 0, 1, 5 및 10ng/$m\ell$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성적은 각각 22.0, 21.6, 33.9 및 15.9%로서 PDGF 5ng/$m\ell$ 처리구가 여타구에 비해 높은 체외발육성적을 얻었다. 본 실험에서 체외수정후 생산된 배반포기 수정란의 세포수는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체외배양에서 생산된 소 배반포기배의 초자화 동결 (Cryopreservation of Bovine IVM/IVF/IVC Blastocysts by Vitrification)

  • 남화경;김은영;이금실;윤산현;박세필;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231-238
    • /
    • 1999
  • 본 연구는 체외생산된 소 배반포기배를 발달 단계 및 배양일에 따라 구별하여 초자화 동결 및 융해하였을 때, 그 발달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수정 후 8일간 배양된 배반포기 배는 20% ethylene glycol에 3분 동안 평형시키고, EFS40 (40% ethylene glycol, 18% ficoll, 0.3M sucrose 그리고 10% FBS가 함유된 mDPBS) 동결액에 30초 동안 노출한 후,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초자화 동결되었다. 체외 생존 여부는 응해 24시간 및 48시간에 재팽창 및 탈출 또는 완전탈출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외수정 후 8일간 배 양하였을 때, 난할된 배의 배반포기 배로의 발달율은 41.0%였다 (초기 ; 7.6%, 팽창; 22.9%, 탈출; 4.6%, 완전탈출; 5.9%). 2) 배반포기배를 동결액에 노출 또는 초자화 동결하였을 때, 초자화 동결된 배반포기배의 재팽창율 (73.3%)은 대조군 및 동결액에 노출된 경우 (100, 97.0%)보다 낮았다 (p<0.05). 그러나 융해 48시간 후 탈출 또는 완전탈출 배반포기배 형성율은 초자화 동결된 경우 (66.7, 46.7%)와 노출된 경우 (66.7, 39.4%)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대조군(100, 100%)과는 차이를 보였다 (p<0.01). 그러나, 완전탈출까지 발달한 배반포기배의 총 세포수를 조사하였을 때, 각 처리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배반포기배의 발달 단계에 따른 체외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재팽창율은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4.5{\sim}75.6%)$. 그러나 융해 48시간 후, 탈출 또는 완전탈출로써 평가된 초기 배반포기배의 발달율 (25.8, 9.7%)은 팽창 (69.7, 39.4%)및 탈출 배반포기배 (53.3, 43.3%)의 발달율보다 낮게 나타났다 (p<0.05). 4) 또한, 배양 7, 8 그리고 9일의 팽창 배반포기배를 초자화 동결하였을 때, 8일 및 9일간 배양된 배반포기배의 재팽창율은 7일간 배양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7일; 93.9%, 8일; 75.8%, 9일; 87.5%) (p<0.05). 그러나 완전탈출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서는 처리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일; 36.4%, 8일; 36.4%, 9일; 31.3%). 이러한 결과는 EFS40을 이용한 2단계 초자화 동결 방법이 체외생산 된 팽창 및 탈출 배반포기배의 동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흑염소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관한 연구

  • 최창용;조숙현;한만희;권응기;최성복;최연호;최순호;손동수;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6-86
    • /
    • 2002
  • 면양과 염소가 최근 수십년동안 세계여러 나라에서 번식생리의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어 왔는데, 체내수정란의 생산에 관한 영역도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어왔다. 수정란생산을 위한 발정동기화방법, 과배란처리 및 수정란회수방법 기술은 현재 상당히 많은 기술진척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우리나라 고유의 재래유전자원인 흑염소에는 이를 위한 기술이 미진한 실정이므로 본 실험에서는 흑염소의 체내수정란생산기술을 확립하여 재래가축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기초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체중 20kg 이상의 건강한 흑염소를 이용하여 발정동기화를 위해 controlled intravaginal drug release(CIDR)를 질내에 14일 동안 삽입하고, 과배란처리는 FSH를 CIDR 삽입 12, 13, 14일째에 12시간 간격으로 점감법으로 총20mg을 투여하였으며, PGF$_2$a를 13일째 FSH와 함께 투여하였다. CIDR는 14일째의 아침에 제거하였다. 수컷과의 교미는 CIDR제거 24시간후에 GnRH를 투여와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채란은 교미후 3일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CIDR처리경과에 따른 progesterone농도는 CIDR 주입시 바로 수치가 상승하여 제거전까지 6~12ng/m1의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제거즉시 2ng/ml 이하로 떨어졌다. 채란시 평균 배란점은 16.5개, 미배란난포 9.8개였으며, 회수수정란은 6.0개를 나타내어 채란율은 36.4%를 나타내었다. 회수된 수정란의 발달단계는 4-cell 78.9%, 2-cell 5.3%, fragmentation 15.8%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체내수정란생산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이후 수정란의 동결 및 수정란이식기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우리나라의 재래가축인 흑염소의 유전자원 장기보존과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배양액에 30 embryos/50ul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의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 12시간 후에 난자 급속 염색법으로 염색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76.4~95.2%), 정자침투율(51.1~66.9%), 웅성전핵형성률(95.2~100%), 다정자침입률(18.2~25.6%) 및 평균침입정자수(1.2~l.4개)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체외배양 48시간 난할률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차이(53.9~67.9%)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은 각각 14.5, 25.4, 17.3 및 12.4%로서 25uM의 $\beta$-ME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배발달률을 나타내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돼지 난포란을 성숙배양할 때, 25uM $\beta$-ME를 첨가배양하는 것이 양질의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조사되었다.다.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 PDF

N-acetyl-L-cystein, N-acetyl-L-cystein Amide, Glutathione 및 Cysteamine 항산화제가 소 체외수정란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tioxidants, N-acetyl-L-cystein, N-acetyl-L-cystein Amide, Glutathione or Cysteamine o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Oocytes)

  • 김민수;김찬란;김남태;전익수;김성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07
    • /
    • 2017
  • 소 난자의 체외 성숙 및 발달과정에서 항산화제의 첨가는 발생과정에 생성될 수 있는 ROS를 조절하여 체외발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 수정란의 성숙과정과 발생과정에서 ROS에 대한 방어 기작에 필요한 물질로 -SH기(thiol group)을 함유하고 있는 NAC, NACA, GSH 및 CYS를 첨가하여 COCs의 난자 성숙율과 체외 수정 후 수정란의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도축장 유래 난소의 성숙율은 항산화제 처리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p>0.05), 배반포 형성율은 0.1 mM CYS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32.3{\pm}5.0%$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p<0.05). 항산화제 0.3 mM NAC, 0.2 mM NACA 또는 0.5 mM GSH를 처리하는 실험군에서 배반포 형성율은 각각 $18.8{\pm}3.7%$, $21.2{\pm}3.9%$$26.5{\pm}5.0%$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항산화 물질인 NAC, NACA, GSH 및 CYS을 난자의 성숙 및 수정란 배양과정에 첨가하면 난자의 성숙에 영향이 없으나, CYS처리군이 배반포형성율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p<0.05).

체외성숙, 수정 및 배양된 한우 체외수정란의 유우이식에 의한 산자 생산 (Production of Korean Native Calf by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Cultivation and Transfer of Embryos into Holstein Cows)

  • 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7-54
    • /
    • 199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Korean native calves following transfer of in vitro matured, fertilized and cultured embryos into Holstein cows. The ovaries of Korean native cows or heifers were obtained from an abattoir and kept on 25 to 28$^{\circ}C$ and transported to laboratory within 2 hrs. The oocytes were matured in vitro (IVM) for 24 hrs in TCM-199 supplemented with 35$\mu\textrm{g}$/ml FSH, 10$\mu\textrm{g}$/ml LH, 1$\mu\textrm{g}$/ml estradiol-17$\beta$ and granulosa cells at 39$^{\circ}C$ under 5% CO2 in air. They were fertilized in vitro (IVF) by epididymal spermatozoa treated with heparin for 24 hrs., and then the zygotes were co-cultured in vitro (IVC) with bovine oviductal epithelial cells for 7 to 9 days. Late morulae and blastocysts produced in vitro were nonsurgically transferred to recipient cows by unilaterial. Recipients were monitored for estrus and for pegnancy by rectal plapation in 60 days after embryo transfer. One of them was pregnant to term and produced a female weighing 42.5kg at birth.

  • PDF

초음파 유래 Ovum Pick-Up 기술을 이용한 엘크 암사슴의 수정란 생산 (Embryo Production from Elk using Ultrasound-Guided Ovum Pick-Up Technique)

  • 이은도;이상훈;김동교;이진욱;이성수;김관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33-439
    • /
    • 2020
  • 본 연구는 초음파 유래 OPU (Ovum Pick-Up) 기술을 이용하여 엘크 암사슴의 개량 및 활용성 증진을 위해 엘크 암사슴 난자를 채취하였다. 비번식 계절시기에도 체외 수정란이 생산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OPU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사슴 난소에서 난포를 흡입한 후 난자를 회수 하였다. 총 85개의 난포를 흡입 한 결과 57개의 난자가 회수되어 67.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난자의 등급을 평가한 결과 A 등급 14.0%, B 등급 19.2%, C 등급 15.7% 및 D 등급 50.8%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C 등급의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28개의 난자를 이용하여 67.9% (19/28)의 수정율을 보였으며 배반포 발달율은 14.3% (4/28)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볼 때, 계절번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엘크에 초음파 유래 OPU 방법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체외수정과 체외배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킨다면 엘크 수정란 이식을 통해 사슴의 개량기반 구축과 암사슴의 활용성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체외성숙 돼지난포란의 체외수정과 배발달에 관한 연구 I. 배양액, 수정능획득 방법이 체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Porcine Follicular Oocytes I. Effect of Media and Capacitation Procedure on In Vitro Fertilization)

  • 정형민;엄상준;승경록;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3-111
    • /
    • 1993
  • These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establish the optimal culture systems for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subsequently embryonic development of porcine immature follicular oocytes isolated from the ovary of slaughtered pigs. Porcine ovaries were brought to the laboratory from local slaughter house within 1 hour after slaughtering and cumulus oocytes complexes were recovered from antral follicles (3~5mm) with 23 gauge needle. To maturate follicular oocytes, cumulus oocytes complexe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TCM-199 containing 25mM HEPES and incubated (39$^{\circ}C$, 5% CO2 in air) for 42hrs. Ejaculated and liquid storaged boar spermatozoa capacitated with different sperm capacitation methods and media were prepared forfertilizaing of matured follicular oocytes in vitro. Fertilization was performed by adding 5~10${mu}ell$ of capacitated spermatozoa containing 1~5$\times$105 sperm/ml to droplets. Eighteen to twenty-eight hours after sperm insemination, fertilized egg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culture media and transferred to the culture media. The fertilization rates of in vitro matured follicular oocytes cultured in B. O., TCM-HEPES, m-KRB, and TALP-II media were 61.3%, 83.0%, 88.9% and 89.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olyspermy rates were 60.7%, 66.5%, 53.8%, and 43.9%, respectively. These data indicated that the highest of fertilization and the lowest of polyspermy rate was shown in TALP-II medium. Spermatozoa capacitated by caffeine, heparin, and percoll density gradient treatment in the 4 different media, the fertilization rates were 33.0~57.2%, 39.9~90.2%, and 52.6~92.8%, respectively, showing the lowest rate in caffeine treatment. The development rate of follicular oocytes, fertilized with the spermatozoa capacitated by caffeine, heparin, and percoll gradient in the TALP-II medium, upto 2 to 4-cell stages were 32.6%, 74.5% and 70.9%, respectively. Finally, fertilization rates of follicular oocytes cultured with follicular fluid containing medium from 10 to 100% were 61.2~94.1% and the rates (90~94%) with 10~20% follicular flu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85.3%) of cultured in the media without follicular fluid. In addition, the rates of pronucleus formation were also higher in follicular fluid treated group (73.1~83.0%) than those (64.7%) of oocytes cultured without follicular fluid. The highest fertilization and pronucleus formation rates was found in oocytes cultured with 10% follicular flu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heparin or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is better capacitation method. Furthermore, the addition of porcine follicular fluid to the fertilization medium may improve the fertilization rates and formation of pronucleus.

  • PDF

Epidermal Growth Factor가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IV. 체외 배발달에 미치는 Epidermal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Maturation in Pig Immature Oocytes;IV.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Development)

  • 엄상준;김은영;김묘경;김태완;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303-310
    • /
    • 1996
  • 본 연구는 epidermal growth factor (EGF)가 처리된 돼지 체외성숙란의 채외수정 후 배발달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난구세포가 치밀한 미성숙란은 TCM 199 배양액에 (1) 무처리군 (2) 10 ng/ml EGF 처리군 (3) 10 ${\mu}g/ml$ FSH와 10% FBS 처리군 (4) 10 ng/ml EGF와 10 ${\mu}g/ml$ FSH 그리고 10% FBS 처리군으로 나누어 4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1은 이들 처리군을 수정 후 NCSU (0.4% BSA)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후기 배발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과 (4)처리군 (13.4, 18.3%)의 배반포로의 발달율이 (2) 처리군(5.2%, p < 0.005)보다 현저하게 높았지만, (2) 처리군의 경우 (1) 처리군(1.2%, p < 0.005)의 배반포로의 발달보다는 현저하게 높았다. 실험 2는 수정 이후 6일째 이들 처리군에서 생산된 배반포기배를 double staining (propidium iodide and bisbenzimide)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 처리군 (58.80 ${\pm}$ 11.90)의 배반포의 total 세포수가 (2)와 (3) 처리군 (42.17 ${\pm}$ 9.97, 49.07 ${\pm}$ 9.77, p < 0.05)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며, 배반포의 ICM 수에 있어서도 (4) 처리군 (11.69 ${\pm}$ 5.56)이 (2)와 (3) 처리군 (5.00 ${\pm}$ 4.24, 6.77 ${\pm}$ 4.92, p < 0.05)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더 우기 (4) 처리군 (19.0 ${\pm}$ 1.6)의 total 세포수에 대한 ICM의 비율이 (2)와 (3) 처리군 (11.1 ${\pm}$ 3.0, 12.7 ${\pm}$ 2.1) 보다 높았다. 이들의 결과로서, EGF가 단독 처리된 돼지 체외성숙란은 비록 낮았지만 배반포로 발달할 수는 있으나, 체외성숙시 FSH와 FBS의 추가 첨가는 높은 배반포로의 발달과 total 세포수와 ICM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 PDF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항산화제와 BSO의 효과 (Effect of Antioxidants and Buthionine Sulfoximide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최영진;박춘근;김정익;정희태;박동헌;장현용;장원경;박진기;양부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3-228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의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생산된 체외수정란을 NCSU 23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NAC, ebselen 및 glutathione)와 BSO의 첨가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Glutathione 합성억제제인 BSO가 돼지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0, 1.0 및 5.0 mM의 BSO을 첨가한 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성적은 각각 35.9, 15.7 및 8.4%로서 BSO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체외배율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NAC 1.0 mM ebselen 10 $\mu\textrm{m}$ 및 glutathione 100 $\mu\textrm{m}$ BSO 1.0 mM을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상실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율은 40.5, 44.2, 36.0 및 10.9%로서 항산화제 첨가구가 BSO 첨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체외발육성적을 나타냈다P<0.05). 체외수정후 생산된 배반포기 수정란의 세포수는 BSO 농도(0, 1 및 5 mM)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ebslene, NAC 및 glutathione 첨가구가 BSO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세포수을 나타냈다(P<0.05).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 Melatonin과 Sodium Nitroprusside(SNP) 첨가 효과 (The Effects of Melatonin and Sodium Nitroprusside (SNP) on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장현용;오진영;김종택;박춘근;정희태;김정익;이학교;최강덕;양부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83-87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의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인 melatonin의 첨가 및 melatonin과 sodium nitroprusside(SNP)의 첨가배양이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NCSU 23 배양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율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 성적에서도 melatonin 1 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SNP를 0, 50 및 100 $\muM을 첨가하여 체외 배양한 결과, 상실배 이상 발육성적은 각각 41.9%, 25.6% 및 28.4%로서 SNP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대조구, SNP 50 $\muM, SNP 50 $\muM에 melatonin 1, 5 및 10nM을 혼합첨가하여 체외 발육율을 조사한 결과, 배반포기 발육율은 각각 2.5%, 1.2%, 9.9%, 5.1% 및 3.7%로서 SNP 50$\mu$M + Mel. 1nM 첨가구가 여타구 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상실배기 이상 체외 발육율은 31.3%, 34.1%, 39.5%, 29.4% 및 39.5%로서 SNP 50 $\mu M + Mel. 1 nM 첨가구와 SNP 50 $\muM + Mel. 10 nM 첨가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구에서 배반포까지 발육된 체외수정란의 세포수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