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액균형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식품위생 측면에서 본 소금의 안전성

  • 허근;김미혜;홍무기;송인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86-390
    • /
    • 1999
  • 소금은 공기나 물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다. 즉 체액의 삼투압의 균형유지, 신경이나 근육의 활동조절 등을 통하여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영양분을 운반하거나 신진 대사를 하거나 노폐물 등 물질이 이동될 때에는 삼투압이 근 구실을 하게 되는데 소금은 이와 같은 체액의 삼투압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 소금은 위액의 염산이 되어 살균 작용이나 소화작용을 도와준다. 또한 소금은 간접적으로 적혈구의 생성을 도우며 발한 작용을 통하여 체온의 적절한 유지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외에 최근 여러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 죽염의 기능성 여부에 대하여도 과학적인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중환자의 체중변화와 섭취량과 배설량 균형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ake and Output Balance and Body Weight Chang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김화순;이영휘;이지수;이진영;추상순;이보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8-17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intake and output balance and body weight change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ifferenc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ere 65 medical surgical ICU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 medical records.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3.80 years (${\pm}15.21$). Body weight changes for 48 hours averaged 281.54g (${\pm}2210.48$). I&O balance for 48 hours corrected for insensible loss averaged 398.1ml. Differences ranged from 45mL to 7,535mL. In the distribution of absolute difference between body weight change and intake and output balance, only 40% of the patients were within less than 1,000 mL. Factors relating to accurate measure of intake and output were ventilation methods, respiration patterns, and edema status. Conclusion: Although mean values of weight change and I&O balance for all patients were very close, the range of differences was very wide indicating that, for many patients, intake and output is not an appropriate indicator of body fluid balance. Therefore, because of the frequency fever and/or hyperventilation, nurses need to use caution when using intake and output balance only to estimate current body fluid statu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체액의 수분 및 나트륨 균형 (Water and Sodium Balance of Body Fluid)

  • 김지홍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111-119
    • /
    • 2010
  • 1. 나트륨은 세포외액의 유효삼투압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용질이며, 수분 밸런스의 이상은 혈중 삼투압의 변화와 혈중 나트륨농도의 이상(hyponatremia, hypernatremia)으로 발현된다. 2. 수분의 출입의 조절에 의하여 체액의 농도변화에 대처하는 과정을 수분 밸런스(water balance) 혹은 수분 대사(water metabolism)라 하며, 세포외 액량 특히 유효혈장량의 변화에 대처하여 체내 총 나트륨량의 출입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트륨 밸런스($Na^+$ balance) 혹은 나트륨 대사($Na^+$ metabolism)라 하고 그 차이점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3. 수분 밸런스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요소는 갈증반응에 의한 수분섭취와 항이뇨호르몬(AVP)에 의한 소변으로의 수분 배출이며, AVP의 분비의 강력한 자극은 삼투압의 변화와 유효혈장량의 변화이다. 4. 나트륨 밸런스는 나트륨 섭취욕구에 의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하며, 주로 신장에 의한 염분배출조절에 의하며 이루어지고, 사구체 여과율과 알도스테론 분비가 신장의 나트륨 배설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간호사의 수분 섭취배설량 측정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 (Nurses' Perception and Practice of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

  • 강남이;안숙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4-94
    • /
    • 2016
  •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levels of nurses' perception and practice of fluid intake and output (I & O) measuremen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of it.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195 nurses who practiced fluid I & O measurement were recruited from a general hospital.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completed a structured study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levels of perception and practice of fluid I & O measurement. Results: A level of perception of I & O measurement was high (3.46 points out of 5), and scores for 3 subdomains of I & O (importance, accuracy, and efficacy) were evenly high. The level of practice of I & O was fairly high (3.76 points out of 5). Perception and practice of I & O were highly correlated (r=.73, p<.001). Conclusion: Nurses seem to have higher levels of perception and do practice fluid I & O measurement correctly. In order to have reliable and valid I & O measures, nurses need to have continuous education on I & O measurement based on clinical guideline to utilize it as an invaluable clinical instrument.

고온 환경에서 3 mg·kg-1의 카페인 섭취가 운동 시 체액, 전해질 균형 및 외이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3 mg·kg-1 Caffeine Ingestion during Exercise on Fluid-Electrolyte Balance and Tympanic temperature changes in the Heat)

  • 김태욱;박봉섭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5-81
    • /
    • 200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gestion of 3 mg·kg-1 caffeine on fluid-electrolyte balance and Tty change during exercise under heat environment of 30~32℃ (40-50% humidity). Five trained males who routinely trained for approximately 60 min·d-1, 3-6 d·wk-1 (age; 28.20±3.56yrs, height; 174.56±5.46 cm, body mass; 76.13±9.02 kg, body fat(%); 14.24±3.99, VO2max; 54.00±4.30 mL·kg-1·min-1, exercise career; 4.20±1.95yrs) performed 40min of treadmill running in heat chamber. The study was a double-blind, randomized, crossover design. Body mass change following exercise was higher for the PLAC (Placebo) and CAFF (Caffeine) in comparison to the CON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FF, PLAC, CON (p= .997). The Usg not significant differences (p= .731) and Osmurin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AFF, PLAC, CON (p= .901). There also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 CAFF, PLAC, CON for [Na+]urine and [K+]urine (p= .928, p= .469). In the case of Tty, although the increase rate of Tty was the highest for the CAFF on exercise early, exercise the second half in comparison to the CON and PLAC, there was no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AFF, PLAC, and CON of Tty (p= .067),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3 mg·kg-1 caffeine ingestion prior to exercising in heat environment does not impart negative effect on body fluid, electrolyte balance and changes in Tty.

양질의 계란 생산전략 I. 난각과 난각색형성 (A Strategy for Quality Poultry Egg Production I. Eggshell Strength and Pigmentation)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5-132
    • /
    • 2000
  • 본 장에서는 양질의 계란생산에 필요한 난각과 난각색의 형성에 관해서 언급하였다. 강한 난각의 형성은 난각을 이루는 내적인 요인들 (큐티클층, 진각, 난각층의 조직)과 소화기, 난각형성에 관여하는 각종 체내 분비선, 신장, 호르몬 등의 적정기능에 의하여 결정된다. 병아리가 성성숙에 달하면 골수골은 산란계가 난각의 형성이 정점에 달했을 때를 대비 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 난각이 형성되는데 중요한 기능을 갖는 요인들로는 산란계 사료중의 칼슘원, 산란계사료 중의 칼슘과 인의 비율, 비타민 D의 적정수준, 체액중의 각종 무기물 균형, 기타 영양소 수준들을 들 수 있다. 또 생리적, 환경적인 요인들과 산란계의 나이나 산란계사의 온도와 습도, 산란계의 계통, 질병, 계사에서 알의 수집부터 수송에 이르기까지의 각종 관리형태 등은 계한이 생산자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에서 나타나는 각종 난각 파괴의 요인이 된다. 난각에 나타나는 색소에 관여되는 요인들로는 protoporphyrin-IX, biliverdin-IX, 아연 등이 함유된 킬레이트와 때로 적은 양이 관여하기는 하지만 coproporphyrin-III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난각색의 형성에 관여하는 데에는 산란계의 연령, 질병, 약품 첨가 여부, 난각 형성도 중 난각 표면의 손상 여부 등 여러 가지가 관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