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선별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5초

탈곡성능(脱糓性能) 향상(向上)을 위(爲)한 요동(搖動)체 선별방법(選別方法)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Oscillating Sieve Separation Method for Improving Threshing Performance)

  • 김상헌;정창주;유수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33-47
    • /
    • 1982
  • To modernize the conventional rice post production technology and reduce grain losses, a transition toward the wet-paddy threshing system has been strongly demanded. The head-feeding type thresher with pneumatic separation has been used dominantly for threshing dried-paddy, but some adverse effects in separation performance for threshing wet-paddy is encounterr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development of thresher with an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to the conventional pneumatic separation has been recommand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 with oscillating sieve which was attached additionally to the conventional auto-thresher equipped with separation system of blower and suction fan. For different feed rates and rice varieties, wet-and dry-material were tested with threshers attached with and without oscillating siev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feed rates were 480 and 640 kg/h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wer reqirements between the threshers with and without an additional sieve device for both dry-and wet-threshing. However, when the feed rate was 960 kg/hr, power requirements of thresher without sieve were greater for wet-paddy threshing than the thresher with the additional sieve separator by about 20% points. 2. With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device, the ratios of total weights of whole grains including grains with branch let and damaged grains to the total output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feed rates. However, with pneumatic separation the ratio was decreased as the level of feed rate increased. 3. The total amount of grains with branchlet (including broken panicle) increased with the moisture content. For both the wet-and dry-material threshing with the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the percent of grains with branchlet to the total output decreased greatly as the feed rate increased. 4. The output of the damaged grains increased 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Especially, for the dry-paddy threshing, the additional sieve separating device produced more damaged grains than the pneumatic separation at all feed rates. 5. Generally, for dry paddy threshing, the separating performance of the thresher with the additional sieve device was better at all feed rates, showing greater difference with increasing feed rates. 6. Separating losses were greater with the pneumatic than sieve separation for both the wet-and dry-threshing. 7. The overall comparison of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s tested with and without an additional sieve device showed that the form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atter for the dry-material threshing. However, for the wet-paddy threshing, the separation performance with a sieve device was better than the pneumatic only when the feed rate was high.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Trichoderma Endoglucanase의 발현과 분비 (Expression and Secretion of Trichodema Endoglucan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신동하;김재범;김병우;남수완;신지원;정대균;정춘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6-412
    • /
    • 1998
  • Trichoderma sp. C-4 유래의 endoglucanase 유전자(egl6)를 ADH1 promoter 하류에 연결하여 구성적 발현 plasmid인 pVT-C4를 제작하였다. 이를 3종의 S. cerevisiae숙주세포(YNN27, 2805, SEY2102)에 형질전환시켜 각 숙주세포당 80개의 형질전환체를 시험배양하여, 균체증식과 endoglucanase 발현량이 뛰어난 형질전환 효모 균주를 선별하였다. 3종의 재조합 효모를 YPD 배지에서 회분 배양했을 때, YNN27 균주가 가장 낮은 균체농도(OD$_{600}$=19)를, 2805 균주가 가장 높은 균체농도(OD$_{600}$=33)를 보였으며, 총 발현된 endoglucanase 활성은 균체농도에 의존적인 양상으로 나타나 YNN27의 경우 586 unit/l, SEY2102의 경우 1023 unit/l, 2805의 경우 1142 unit/l 순서로 증가하였다 비활성(균체농도당 endoglucanase활성 )은 세 균주 모두 31~34 unit/l/OD$_{600}$ 값을 보여 단위 균체당 발현능 차이는 거의 없었다. Plasmid 안정성은 배양 72시간에서 세 균주 모두 80%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발현된 endoglucanase의 분비 국재성은 세포밖 배지에 약 80%, periplasmic space 잔존 활성이 11~13%, 세포질 분획에서의 활성이 8~10% 정도로 세 균주에서 모두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즉, egl6의 분비신호는 S. cerevisiae에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분비 기능을 발휘하였다. 재조합 endoglucanase는 nondenaturing-PAGE 상에서 전형적인 당단백질의 disperse band를 두개 보였다. 세가지 숙주세포에 따른 재조합 endoglucanase활성 band들의 이동상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당쇄부가 양상은 야생형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불균일하게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수 있었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Pseudoalteromonas carageenovora 유래 Arylsulfatase 유전자의 표층 발현 (Cell Surface Display of Arylsulfatase Gene from Pseudoalteromonas carageenovora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조은수;김현진;정소아;김정환;김연희;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5-360
    • /
    • 2009
  • P. carageenovora 유래 arylsulfatase 유전자(astA)의 효모표면발현 plasmid pCTAST(7.1 kb)를 구축하여 S. cerevisiae EBY100에 형질전환하였고, 선별된 형질전환체들을 YPDG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4-methylumbelliferyl sulfate를 분해하여 형광을 보였다. 이는 효모에서 arylsulfatase가 활성형으로 생산되었음을 의미하였다. S. cerevisiae EBY100/pCTAST를 플라스크 배양했을 때 arylsulfatase 활성은 galactose가 완전히 소모된 배양 48시간째 최대 활성인 1.2 unit/mL로 나타났으며 배양 상등액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효모 S. cerevisiae의 세포표면에서 발현된 재조합 arylsulfatase로 제조된 agarose를 agar와 시판용 agarose와 함께 ${\lambda}DNA$ HindIII marker를 사용하여 DNA 전기영동 성능을 비교 실험한 결과, agar보다는 재조합 arylsulfatase 처리로 제조한 agarose가 이동성이나 분리능에서 우수하였으며, 시판용 agarose와 비교하여 이동성이나 분리능이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효모 S. cerevisiae의 세포표면에서 발현된 재조합 arylsulfatase 효소를 이용하여 한천으로부터 전기영동용 고순도 친환경적인 agarose 생물 생산 공정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Glucose Oxidase와 Catalase의 동시 고정화 제품과 성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oimmobilized Glucose Oxidase-Catalase)

  • 이석희;엄태붕;조숙자;변시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80-186
    • /
    • 1984
  • 비교적 높은 역가의 glucose oxidase(GOD)와 catalase(CAT)를 세포의 효소로 생산하는 균주인 Penicillium spp., PS-8을 선별배지를 사용하여 액체 배양하였으며, 그 결과 배양액 1ml당 2.7units의 glucose oxidase와 2.0units의 catalase를 얻었다. Glucose oxidase와 catalase를 분리하기 위하여 $60{\sim}90%\;(NH_4)_2SO_4$ 분별침전을 행한후 DEAE-cellulose column을 사용하여 두 효소를 완전히 분리하였으며, 이들 효소의 회수율은 54%와 34%이었다. 분리된 glucose oxidase와 catalase는 PS-8 균주를 효소 고정 매개체로 하여 2.5% glutaraldehyde를 가교제로 12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효소를 고정시켰다. 이들 고정화 효소는 CAT/GOD 값이 서로 다르게 동시 고정, 고정후 혼합, glucose oxidase만의 고정 등의 형태로 만들었다. pH에 따른 효소의 활성변화에서는 동시고정 및 고정후 혼합 방법이 수용성 효소보다 안정화됨을 보여 주었으며, 동시 고정에서는 CAT/GOD값이 높을수록 보다 완만한 pH 활성곡선을 나타내었다. GOD와 CAT/GOD=10의 Km' 값은 각각 $7.1{\times}10^{-2}$$5.1{\times}10^{-2}M$이었으며, 이들의 활성화 에너지값은 각각 3.97 및 2.98 kcal/mole/deg이었다.

  • PDF

전산광물학을 이용한 점토광물 내의 수산기 연구 가능성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Mineralogy to Studies of Hydroxyls in Clay Minerals)

  • 채진웅;권기덕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1-281
    • /
    • 2014
  • 점토광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자 또는 원자 스케일의 연구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험만으로는 광물의 미시적 현상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2:1 점토광물 팔면체에 존재하는 수산기(hydroxyl)가 금속 양이온 흡착과정에 큰 역할을 한다는 가정은 X-ray를 이용하는 실험만으로는 명확하게 테스트하기 어렵다. 이번 논문에서는 점토광물 내의 수산기 연구에 대한 전산광물학(computational mineralogy)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점토광물의 기본구조인 팔면체 층만으로 구성된 광물, 1:1 구조를 갖는 광물, 2:1 구조를 갖는 광물 중 대표적인 이팔면체 및 삼팔면체 층상규산염 광물을 선별하여 구조최적화를 실시하였다. 분자역학적(molecular mechanics) 계산과 양자역학적(quantum mechanical) 계산 모두 실험값의 격자상수(lattice parameters)를 잘 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면체층과 팔면체의 구조적 뒤틀림(structural distortion) 등 광물 내부구조를 기존 실험결과와 비교했을 때, 양자역학적 계산결과가 분자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과 보다 더 낮은 오차를 보였다.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 수산기가 (001)면과 이루는 각은, 수산기의 H(proton)과 사면체의 Si 양이온 간의 척력으로 결정되는데, 양자역학적 방법은 약 $25-26^{\circ}$로 예측하였고, 분자역학적 방법은 약 $35^{\circ}$ 정도로 양자역학계산 결과와 무려 $10^{\circ}$의 큰 차이를 보였다. 전산광물학은 점토광물 구조연구에 신뢰성이 매우 높은 연구방법으로 양이온 흡착과정 중 수산기의 역할 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능력 스펙트럼법을 이용한 건물 지진 손실 평가 방법 (A Methodology of Seismic Damage Assessment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 변지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8
    • /
    • 2005
  • 본 연구는 지진으로 인하여 발생한 건물의 피해액을 보다 객관적으로 예측 평가할 수 있는 ACM(Advanced Component Method) 개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M은 지금까지의 재래식 손실 평가방법에 사용된 구조 기술자들의 주관적인 관점과 전문가적 견해에서 탈피하여, 지진의 크기에 따른 구조형식이 각기 다른 건물들의 내진 성글 평가 기술에 바탕을 둔 지진 손실 평가 방법이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선별된 전형적인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비선형 정적 내진 해석인 pushover 해석을 실행하여 그들의 건물 능력도와 각 부재의 비선형 응답을 계산한다. 지진하중은 ADRS(Acceleration-Displacement Response Spectrum)의 응답 가속도와 응답 변위의 형태로 표현하여 이를 건물 능력도와 함께 능력 스펙트럼법(Capacity Spectrum Method) 기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진 성능점을 찾는다. 또한 전체 건물을 주요 구조체인 기둥, 보, 슬래브 등과 비구조체인 비내력 벽판, 외벽 장식용 요소 등을 각각 분리하여 건물 각 부재들의 지진 응답 변위에 따른 피해율을 산출한다. 이들 각 부재들의 피해는 그 부재들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보수보강기법과 그에 따른 비용산정 모델을 이용하여 각 부재의 금전적인 피해액으로 전환한다. 마지막으로 Monte Carlo기법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얻은 건물의 응답과 각 부재들의 지진에 따른 피해율, 그리고 그 부재들의 비용산정 모델을 종합하여 전체 건물의 최종의 피해율을 얻는다. 특히, 현존하는 건물에 사용된 재료와 설계 가정 하중의 가변성에 따른 건물 거동에 대한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Latin Hypercube 추출 기법을 사용하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사례평가를 위하여 과거 일어났던 지진 피해정보와 손실 자료들을 바탕으로 ACM방법과 재래식 방법을 이용한 건물 손실 평가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중 모드 컴프턴 카메라의 측면 흡수부 제작을 위한 신호처리회로 개발 (Development of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Side-absorber of Dual-mode Compton Camera)

  • 서희;박진형;박종훈;김영수;김찬형;이주한;이춘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16-2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이중 모드 컴프턴 카메라의 측면 흡수부 개발을 위해 CsI(Tl) 섬광체에 실리콘 광다이오드를 결합한 섬광 검출기를 제작하였고, 이를 위한 신호처리회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개발된 신호처리회로는 에너지를 결정하는 파트와 타이밍을 결정하는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승 에지 선별기 및 TTL-to-NIM 로직 변환기를 포함하도록 개발하였다. 검출기와 초단의 신호처리회로(front-end electronics, FEE)는 AC 커플링 구조로 구성하였다. FEE의 잡음 특성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크게 기여하므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조건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후 제작된 감마선 검출 시스템의 에너지 분해능 및 시간 분해능을 결정하였다. 평가된 에너지 분해능은 662 keV 피크와 511 keV 피크에 대해서 각각 12.0% 및 15.6% FWHM이었다. 시간 분해능은 59.0 ns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섬광 검출기 및 신호처리회로의 성능이 기대에 다소 미치지 못하므로 결론에서는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Bacillus CGTase의 표층발현 (Surface Display of Bacillus CGTase on the Cell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현철;임채권;김병우;전숭종;남수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8-123
    • /
    • 2005
  • B. stearothermophilus 유래의 CGTase 유전자(cgtS)를 보유하고 있는 재조합 plasmid pCGTS (4.8 kb)을 효모 표면 발현용 vector인 pYDl (GAL1 promoter)에 subcloning 하였다. 구축된 재조합 plasmid, pYDCGT (7.2 kb)는 S. cerevisiae EBY100에 형질전환하였고, tryptophan이 결여된 SD 배지에서 1차 선별된 형질전환체들을 YPGS배지에서 배양 후 활성 염색을 통하여 CD가 생 성 됨을 확인하였다. 배양시간과 효소반응시간에 따른 반응 산물을 TLC로 분석 한 결과, 배양 12시간째부터 효소활성이 나타났고, 반응 10분 이후부터 CD가 생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CD 생성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분 배양한 결과 $25^{\circ}C$$30^{\circ}C$에서 CGTase의 최대 활성이 각각 21.3 unit/1 와 16.5 unit/1로 나타났고, plasmid 안정성은 각각 $86\%$$82\%$로 나타나 배양온도에 상관없이 plasmid는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Salmonella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동정 및 특성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Involved in Cysteine Auxotrophy in Salmonella typhi)

  • 이상호;김삼웅;유종언;유아영;김영희;오정일;백창호;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07-1512
    • /
    • 2008
  • 오랜 기간 동안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사람에 특이적으로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S. typhi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 typhi의 병원성 유발기작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 S. typhi Ty2 균주는 최소배지에서 시스테인의 영양요구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이, S. typhi Ty2 균주가 실험동물에서 균체형성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S. typhimurium의 genomic library로 형질전환된 S. typhi 균들 중 시스테인을 함유하지 않은 최소배지에서 생육을 하는 3개의 형질전환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 2개는 S.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아주 약하게 상보하였고 하나는 명확하게 시스테인의 영양요구성을 상보하였다. 이 클론에 포함되어져 있는 3개의 ORF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분석한 결과, STM1490을 가진 클론이 S.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하였다. 비록 S. typhi에도 STM1490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존재하지만 S. typhimurium의 STM1490에 해당하는 ORF와 비교하였을 때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서로 달랐다. 이들의 차이가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Overlapping PCR을 통해 S. typhimurium의 STM1490 아미노산(H229Y, C246W)을 치환하였다. 아미노산을 바꾼 돌연변이체도 역시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할 수 있어서 아미노산의 차이는 아닌 것을 확인되었으므로 그 외의 다른 인자들이 영양요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후속연구에서 그인자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수과다증 산전력이 있는 미숙아의 가성저알도스테론혈증 1예 (Pseudohypoaldosteronism in a premature neonate with severe polyhydramnios in utero)

  • 안소윤;신손문;김경아;이연경;고선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76-379
    • /
    • 2009
  • 가성 저알도스테론혈증은 신장 세뇨관의 알도스테론 수용체의 이상으로 알도스테론의 분비는 증가되지만 반응성은 감소되어 저알도스테론혈증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이다. 가성 저알도스테론혈증은 다뇨증, 과도한 소변 내 염분소실,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을 특징으로 하며, 산전부터 다뇨 증상이 시작되면 양수과다증을 초래할 수 있다. 미숙아에서는 생후 초기 불감 수분 손실량이 많으며, 폐 기능과 신장 기능이 미숙하여 전해질 이상을 흔히 동반하는데, 몸무게의 소실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다뇨와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의 증상이 있다면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는 기저질환을 확인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양수 과다증의 산전력이 있는 산모에게서 출생한 재태주령 32주 미숙아에서 지속적인 몸무게 감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다뇨와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이 있어 17수산화프로게스테론을 조기에 선별 검사하여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의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스테로이드 치료를 피하고, 지속적인 전해질 보충으로 점차 전해질 이상의 호전을 보인 가성 저알도스테론혈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