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계적 위험

Search Result 1,414,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rian Strategy's Abnormal Returns and Systematic Risk Change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 Woo, Choon-Sik;Kwak, Jae-Su다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67-89
    • /
    • 2000
  •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와 체계적 위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모형과 Ibbotson(1975)의 RATS 모형을 이용하여 형성기간과 검증기간의 베타계수를 측정한 결과 체계적 위험의 변동가설에서 예견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검증기간에서 하락하는 한편 패자 포트폴리오와 차익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ATS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측정한 결과, 차익 포트폴리오의 경우 시장조정수익률 모형을 이용할 때의 월평균비정상수익률(1.32%)보다 작은 0.87%(t=3.153)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대거래전략의 투자성과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기인하는 증거로서 의미를 갖는다. 한편 형성기간과 검증기간에서 베타계수와 월평균비정상수익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베타계수와 월평균비정상수익률이 동일 방향으로 변화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기인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Chan (1988)의 모형을 이용하여 체계적 위험과 시장위험프리미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Chan(1988)이 주장한 것처럼, 패자 포트폴리오와 차익 포트폴리오의 경우 베타계수와 시장위험프리미엄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승자 포트폴리오의 경우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han(1988)이 주장한 것처럼, 체계적 위험과 시장위험프리미엄의 변화 관계가 시장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황시장과 침체시장으로 분류하여 각 시장상황에 따라 베타계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패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활황시장에서 1.0967(t=13.018), 침체시장에서 1.0883(t=15.310)을 보였으며,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활황시장에서 0.9468(t=9.100), 침체시장에서 0.9086 (t=7.431)을 보였다. 다시 말하여 패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시장상황에 따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침체시장보다 활황시장에서 크게 나타남으로써 체계적 위험 변동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Luhmann's Sociology of Risk and Disaster Information Communicationm (루만의 위험사회학과 재난정보 소통)

  • Son, Ki-Ch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17-220
    • /
    • 2015
  •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인 고찰은 물리적이고 기술적으로 대응하는데 주력하는 재난관리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재난관리가 국민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국가의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논의는 산업사회의 다음 단계로써 현대사회가 바로 위험사회라는 사회변동론적인 접근을 하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에 경도되어 풍부한 논의와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루만의 위험사회학은 소통에 기반을 둔 방대한 사회체계이론으로 위험에 관련한 소통을 위해와 위험으로 구별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처에 새로운 안목을 제시함과 동시에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루만의 위험사회학이 이론적으로 정교한 체계이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행위자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위험과 관련된 체계들, 즉, 재난관리체계, 정치체계, 법체계, 경제체계, 환경 체계, 언론체계, 등의 다이나믹스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Risk Analysis Framework (효율적인 위험분석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Cho, Joon-Sic;Eom, Jung-Ho;Kim, In-Joong;Chung, Ta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929-932
    • /
    • 2002
  •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발달로 국내 정보시스템의 환경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위험도 증가함에 따라 정보시스템에 대한 위험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기 시작했다. 현재 국내 정보시스템에 대한 위험관리는 외국의 위험관리 방법론을 도입하여 수행하고 있으나, 국내 정보시스템 환경에 맞지 않아 체계적이고 정확한 위험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기업 및 연구소 등에서 국내 환경에 맞는 위험관리 방법론을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 그 결과가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위험관리를 위해 효율적인 위험분석 방법론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위험분석 과정 중 자산분석, 취약성분석, 위협분석, 대응책분석을 국내외 표준을 기반으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Risk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internal viewpoints for SI Project (SI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내부관리 관점의 위험관리프레임워크)

  • Lee, Ju-Hee;Kung, Han-Kyong;Back, Sang-Gi;Yang, Dae-Chul;Jang, Song-Bong;Choi, S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20-323
    • /
    • 2008
  • 많은 기업의 정보화 프로젝트가 계획된 예산과 기한 내에 완수하지 못하고, 폐지되거나 당초 예상된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정보화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잠재된 위험을 식별하고, 식별된 위험요인을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업 중 시스템통합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관리 할 수 있는 기반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이해당사자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위험요인을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각 이해당사자들의 요구에 맞게 SI 프로젝트의 위험에 대응하여 정보화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데 이바지 할 수 있다.

A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기후변화 위험관리를 위한 체계)

  • Lee, Seungj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3
    • /
    • pp.367-37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climate-induced disasters. Method: The recent global and domestic trends of loss and damage under natural disaster ev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induced disasters were analyzed to design a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y of climate risk and various spatio-temporal scales of climate disasters, a new framework is suggested for comprehensive climate risk management that includes risk assessment, goal setting,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learning and adjustment. The framework aims at an iterative process that is activated by stakeholder engagement. Conclusion: Pilot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revise and polish the framework in the future,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prepar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climate risk management.

A Development of the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Project (건설사업 위험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한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 Chu Hae-Keum;Kim Seon-Gy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2 s.14
    • /
    • pp.109-117
    • /
    • 2003
  • The construction project is largely exposed to much more risk events over the project life cycle due to its complexity and size than the other industries. Therefore, the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process to identify and response the risk events is not only performing acutely but also proceeding systematically. The risk identification phase in the risk management process is to identify various risk events and define its characteristics. At this phase, the risk identification system is very useful tool to identify every possible risk events in the project. This study shows some problems of the existing risk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poses the modified risk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project phases and the contract bodies, and also suggests partial but more enough detailed risk checklists to be implemented in the actual risk identification phase than any other existing risk breakdown systems to be examined at this study.

A Scheme of Crisis Management for National Aviation Safety (국가차원의 항공안전위기관리 방안)

  • Kim, Yeon-Myung;Hong, Seok-Jin;An, Hyuck-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5 s.83
    • /
    • pp.27-34
    • /
    • 2005
  • To develop a crisis management for aviation safety, this study has defined crisis management includes risk management which is eliminates or lowers risks prior to accidents and emergency response after the accidents. A risk management model was developed through wide surveys for aviation hazards including aircraft operation, ATC, and airport operation, etc. The crisis management could not be effective by only using a pre-active risk management. It should also conduct using a pro-active response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schemes of development for national emergency response through case studies of aircraft accidents.

산화성 고체 -셀룰로오즈의 연소위험성(II)

  • 허익수;송영호;강민호;정국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9-262
    • /
    • 2001
  • 산화성 물질은 소방법상 위험물 제1류 및 제6류에 속하여 있는 것으로서, 그 위험성은 산화성 물질 단독으로 또는 가연물과 혼합에 의해서 폭발성 또는 폭발적 연소성을 갖는 물질로서, 이를 위한 위험성 평가는 현재 국내의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위험물에 대한 연소 및 반응위험성과 같은 제반 위험성을 판별하는 기준이 없어 이를 위한 체계적인 시험법의 요구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소방법 중 위험물 제1류로 구분되고 있는 산화성고체에 대한 연소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재현성 있는 판별 기준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준 시험법의 정립을 기하기 위한 기술자료로서 활용하여 보고자 하였다.(중략)

  • PDF

On the Safety Analysis of High Speed Railway Systems using the Hazard and Operability (HAZOP) technique (HAZOP을 이용한 고속철도시스템의 위험원 식별 및 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Jung, Ho-Jeon;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527-534
    • /
    • 2012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예로써 가장 활발히 안전관리체계의 도입을 추구하고 있는 항공 분야에서는 국제민강항공기구와 미 연방항공청의 주도로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가이드와 매뉴얼을 만들어 각국의 사정에 맞는 안전관리체계를 도입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 하고 있다. 이처럼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안전관리체계내에서도 위험원 식별 및 분석활동은 그 중요성이 크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위험원 및 위험원의 영향 및 원인이 시스템 개발 및 운용에서 수행하게 될 안전관리활동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험원 식별 및 분석활동에 적용하기 위한 여러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원 식별 기법 중 HAZOP을 이용하여 고속철도시스템의 위험원 식별 및 분석을 수행 했다. 또한 HAZOP의 수행 및 위험원 식별 활동의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위험원 식별 활동의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sign of Opportunity Tree to Decrease CBD Risk Exposure (CBD 개발과제 위험 노출도(Risk Exposure)를 줄이기 위한 Opportunity Tree의 설계)

  • 이민광;이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05-507
    • /
    • 2004
  •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컴포넌트 재사용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검증된 컴포넌트의 사용으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증대시키며, 개발비용 및 일정의 단축을 유도하는 등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컴포넌트 기반개발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바로 컴포넌트 기반 개발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고 영향을 미치는 측정 메트릭을 조사하여 위험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또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CBD 개발과제 위험 노출도를 줄이기 위한 OT(Opportunity Tree)'를 제시하였다.s;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