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감형 컨텐츠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특집 : IT 융복합의료기기 기술 - 고령화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체감형 3D 인지 시스템과 컨텐츠 개발

  • Jeong, Gyeong-Yeol;Im, Byeong-Ju;Park, Chang-Dae;Park, Seong-Won;Gang, Gi-Su
    • 기계와재료
    • /
    • v.23 no.1
    • /
    • pp.44-51
    • /
    • 2011
  • 사람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억력, 지능, 언어, 운동 기능 등의 인지능력이 저하되므로 대상 노인에 특성에 맞는 적절한 재활치료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체감형 3D 인지시스템은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고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적용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는 의료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원예 컨텐츠는 노인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인지능력 향상과 우울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가상현실 시스템은 위치인식, 동작인식, 디스플레이 등의 하드웨어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와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고 관련 재활치료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체감형 3D 인지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과 재활치료에 적합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안하였다.

  • PDF

Haptic Suit Interface for Haptic Game (체감형 게임을 위한 햅틱 수트 인터페이스)

  • 배희정;장병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499-502
    • /
    • 2003
  • VR(virtual reality, 가상 현실) 환경이 대중화 되면서, VR 환경 하에서 사용자가 반력(force feedback)을 느끼게 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이러한 반력의 사용에 있어, 반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들이 필수적이고, 기존의 탁상형 고정식인 반력 게임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어가 보다 향상된 체감효과를 통해 현실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햅틱 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착용하여 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특별 제작된 (custom) 햅틱 수트 (haptic suit)를 다룬다. 이를 위한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여, 게임 컨텐츠에 실재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반력을 편집하고, 재생할 수 있는 효과 생성기를 제시한다.

  • PDF

Design and Integration of U Effect System with Multi-sensory Motional Display (다감각의 운동감을 갖는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설계 및 통합)

  • Yoo, Byoung-Hyun;Han, Soon-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93-99
    • /
    • 2005
  •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교육과 지식의 전달을 위한 도구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교육 및 문화체험을 위한 첨단과학전시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역학적 계산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컨텐츠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지식전달 및 흥미 유발을 위해서는 운동감뿐만 아니라 다감각을 동원한 체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운동감 생성 방법과, 다감각 동원 가상현실효과 시스템을 설계하고 통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시점변화를 기반으로 한 운동감 생성과, 미리 저장된 모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운동감 효과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운동감 효과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관객의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 가상현실 효과를 위하여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다양한 다감각 효과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다감각 효과를 선정하여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체감형 전시를 위한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정립하였다.

  • PDF

Manufacture Interactive Virtual Reality Controller Using Flex Sensor (플렉스 센서를 활용한 체감형 가상현실 컨트롤러 제작)

  • Kim, Han-Syel;Song, Wook;H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86-1087
    • /
    • 2017
  • 최근 HMD 디바이스의 발달 및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인해 현실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 가상현실 플랫폼 및 컨텐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가상현실 플랫폼은 가상현실 환경과 사용자를 이어주는 UI가 불확실하고 사용법이 직관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상현실을 위한 컨트롤러들은 다양한 형태와 각각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가상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플렉스 센서를 이용한 컨트롤러를 제작하고 이를 가상현실 내에서 출력한 모습에 대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추후 이를 활용하여 체감이 가능한 가상현실 컨텐츠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R Game for Information Delivery Using Unity (Unity를 활용한 정보 전달 VR게임의 설계 및 구현)

  • Sim, Yeon-Ju;Kwon, Ji-Hyeon;Kim, Min-Ju;Park, keon-Kuk;Kim, Yo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913-915
    • /
    • 2018
  • 오늘날 다양한 VR(Virtual Reality) 기술의 발전으로 체감형, 몰입형 컨텐츠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VR 기반 컨텐츠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영화와 같이 소비자에게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VR기술은 엔터테인먼트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전달 위한 VR 게임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미술관과 사적 건물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엔터테인먼트와 더불어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an Immersive Inline Skate System (체감형 인라인 시스템 개발)

  • Jo Yong-Jun;Ryu Young-Kee;Oh Chun-Su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182-184
    • /
    • 2004
  • 컴퓨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하여 3차원 가상현실의 구현이 빠르게 발전되어 가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에서의 게임은 가장 인기 있고 넓은 시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제한된 인터페이스의 데스크탐용 PC에 한정되어 있다. 직접 체험을 하며 게임을 하는 체감형 시스템을 갖춘 게임의 개발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최근 인라인 스케이트가 여가를 즐기는 레포츠로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인라인 스케이트를 충분히 즐기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지만 넓은 공간은 제한되어 있으며, 일반도로에서 주행을 할 경우 대형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정된 공간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는 전동장치인 스케이트 밀을 개발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체감 게임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Designing Intuitive Spatial Game using Brain Computer Interface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공간 기반 게임 설계)

  • Kim, Na-Young;Yoo, Won-Dae;Lee, Yong-Il;Chung, Seung-Eun;Han, Moo-Kyoung;Yeo, Woon-Se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60-1165
    • /
    • 2009
  • User interface design environment has been known to be part of important elements in user experience and play, and its significance of functionalities are growing bigger each year. In present day, use of intuitive user interface design are on demand. Player can expect to get a new experience that they can not get from other exiting or similar form of games. For the better user experience, essential use of intuitive game play is necessary along with its perceptive user interface. This paper describes intuitive game environment design which will enhance user experience with use of brainwave signal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 PDF

Metaverse Realistic Media Digital Content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Research

  • Kyoung-A, L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3
    • /
    • pp.67-73
    • /
    • 2023
  •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as a measure of social distancing for about two years and one month, non-face-to-face services using ICT element technology are expanding not only to the education sector but to all fields. In particular, as educational program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pread to various fields, educators, and learners have more learning experiences using Edutech, but problems through non-face-to-face learning such as reduced immersion or concentration in education are raising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 problems raised through non-face-to-face learning and develop metaverse immersive media digital conten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 utilize VR (Virtual Reality) based on an immersive metaverse to provide education / Training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established.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system to increase immersion and concentration in educational contents in a virtual environment using HMD (Head Mounted Display) for learners who are put into military education/training. Immersion was further improved.

Tangible Interaction : Application for A New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Focused on development of virtual keyboard using camera input - (체감형 인터랙션 : 모바일 기기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의 활용 -카메라 인식에 의한 가상 키보드입력 방식의 개발을 중심으로 -)

  • 변재형;김명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3
    • /
    • pp.441-448
    • /
    • 2004
  •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are considered as main interlace tool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it should be possible for user to input some text as well as to control cursor for navigation. So, we should find efficient interlace method for text input in limited dimension of mobile device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mobile interaction using camera based virtual keyboard for text input in mobile devices. We developed a camera based virtual keyboard prototype using a PC camera and a small size LCD display. User can move the prototype in the air to control the cursor over keyboard layout in screen and input text by pressing a button. The new interaction method in this study is evaluated as competitive compared to mobile phone keypad in left input efficiency. And the new method can be operated by one hand and make it possible to design smaller device by eliminating keyboard part. The new intera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ext input method for mobile devices requiring especially small dimension. And this method can be modified to selection and navigation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contents on small screen devices.

  • PDF

A Study of User Satisfaction with Ubiquitous Environmental Sculptures - Focusing on the Gangnam U-STREET Media Pole - (유비쿼터스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 - 강남 U-STREET 미디어폴을 대상으로 -)

  • Kim, Dong-Chan;Cho, Hwee-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4
    • /
    • pp.45-53
    • /
    • 2010
  • This paper has attempted to propose a more progressive direction for U-environmental sculptures in a ubiquitous urban space in terms of usability, service,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user satisfaction with these sculptures. For this, Media Pole, a U-environmental sculpture on Gangnam U-Street, has been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user satisfaction was planned after establishing levels of satisfaction in terms of service,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atisfaction by the section of Media Pole, the public transportation map was the most influential in service while street culture and beauty of shape were critical in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by se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functional satisfaction had the biggest influenc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human-centered functional factors which have pleasant and touching storie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re important in order to develop various Media Pole content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with the U-environmental sculpture and allow it evolve into a Gangnam landmark Since we are in the initial stage of a U-city,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a lack of natural beauty, poor material quality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bsence of storytelling, poor technology, lack of content, poor profitability and lack of means of social communication. In the end, the development of a comfortable, people-friendly space and U-environmental sculptures are neede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stead of focusing on advanced technology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