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간안정화 훈련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이 고령자의 체간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3-D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on Trunk Muscl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in Elderly)

  • 서신배;김동현;정호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5-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이 고령자의 체간 근력 및 신체 구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건강한 65세 이상 고령자 40명(훈련군 20명, 대조군 20명)으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전 후 척추안정화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8가지 방향에 대한 근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신체 구성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훈련군은 척추 안정화 훈련 시스템에서 방향성 훈련(F, FOR, R, BOR, B, BOL, L, FOL)을 제공하였으며, 탄력 밴드 운동, 근력 강화 체조, 걷기 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을 30분간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척추 안정화 운동을 제외한 복합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훈련은 주 3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훈련군은 체간 근력이 실험 전 79.9점에서 8주 후 85.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신체구성에서도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BMI 지수 감소 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체간 근력의 변화는 없었지만 골격근량 증가, 체지방 감소 등의 운동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척추 안정화 운동이 고령자의 체간 근력 및 신체구성 발달을 유도하여 고령자의 비만 및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척추 안정화 훈련기기와 복합운동을 조합하여 고령자들에게 효과적인 재활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뇌졸중 환자의 체간안정화 훈련이 자세조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on a Stroke Patient's Postural Contro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Sing Subject Design)

  • 남주현;심경보;곽성원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5-84
    • /
    • 2014
  • 목적 : 이 연구에서는 단일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체간안정화 훈련 프로그램 적용하여 자세조절과 일상생활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분석함으로써 뇌졸중환자의 효과적인 임상적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경북 경주시에 소재한 C병원에 입원중인 75세 여성 뇌졸중 환자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사례연구(single subject design)로써 ABA반전설계를 사용하였고, 연구기간은 2014년 4월 21일부터 5월 23일까지 총 5주 동안 진행되었다. 실험 과정은 기초선(A) 3회, 중재 기간(B) 9회 유지(A') 3회로 총 15회 진행하였고 중재기간 동안 체간안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자세조절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를 위해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와 Modified Barthel Index(MB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마이크로 소프트 오피스 Excel 2013 을 사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내는 시각적 분석(visual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자세조절 검사에서 평균 점수는 기초선 구간 11.7점, 중재 구간 14.8점, 유지 구간 15.3점으로 향상되었고, 일상생활동작 평가에서 기초선 기간 66점으로 보통의 의존을 보였지만 중재 후와 유지 구간에서는 80점으로 향상되어 가벼운 의존을 나타냈다. 결론 : 체간안정화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의 자세조절이나 정렬에 효과를 나타내고 나아가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도 유익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편마비 환자에서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 훈련이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Sling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Hemiplegia)

  • 장광오;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44-125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슬링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 시 체간의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월 이상에서 1년 된 편마비로 진단 받은 입원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4주간, 주 5회, 1회당 30분간 운동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만 적용하였고, 실험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 및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전성 집중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 후에 체간조절능력, 근활성도, 균형능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훈련 후, 유의한 차이는 실험군에서 체간조절능력(TIS)(p<.001), 특히, 정적조절능력(p<.05), 동적조절능력(p<.01), 협응능력(p<.05), 근 활성도는 RA(p<.001), EO(p<.001), ES(p<.001), Multifidus(p<.05), FMA (Balance)(p<.01), MTD-Balance에서는 정적(p<.001), 동적균형능력(p<.001)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은 체간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임을 증명하였고, 균형에 있어서 체간-골반 안정화 및 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Dynamic Balance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신원섭;김창영;이동엽;이석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09-2515
    • /
    • 200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 뇌졸중 환자 38명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체간 안정화운동(n=20)과 기존의 일반적 균형운동(n=18)을 주 3회씩 7주간 시행하였다. 운동의 시작 전과 후에 동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았고 전과 후의 변화량을 가지고 운동방법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체간 안정화운동으로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능력(BBS, TUG)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두 그룹간의 치료 전 후차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BBS 측정에서 체간 안정화운동이 일반적 균형운동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 훈련 방법으로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임상적 적용에서도 누운 자세에서 시행하는 체간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급성기 이후의 조기 적용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이용한 4주간의 운동 시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the Balance Ability after Four Week Training Using the System for 3-D Dynamic Exercise Equipment)

  • 신선혜;유미;정구영;유창호;김경;정호춘;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8
    • /
    • 2012
  • 기존의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통한 연구는 체간 안정화 운동에 주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피험자는 요부와 하지 근육에 이상이 없는 20대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간 안정화 및 자세균형 훈련은 주 3회 15분씩 4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세균형능력평가는 Balance System SD을 이용하였으며, 20초 동안 신체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한 점에 유지하는 능력인 자세 안정성 검사와 8가지 방향으로의 이동능력 평가인 자세 한계성 검사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이용한 4주간의 훈련이 자세균형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이는 3차원 동적 운동기기를 낙상 위험이 높은 고령자나 자세균형 훈련이 필요한 운동선수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나 예상된다.

  • PDF

PNF의 안정적 반전과 율동적 안정화 기법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력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unk Stability Exercises with Stabilizing Reversal and Rhythmic Stabilization of PNF for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 강태우;함규하
    • PNF and Movement
    • /
    • 제12권2호
    • /
    • pp.63-6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trunk stability exercises with stabilizing reversal and rhythmic stabilization of PNF have on trunk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 stroke patients who performed trunk stability exercises combined with stabilizing reversal and rhythmic stabilization of PNF.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30-minute sessions per week for six weeks. Trunk strength (BTE, Primus RS) and balance ability (Berg Balance Scal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oftwar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both groups for truck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runk str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p<.05) and it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p<.05).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p<.05) and it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after intervention (p<.05). Conclusion: Trunk stability exercises with stabilizing reversal and rhythmic stabilization of PNF are effective for improving trunk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For stroke patients, trunk stability exercises with PNF are very useful and effective and they areeffectiveinclinicalpractice.

3 차원 동적 자세균형 훈련기기의 능동/수동 체간 기울임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The Assessment on Electromyography of Trunk Muscle according to Passive and Active Trunk Tilt Exercise of 3-D Dynamic Postural Balance Training System)

  • 신선혜;유미;정구영;유창호;김경;정호춘;권대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1-339
    • /
    • 2013
  • The Interest in disease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is increasing depending on increase of patients with spinal. This is being developed using the spine stabilization device is being studied. So far studies have only evaluated the effect o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but analysis of human movement patterns for active movement and passive movement did not. We assessed the muscle activity of trunk and leg muscle during passive and active tilt mode on eight tilt directions at tilt angle of $30^{\circ}$ using 3-D dynamic postural balance training system. We performed experimental study on the muscular activities of trunk muscle about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s, latissimus dorsi, erector spinae, and leg muscle about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As a result, muscle activ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pattern. The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 patterns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system could be applied to an effective training of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일부 고등학생의 체간 안정화 훈련이 의식적 자세조절 효능감, 신체적 자기개념,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on the Self Posture Control Efficacy,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Perception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 이대로;공선웅;정연우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39
    • /
    • 201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on the self posture control efficacy,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perception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92 voluntary students (73 females, 19 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ceived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for 40 minutes per day and a time per week during 6 weeks period.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was an approach of education in proper posture and coordination of movement. In the evaluation, the self posture control efficacy scale (SPCES) was used to measure the posture control efficacy,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was used to measure the physical self description and the perception stress scale (PSS) was used to measure the stress. All measurement of each subjec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tabilization training. Results: The SP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p<.05). The PSDQ and PSS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p>.05) but the means were increased slightly. Conclusion: Conclusion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increased the self posture control efficacy and would give help to control Students themselves.

  • PDF

배가로근 수축을 강조한 체간 안정화 훈련이 양궁선수들의 정적 균형 및 경기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Emphasizing Transverse Abdominis Contraction on Static Balance and Game Records for Archers)

  • 이소영;서태화;정연우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283-29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training on static balance and game records among archers. Methods: The subjects comprised 24 voluntary ar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aged 14-19 years). All the subjects received trunk stability training for an hour per day 3 days a week for 4 weeks. The Tetrax balance system was used to measure the stability index of the subjects' static balance. The subjects' game records were scored using a single FITA round system. All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2 weeks into the intervention,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ith a follow-up measurement 2 weeks later.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ability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all the measuring positions after the intervention (p<0.05).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f the standing position with eyes open and clo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0.05). The archery position with the head turned to the left and eyes closed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re-intervention compared to 2 weeks after the start of the intervention (p<0.05). Additionally, the archery recor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the intervention (p<0.05), as well as before the intervention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0.05). Conclusion: Trunk stability training can improve static balance in archers. It may also be helpful in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nd maintaining the life of the athlete. Accordingly, trunk stability training may prevent and resolve injuries through careful management when playing one-side sports.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nterven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Focusing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성지영;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9-21
    • /
    • 202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문헌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통해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5년간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단일대상연구'를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총 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징과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결과 : 9편의 분석 대상 논문 중 작업치료 분야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 6편이었고, 분석 논문에서 적용한 연구 설계는 ABA 설계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10명씩이었고, 대상자 수가 3명인 논문이 5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은 6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적용한 독립변인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상상연습,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 수직훈련, 양측성 상지운동,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 신경인지재활치료와 전통적인 작업치료, 체간 안정화 훈련,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각각 1편씩으로 다양한 중재들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측정한 평가도구는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이 4편으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Barthel Index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ce Measure가 각각 2편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결과 총 9편 중 높은 수준의 연구가 7편이었고, 중간 수준의 연구는 2편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단 1편도 없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중재법으로 여러 유형의 재활치료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질적 수준은 신뢰할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